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기교육의 기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기능의 학습과 교수

1. 근골격 체계와 운동 기능

2. 기능의 학습

3. 기능의 교수원리

본문내용

외부 과업이나 직무 - 외생적 피드백, 과업자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님, 즉각적이기도 하지만 흔히 뒤늦게 나타남
예) - 정기적 성과 평가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 분기별 판매 실적표와 보너스
※ 피드백에 관한 연구는 학습자와 교사에게 몇 가지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① 인지적 능력과 기능적 능력을 얻는데 필수적임
② 너무 상세하지 말고, 구체적이고, 사실적이고, 핵심적이어야 함
③ 지연되지 말아야 함(즉각적이라는 말이 아니라 동일한 행동이 나타나기 전에)
④ 학습자가 수행하고 있는 것이 있을 때는 제공을 피해야 한다.
⑤ 과업이나 상황내의 내생적 피드백을 관찰하고 이용하도록 학습자에게 가르쳐야 함
마. 적용과 지속
- (적용)기능 개발에 있어서 필수적 요소는 ‘기능’을 사용하는 기회를 갖는 일(정보고등학교에서는 키보딩, 계산하기, 컴퓨터 등을 하루나 주일의 어느 기간에도 모든 과목에서 활용하도 해야 함)
- (지속)기능이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적용될 때 안정된 수준의 기능을 유지하기란 별 문제 없다.
◎ 요약
- 직업적으로 유용한 활동을 학습하기 시작함에 학생들은 다양한 운동기능을 학습해야
- 운동기능은 뼈와 이에 연결된 인대, 건, 근막, 연골등의 연결 조직과 근육운동으로 나타남
- 직업적 운동기능은 ‘손작업’에 의해 이루어짐
- 손기능, 손기술 = 손재주
- 재주 = 숙련, 숙달, 기교, 잘한다고 하는 말로 표현
- 작업을 반복하는 연습이나 경험에 따라서 작업 성적이 변하는 것을 ‘운동학습’이라 함
- 작업의 향상도 = 작업곡선으로 측정
- 기능적 능력은 기계적 능력, 공간적 능력, 조화 능력, 손재주 능력, 반응시간으로 구분
- 기능은 조직적 신체적,정신적 활동
- 기능은 인지발단 단계⇒ 연합단계⇒자동화단계
- 학습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규칙적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시기에 급속도로 진전되다가 어느 시기에는 정체하는 기복이 있음
(이러한 것을 표시한 것 = 학습곡선)
- 피로란 정신적, 신체적 작업에 의하여 개체의 심리적 기능과 작동 등의 부조화에 관련된 모든 현상을 말함(작업능률과 작업량 모두가 저하되는 상태)
- 모든 기능에 대하여 같은 교수원리가 적용되지는 않지만, 기능에는 일적인 교수원리와 절차가 존재한다.
- 특히 기능의 교수와 관련해서 주요한 개념으로 ‘의미’, ‘몰입’, ‘경쟁’, ‘가이드’, ‘피드백’, ‘적용’ 및 ‘지속’등과 같은 것이 있음
- 기능의 습득에서는 연습이 가장 중요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21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