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O와 BSC의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BO와 BSC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목표관리의 정의
- 목표관리(목표설정에 의한 관리)는 참여의 과정을 통해 생산활동의 목표를 명확하고 체계있게 설정하여 활용함으로써 관리의 효율화를 기하려는 관리방식 또는 관리체계이다.
- MBO는 참여의 과정을 통해 조직단위와 구성원들을 위하여 생산활동의 단기적 목표를
명확하고 체계있게 설정하고 그에 따라 생산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며, 활동의 결과를 평가.환류시키는 관리체제라고 할 수 있다.
- 공식적 목표를 실체화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MBO는 명확한 목표설정과 책임한계의 규정, 참여와 상하협조, 환류의 개선을 통한 관리개획의 개선, 조직참여자의 동기유발, 그리고 업적평가의 개선 등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려는 것이다.
2. MBO의 특징
- 첫째 :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 둘째 : 종업원들이 계획설정에 참여한다.
- 셋째 : 실적평가를 위한 계획기간이 명시 되어있다.
- 넷째 : 실적에 대한 피이드백 기능이 있다.
3. 목표관리의 성격
1) MBO는목표설정에 부하를 참여시킨다.
2) MBO는 조직전체의 목표와 하급자의 개별 목표를 민주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일치시킴다.
3) MBO는 성과와 능률을 중시한다.
4) MBO는 관리체제면에서 볼 때 집권화와 분권화를 잘 조화시킨 관리방식이다.
5) MBO는 매우 의도적인 관리 방식이다.
6) MBO는 보다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계획을 포함시키는 경향을 띠고 있다.
7) MBO는 통합적인 체제아래 이루어지는 종합적 관리방법이다.
4. 목표관리의 목표유형
1)양적 목표(quantitative objectives)
2)질적 목표(qualitative objectives)
3)예산 목표(budgetary objectives)
5. 목표관리의 기본 단계
1) 목표의 발견(finding the objectives)
2) 목표의 설정(setting the objectives)
3) 목표의 확인(validating the objectives)
4) 실행계획의 개발(developing action plans)
5) 목표의 수행(implementing the objectives)
6) 목표 달성 상태의 통제 및 보고(controlling and reporting status of the objectives)
7) 성과의 평가(evaluating the results)
8) 목표 관리의 재순환(recycling the MBO)
6. 목표관리의 장점과 그 효과
1) 보다 나은 관리(better managing)
2) 조직구조의 명확화(clarifies the structure their organization)
3) 효과적 통제 개발에 기여(clicits personal commitment)
4) 목표와 일관된 연계성(hierarchy of objectives)
5) 협력 체계의 구축(constructs cooperative system)
6) 동기부여 제공(provides motivations)
7. 목표관리의 단점과 문제점
1) MBO 철학에 대한 교육 결여 때의 문제
2) 목표설정의 어려움
3) 단기목표만을 강조하는 경향
4) 많은 시간과 노력 요구
5) 계량화하기 어려운 목표에 대한 문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7.1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545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