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조정의 예외
2. 조정의 예외
본문내용
, 팔을 다쳐 정중신경이 손상됨으로써 손목관절과 손가락 모두에 기능장해가 남은 경우는 하나의 원인(정중신경 손상) 때문에 2개의 장해(손목관절기능장해, 손가락기능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손목관절의 기능장해 때문에 손가락의 기능장해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파생장해로 취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파생장해가 아니므로 준용등급을 결정하여야 한다.
추천자료
평균임금증감제도
국민건강보험급여
[산재보험제도][산재보험][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산업재해보상보험]산재보험제도(산업재해보...
[덴마크][덴마크 문화][덴마크의 문화][사회보장][의무교육][산재보험]덴마크의 사회, 덴마크...
산업재해보험제도의 발전
[사회복지]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근기법상 평균임금에 대한 검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입법배경과 목적 및 대상, 보험급여와 비용 현황분석
[산업재해보상보험] 산재보험의 개념과 특징 및 종류와 현황에 대해 논하시오.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개요와 역사, 대상, 급여, 재정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 과제
산재 보험
[일용직]일용직노동자(일용근로자)의 근로기준법, 일용직노동자(일용근로자)의 근로계약, 일...
법제론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