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실습_알츠하이머병_치매_케이스_간호진단3개_간호과정3개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간호학실습_알츠하이머병_치매_케이스_간호진단3개_간호과정3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결과
4. 대상자의 약물치료 상황
5. 간호과정


III. 결론
1. 연구결과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지능력 검사를 통해 대상자 질환의 악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3. 침상난간은 침상에서 떨어져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1차적 방어막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종 침상난간을 뛰어넘으려는 행위를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상자를 침상난간을 올려놓더라도 안심하지 않고 반드시 대상자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 침상 높이를 낮게 조절하여 낙상하더라도 부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의료인과 돌봄 제공자가 낙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 대해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대상자의 안전을 증진시키고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행동의 수행을 촉진한다.
5. 대상자가 짚었을 때 바퀴가 밀려 움직일 경우 미끌려 넘어지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모두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수행
1.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매달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이용해 낙상 위험도를 재평가하고 기록하였다.
이번 달은 16점으로 낙상 고위험군임.
2.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인지기능 상태를 사정하였다.
매달 간이정신상태(MMSE)를 재검사하여 기록하였다.
이번 달 0점으로 후기 중증의 인지장애가 있음.
3. 대상자가 침상에 있을 때는 침상 높이를 낮게 하고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놓되 자주 대상자를 확인하였다.
4. 낙상 고위험 표시를 침상에 부착하고 대상자의 팔목에 팔찌를 적용하였다.
5. 대상자가 짚을 수 있는 사물이 바닥에 고정되어 있도록 하고 바퀴가 움직이지 않게 조치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병동 내 낙상 예방을 위해 안전한 환경을 유지할 것이다.(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낙상을 경험하지 않을 것이다.(달성)
간호진단 3) 인지 기능 저하와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만 79세임
- Dx: Alzheimer\'s Dementia
- 간이정신상태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검사 결과: 0점
모든 질문에 반응이 없는 모습이 관찰됨.
- GDS 판정 : 7점 - 후기 중증의 인지장애
간호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언어적 의사소통 기능이 개선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 내에 낱말카트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것이다.
계획
대상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찡그림이나 미소 등과 같은 얼굴표정, 손짓, 손가락으로 가르키는 것, 울음, 몸을 웅크리거나 떠는 등)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실어증(aphasia), 구음장애(dysarthria), 실행증(apraxia)과 같이 치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을 염두에 두고 대상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매 듀티마다 사정한다.
가급적 자주 대상자와 대화를 시도하고, 대상자가 느리게 말하거나 같은 말을 반복하더라도 재촉하거나 서두르는 느낌을 주지 않고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주의 깊게 끝까지 듣는다.
대상자가 자주 찾는 개인적인 물품들을 눈에 띄는 곳에 둔다.
5. 한 단어로 답할 수 있는 간단하고 직접적인 폐쇄형 질문을 한다. 대상자가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 이해했을 경우 반복해서 질문하거나 다른 방식(단어)으로 질문할 수 있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주의 깊게 관찰하였다. (얼굴표정, 손짓, 손가락으로 가르키는 것)
대상자의 언어적 의사소통 기능을 매 듀티마다 사정, 기록하였다.
가급적 대상자와 대화를 자주하였으며 대상자가 느리게 말하거나 같은 말을 반복하더라도 재촉하거나 서두르는 느낌을 주지않고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주의 깊게 끝까지 들으며 치료적 의사소통하였다.
대상자가 자주 찾는 개인적인 물품들을 눈에 띄는 곳에 두었다. (수건, 가족사진, 사탕)
5. 대상자의 경우 인지저하로 복잡한 질문은 이해하지 못하는 상태이며, 짧고 간단한 폐쇄형 질문에는 긴 대답은 어렵더라도 문장을 이해하고 ‘예, 아니오’로 답할 수 있다. 그리하여 대상자의 요구(니즈)를 파악할 수 있어 간호계획에 필요한 정보 수집이 가능하며, 어느 정도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대상자의 좌절감을 감소시키고 자존감, 자신감 유지에 도움을 준다.
수행
1. 대상자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찡그림이나 미소 등과 같은 얼굴표정, 손짓, 손가락으로 가르키는 것, 울음, 몸을 웅크리거나 떠는 등)을 주의깊게 관찰하였다.
2. 실어증(aphasia), 구음장애(dysarthria), 실행증(apraxia)과 같이 치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을 염두에 두고 대상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을 매 듀티마다 사정하였다.8/19 Day
Evening
Night
8/20 Day
Evening
X
X
X
X
X
3. 가급적 자주 대상자와 대화를 시도하고, 대상자가 느리게 말하거나 같은 말을 반복하더라도 재촉하거나 서두르는 느낌을 주지 않고 충분한 시간을 주면서 주의 깊게 끝까지 들었다.
4. 대상자가 자주 찾는 개인적인 물품들을 눈에 띄는 곳에 두었다.
5. 한 단어로 답할 수 있는 간단하고 직접적인 폐쇄형 질문을 하였다. 대상자가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 이해했을 경우 반복해서 질문하거나 다른 방식(단어)으로 질문하였다.
폐쇄형 질문에 대한 답만 하였고 개방형 질문을 하였을 땐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언어적 의사소통 기능이 개선될 것이다.(미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 내에 낱말카트를 통해 의사소통을 할 것이다.(미달성)
Ⅲ. 결론
1. 연구결과
**세 여자 강OO님은 4년 전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고 인지장애 및 기력저화가 심화되어 20**년 *월 *일에 본원에 입원하였다. 주증상은 인지장애와 외상상태로 MMSE-K 검사 결과 0점으로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상대가 하는 말에 반응이 없으며 비언어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있다.
IV. 참고문헌
1. ***병원 EMR
2.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3. 킴스 온라인 (https://www.kimsonline.co.kr/)
4.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5.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현문사
6. 박혜림, 노인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 2024
7.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6
  • 가격4,2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5.09.17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5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