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7차 국어 교과서 분석 - 읽기영역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학교 7차 국어 교과서 분석 - 읽기영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학교 국어 교과서 구성 체제

Ⅱ. 각 단원의 분석

본문내용

전에>활동은 한국어를 배우는 두 입장을 제시하여 학습이유를 예상하게 하고 차이점까지 생각하게 한다. 이 활동은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배우려는 의도가 여럿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면서 ‘한국어’ 자체에 대해 되돌아 볼 수 있도록 한다. 너무나도 학습자에게 가까운 ‘한국어’를 멀리 떨어져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학습량의 면에서 볼 때, 부담이 없이 이유 3가지씩만 예상하도록 하고 있다.
② 조직
<일레인 이야기>가 한국에서 입양한 아들을 둔 일레인이라는 캐나다 여성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얻은 감회에 대한 글임을 하단에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내용스키마를 획득하여 제재 글에 대해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이 글을 읽은 후 토의활동이 있음을 역시 하단에 제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토의주제에 관해 능동적으로 찾아보도록 한다.
4.2. 제재 : 일레인 이야기
① 내용
외국에서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생각을 갖도록 하는 제재이다. 수필인 이 글은 일상 어휘로 쓰여서 어렵지 않고 길이도 부담스럽지 않으며 (6페이지+삽화2개) 삽화도 글 내용과 일치하게 제시되어 있다.
② 조직
제재 옆에 날개부분에는 읽기 중에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활동이 제시되어 있다. 적절한 질문들이 한 페이지 당 하나씩 있는데 특히 그 문항에 해당하는 답이 있는 단락 옆에 위치하여 학습자를 돕고 있다.
4.3. 학습 활동
4.3.1. 내용 학습
① 내용/조직
읽기 도중의 물음에 비해서 글의 주제에 더 부합하는 물음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1번,2번 물음은 목표학습을 수행하는 내용학습으 로서 효과적이다. 즉, 제시된 제재의 중심 내용을 알아야 효과적인 토의가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제시된 내용 학습이므로 적절한 내용의 질문이라 할 수 있겠다.
4.3.2. 목표 학습
① 내용
일레인 이야기를 읽고 나서 4컷짜리 만화와 관련하여 토의할 거리를 2개 제시하고 있다. 만화에 나오는 국외 동포 2세는 한국어 를 배우고 싶어 하지 않는다. 한국인들이 국외 동포에 대해갖고 있는 편견 때문이다. 이 만화 아래 제시된 첫 번째 토의주제는 만 화에 한정된 것이고 두 번째는 일레인과 연관 지어 국외 동포 2세들이 한국어를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해 토의 하도록 하는 주제를 제시했다. 외국에서 한국어교육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제재를 통해 익힌 학습자는 충분히 토론에 참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일레인 이야기와 관련된 또 다른 제재(줄글)를 제시하면 학습자에게 부담이 갈 수 있지만 4컷짜리 만화(학생과 교사의 대화)를 제 시하여 토의에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했다.
② 조직
토의 주제가 ‘읽기 전에’에서 수행한 활동의 연장선이기에 수업의 흐름이 적절하다고 본다. 그런데 ‘토의’를 해서 깊이 있는 이해 에 도달해야하는 학습목표를 성취하는 중에 여러 가지 의견이 오고 갈 것이고 그것을 정리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4컷짜리 만 화가 반 페이지를 넘어가면서 상대적으로 쓸 만한 공간이 너무 협소하다. 공간의 확보를 가져오면서 의견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표로 주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을 가져오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5. 보충-심화
5.1. 자기점검
단원목표학습을 더 세분화하여 자기점검표를 만들었다. 평가 항목이 세분화 될수록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짐을 볼 때 위 단원의 자기점검은 적절한 평가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자기점검능력, 즉 메타인지가 확고하게 서지 못한 학생들은 자신이 묻는 항목을 수행했는지 못했는지 기억을 잘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감이 낮은 학습자들도 ‘예’라고 당당하게 점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해당 항목활동이 수행되었으리라 예상되는 페이지를 함께 제시하여 자기점검에 도움을 주는 것도 좋을 듯하다.
5.2. 보충 활동
① 내용
김치의 효능에 관한 설명문이다. 짤막하고 학습자들에게 익숙한 소재인 김치가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보충 학습 제재로 적당하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보충학습자’ 라는 측면에서 재미를 느끼도록 그림이 들어가면 좋을 듯하다.
② 조직
보충학습자이기 때문에 학습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도움을 비교적 많이 제시하는 것이 좋다. 3개의 활동이 있는데 첫 번째 활동은 김치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제시어를 고르게 하여 그에 관해 조별 토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방안에 대해서 직접 여러 제시어를 주어 학습자의 부담을 덜었다. 두 번째 활동은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을 수 있게 했다. 표를 주어서 의견들을 조직적으로 정리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단원 목표에 다다르는 활동을 제시했다. 자기 조의 토의 결과에 다른 조의 토의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나름대로 다시 정리하는 활동이기에 제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에 학습자가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업의 흐름에 정확하게 부합하도록 학습활동이 있기 때문에 효과적 교수 학습이 가능하다.
5.3. 심화 활동
① 내용
외국에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힘쓰는 국외 동포들의 내용을 담은 글이 있다. 소단원 일레인이야기에서 목표학습뿐 아니라 내용학습에 있어서도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다. 글의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삽화가 글의 중간에 배치되어 이해를 돕고 있다. ‘한국어의 세계화 방안’에 대한 학습자의 생각을 끌어 낼 수 있는 제재이므로 토의하는 데 적합하다고 본다.
② 조직
다시 말하지만 이 단원의 학습목표는 ‘토의를 통한 깊이 있는 이해’이다. 그리고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밑바탕은 글을 읽고 중심내용을 찾으며 토의할 거리를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심화학습의 활동은 첫 번째 ‘중심 내용 적기’, 두 번째로 ‘한국어의 세계화 방안에 대해 토의한 후 정리하기’ 이다.
보충학습에서는 의견을 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했지만 심화에서는 스스로 해결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심화답다.’
6. 이 단원을 마치며
단원에서 배운 목표학습 내용을 정리해주는 부분이다. 교사와 함께, 또는 학습자 혼자서도 쉽게 정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구성이다. 다만 교육과정과 더욱 관련 있게 기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중요내용을 고려하여 글을 읽고 토의하는 학습을 해 보았다고 서술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 가격2,6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4.2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8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