|
(1) 길-둥글다, 희-맑다, 올-바르다, 짙-푸르다, 검-붉다
이러한 구성은 공시적으로 생산력이 없어 그 어휘 수가 많지 않다.
2. 명사+용언 어간
이 구성은 명사에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이 결합된 것으로 형용사 합성어 중에서 가장 수적으로 많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용사의 결합
다음으로 관사+명사+형용사가 있는 명사구를 기술하기 위한 구조규칙을 설정해 보자. 먼저 관사와 형용사의 결합을 위한 규칙을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10) 3 # detp(DETP) ---> det(DET), adj(ADJ)::
DETP/head *= DET/head,
DET/head/agr *= ADJ/head/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있는 중이다가 가능해서 동사라고 볼 수 있지만 귀엽다 귀엽는, 귀엽고 있다, 귀엽는 중이다는 어색하기 때문에 형용사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3) 의도와 목적 구분
의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려’나 목적을 나타내는 ‘-러’가 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용사를 어기로 하여 부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로 알려진 -이가 굴절접사적인 기능도 가지고 있었음을 안다. 다음은 이현희(1993-1994)에서 -이가 활용어미로 쓰인 예라고 본 것들이다.
(3) ㄱ. 玉盞애 수를 가 맛 업시 너기니<두시 7 : 25>
ㄴ.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09.03.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ㆍ형용사
- 품질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 한정 형용사: 지시, 소유, 의문, 수, 부정(不定)을 나타내는 형용사
- 명사를 직접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일 경우
→ 명사의 성ㆍ수에 일치하여야 함
ㆍ단수
- 남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03.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