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법령에 의한 제한·금지
Ⅲ.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Ⅱ. 법령에 의한 제한·금지
Ⅲ.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본문내용
행위 발생 통보
노동관계 당사자는 노동쟁의가 발생한 때에는 어느 일방이 이를 상대방에게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Ⅲ.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1. 단체협약에 의한 제한
1) 평화의무
노동조합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는 협약 소정사항의 계폐를 목적으로 하는 쟁의행위를 해서는 아니된다. 다만 평화의무 위반의 쟁의행위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협약불이행 책임만이 발생한다고 본다.
2) 평화조항 및 쟁의절차조항
평화조항 및 쟁의절차조항은 단체협약의 채무적 부분에 해당되므로 이에 위반한 쟁의행위를 한 노동조합은 협약위반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지며 쟁의행위의 정당성은 상실되지 않는다고 본다.
2. 조합규약에 의한 제한
노동조합은 조합규약에 쟁의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제한을 받는다.
노동관계 당사자는 노동쟁의가 발생한 때에는 어느 일방이 이를 상대방에게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Ⅲ.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1. 단체협약에 의한 제한
1) 평화의무
노동조합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는 협약 소정사항의 계폐를 목적으로 하는 쟁의행위를 해서는 아니된다. 다만 평화의무 위반의 쟁의행위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협약불이행 책임만이 발생한다고 본다.
2) 평화조항 및 쟁의절차조항
평화조항 및 쟁의절차조항은 단체협약의 채무적 부분에 해당되므로 이에 위반한 쟁의행위를 한 노동조합은 협약위반에 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지며 쟁의행위의 정당성은 상실되지 않는다고 본다.
2. 조합규약에 의한 제한
노동조합은 조합규약에 쟁의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제한을 받는다.
추천자료
근로자들의 파업행위의 정당성
노동기본권 관련 총정리
[공무원노동기본권]외국의 공무원노동기본권(공공부문) 사례를 통해 본 공무원노동기본권(공...
근로3권의 보장에 대한 법적 검토
사적조정제도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활성화 방안
근로3권의 보장에 대한 법적 검토
쟁의행위와 근로관계 전반의 검토
쟁의주체의 정당성
불법쟁의행위 책임관련 판례 검토
쟁의행위 정당성 요건 및 효과 관련 판례 검토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필요성,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동향, 공무원노동조합(...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정의와 중요성, 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 운영원리, 산업별노동조...
대법원 2005. 9. 9. 선고 2003두11841 판결 과징금부과처분등에관한행정처분취소, 공정위의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