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위대한 교사이신 예수 그리스도
Ⅱ. 크리스챤 교사
Ⅲ. 크리스챤 교사의 훈련
Ⅳ. 기독교 세계관
Ⅴ. 비젼을 심어주는 교사
<참고문헌>
Ⅱ. 크리스챤 교사
Ⅲ. 크리스챤 교사의 훈련
Ⅳ. 기독교 세계관
Ⅴ. 비젼을 심어주는 교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mption)
그런데, 이렇게 "죄와 허물로 죽은"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통해서만 구원받을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 구속은 결국 우리의 죄 문제를 해결해서 우리로 하여금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로 도입해 들이신 '하나님 나라"[天國] 백성으로 만들어 주시는 사건인 것이다.
(4) 극치(Consummation)
예수님의 구속으로 시작된 그 "하나님 나라"[天國]는 예수님의 재림에서야 그 나라의 극치에 이르게 된다. 그 때까지는 이 세상 안에서 "하나님 나라"[天國]는 작은 씨앗에서부터 성장해 가며 그 영향력을 온 땅에 미쳐 나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세계관은 이런 과정을 걸쳐서 극치에 이를 하나님의 나라, 피조계의 미래를 바라며 이를 중심으로 한 세계 이해를 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5. 결론
기독교 세계관이 이러한 특성과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살핀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먼저, 이 세계관의 구체적인 형상을 그려내는 것(통전적이고 개혁적인 세계관)과 둘째, 이런 세계관에 근거한 각 학문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런 세계관에 근거한 학문적 활동과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Ⅴ. 비젼을 심어주는 교사
1. 하나님을 "신뢰"하기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 뿐 아니라 나아가 이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하나님이 주관하고 계신다는 ‘믿음’을 지닌 삶의 태도를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때 이것은 하나님이 지금 나의 삶에 일어나고 있는 이 모든 일들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심으로 나를 준비시키고 있음을 신뢰하는 것을 말합니다.
2.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달란트, 은사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하나님이 우리에게 은사를 주신 것은 교회를 섬기라고 주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특별히 많이 받은 달란트가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삶속에서 힘써서 남겨야 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이 바로 우리의 비젼이 됩니다.
Ex) 다스림의 은사, 가르침의 은사, IQ↑
3. 자신의 기질, 성격, 적성을 파악. (MBTI, 성격, 기질, 적성 검사)
내성적인 사람에게 교사를 시킨다면 죽을맛일 겁니다.
반대로 외향적인 사람에게 내근직 공무원을 시키면 그 역시...
4. 내가 마음속으로부터 소원하는 일은?(빌 2:13)
하나님은 우리를 동역자로 부르실때 억지로 눈물 골짜기로 부르지 않습니다.
우리속에 소원함을 주셔서, 눈물 골짜기를 기쁨으로 감당케 하십니다.
그래서, 순교도 하는 것입니다.
5. 형제(자매)가 가진 부담감이 무엇입니까?
Ex) 설거지와 책보기, 어려운 사람을 보면 주머니 돈을 다 털어주어야 한다던지,
6. 상처
아픔은 겪어본 사람만이 이해할수 있다.
Ex) 오프라 윈프리다.
7. 우리가 받은 축복
다른 사람보다 힘이 세면-> 노가다로, 머리가 좋으면 -> 학계, 둘다 좋으면 -> 자기가 원하는 걸로...
아무것도 축복받은 것이 없다면...
===> 우리가 받은 축복중 가장 큰 축복은 예수 믿는 것!
<참고문헌>
1. 기독교 교육학, 도서출판 베다니, 정정숙, 2000
2. (학생앞에 선 그리스도의 증인)어떤 교사가 될 것인가? 한국 기독 학생회 출판부, 필립 메이, 1992
3. 휼륭한 교사가 되는 길, 교육과학사, 윤정일, 허형 엮음, 2002\
4, 교사바이블, 규장, 김동호, 2003
5. 탱크목사 중고등부 혁명, 규장, 홍민기, 2003
6. 교사 열정이 주일학교를 살린다. 규장, 최윤식, 2001
7. (나는 너를 사랑한다)라는 말이 이룬 기적, 도서출판 서로사랑, 렌즈 위블, 1997
8. 원베네딕트 선교사 청소년 지도자 세미나 강의 자료
그런데, 이렇게 "죄와 허물로 죽은"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을 통해서만 구원받을수 있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 구속은 결국 우리의 죄 문제를 해결해서 우리로 하여금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로 도입해 들이신 '하나님 나라"[天國] 백성으로 만들어 주시는 사건인 것이다.
