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각적 심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후각적 심상

* \"김상옥\"의「사향(思鄕)」

* \"김동환\"의「산 너머 남촌에는」

* \"이육사\"의「광야(曠野)」

* \"레미 드 구르몽\"의 전원시「시몬느」의 첫머리 시「머리칼」

◉ 심상

◉ 심상의 기능

본문내용

표상을 이루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심상
- 시에서 언어에 의해 마음속에 그려지는 감각적인 모습이나 느낌을 말한다. 이미지(image) 를 뜻함.
- 시에 있어서의 '이미지'란 언어를 통해 표현된 구체적 형상이나 그와 관련되는 추상적인 관념들을 말한다. 즉 시적 언어를 통해 어떤 형상이 우리의 머리 속에 그려질 수 있으 며, 나아가 그 형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관념이 함께 연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체적 형상 또는 그와 관련된 추상적 관념들이 바로 시에서 '이미지'라고 불리는 것이다.
* 시는 심상을 통하여 형상화하는데, 이것은 시의 중요한 특성이다.
* 시는 정서나 감정을 직접 서술하기보다는 심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 다.
심상의 기능
- 이미지는 독자에게 감각적 인상을 불러일으켜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함으로 써 사물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하며, 사물의 인상과 영상을 더욱 뚜렷이 하는 기능을 한 다. N. Frye는 심상이 제재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독자의 내면세계를 자극하며, 독자의 반응을 유도하여 시를 정서와 연결시켜 주는 구실을 한다고 보았다. 또 C. Day Lewis는 심상이 일상적인 언어를 통해서는 맛볼 수 없는 신선미를 빚어내게 하고, 시어에 탄력감 과 긴축미를 부여하여 강렬성을 가져오며, 정서를 환기시키는 구실을 한다고 설명했다.
① 표현의 구체성을 높인다.
② 표현의 독창성을 살린다.
③ 정서 환기의 장치가 된다.
④ 주제를 추적하는 지표가 된다.
⑤ 경험을 구체적으로 재생한다.
⑥ 감각적 인상을 재현한다.
⑦ 추상적 관념을 구체화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