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쟁의행위는 폭력이나 파과행위로 이를 행할수 없다. 폭력과 파괴행위는 어떤 경우에도 정당화될수 없다. 당연한 사리를 확인하려는 취지의 규정이다. 이규정은 협의의 쟁의행위뿐 아니라 직장페쇄에 대하여도 적용된다.
3. 파업감시 제한 (38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행위의기본원칙), 제38조(노동조합의지도와책임), 제39조(근로자의구속제한), 제40조(삭제), 제41조(쟁의행위의제한과금지), 제42조(폭력행위등의금지), 제42조의2(필수유지업무에대한쟁의행위의제한), 제42조의3(필수유지업무협정), 제42조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없다.
Ⅳ.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1. 단체협약에 의한 제한
1) 평화의무
노동조합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는 협약 소정사항의 계폐를 목적으로 하는 쟁의행위를 해서는 아니된다. 판례는 평화의무는 단체협약에 본질적으로 내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행위 발생 통보
노동관계 당사자는 노동쟁의가 발생한 때에는 어느 일방이 이를 상대방에게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Ⅲ. 자주적 법규에 의한 제한·금지
1. 단체협약에 의한 제한
1) 평화의무
노동조합은 단체협약의 유효기간 중에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쟁의행위를 금지하는 여러가지 법규가 있는데, 이러한 법규위반의 쟁의행위는 그 법규에서 정하고 있는 벌칙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그러나 이 경우 당연히 정당성도 상실되어 민형사면책을 받을 수 없게 되는 것은 아니다. 제한금지법규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