(4) 극치(Consummation)
예수님의 구속으로 시작된 그 "하나님 나라"[天國]는 예수님의 재림에서야 그 나라의 극치에 이르게 된다. 그 때까지는 이 세상 안에서 "하나님 나라"[天國]는 작은 씨앗에서부터 성장해 가며 그 영향력을 온 땅에 미쳐 나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 세계관은 이런 과정을 걸쳐서 극치에 이를 하나님의 나라, 피조계의 미래를 바라며 이를 중심으로 한 세계 이해를 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5. 결론
기독교 세계관이 이러한 특성과 이런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살핀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는 무엇인가?
그것은 먼저, 이 세계관의 구체적인 형상을 그려내는 것(통전적이고 개혁적인 세계관)과 둘째, 이런 세계관에 근거한 각 학문을 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런 세계관에 근거한 학문적 활동과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Ⅴ. 비젼을 심어주는 교사
1. 하나님을 "신뢰"하기
이것은 하나님의 말씀을 신뢰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 뿐 아니라 나아가 이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하나님이 주관하고 계신다는 ‘믿음’을 지닌 삶의 태도를 말합니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때 이것은 하나님이 지금 나의 삶에 일어나고 있는 이 모든 일들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게 하심으로 나를 준비시키고 있음을 신뢰하는 것을 말합니다.
2. 하나님이 나에게 주신 달란트, 은사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하나님이 우리에게 은사를 주신 것은 교회를 섬기라고 주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특별히 많이 받은 달란트가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삶속에서 힘써서 남겨야 되는 것이며, 따라서, 그것이 바로 우리의 비젼이 됩니다.
Ex) 다스림의 은사, 가르침의 은사, IQ↑
3. 자신의 기질, 성격, 적성을 파악. (MBTI, 성격, 기질, 적성 검사)
내성적인 사람에게 교사를 시킨다면 죽을맛일 겁니다.
반대로 외향적인 사람에게 내근직 공무원을 시키면 그 역시...
4. 내가 마음속으로부터 소원하는 일은?(빌 2:13)
하나님은 우리를 동역자로 부르실때 억지로 눈물 골짜기로 부르지 않습니다.
우리속에 소원함을 주셔서, 눈물 골짜기를 기쁨으로 감당케 하십니다.
그래서, 순교도 하는 것입니다.
5. 형제(자매)가 가진 부담감이 무엇입니까?
Ex) 설거지와 책보기, 어려운 사람을 보면 주머니 돈을 다 털어주어야 한다던지,
6. 상처
아픔은 겪어본 사람만이 이해할수 있다.
Ex) 오프라 윈프리다.
7. 우리가 받은 축복
다른 사람보다 힘이 세면-> 노가다로, 머리가 좋으면 -> 학계, 둘다 좋으면 -> 자기가 원하는 걸로...
아무것도 축복받은 것이 없다면...
===> 우리가 받은 축복중 가장 큰 축복은 예수 믿는 것!
<참고문헌>
1. 기독교 교육학, 도서출판 베다니, 정정숙, 2000
2. (학생앞에 선 그리스도의 증인)어떤 교사가 될 것인가? 한국 기독 학생회 출판부, 필립 메이, 1992
3. 휼륭한 교사가 되는 길, 교육과학사, 윤정일, 허형 엮음, 2002\
4, 교사바이블, 규장, 김동호, 2003
5. 탱크목사 중고등부 혁명, 규장, 홍민기, 2003
6. 교사 열정이 주일학교를 살린다. 규장, 최윤식, 2001
7. (나는 너를 사랑한다)라는 말이 이룬 기적, 도서출판 서로사랑, 렌즈 위블, 1997
8. 원베네딕트 선교사 청소년 지도자 세미나 강의 자료
추천자료
기독교 청소년 교육 연구
크레이크 다익스트라의 교사관
F. Froebel의 교육사상과 유치원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지역사회자원연계, 교사,학부모교육
김교신을 바탕으로 내가 꿈꾸는 교사상
김교신을 통해 본 바람직한 교사상
영아기 발달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이 시기의 발달을 돕기 위한 보육교사의 역할을 제시하...
개척교회 교육분석 및 방안 -현대 기독교 교육사조론 개척교회의 기독교교육 (Christian Reli...
칼빈의 기독교 강요 1권 요약
이야기를통한기독교교육
고령화사회의 노인문제 정책과 종교사회의 역할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ZPD)에서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수행해야 할 역할에 ...
[기독교교육심리] 브루너(Jerome S. Bruner)의 「발견 학습 이론」에 대한 이해 (학습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