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단백질의 개념
Ⅲ. 단백질의 종류
1. 단순 단백질
2. 복합 단백질
3. 유도 단백질
Ⅳ. 단백질의 분자 크기
Ⅴ. 단백질의 기능
Ⅵ. 단백질의 급원
Ⅶ. 단백질의 섭취량
Ⅷ. 단백질의 합성과정
1. 전사
2. 유전암호의 번역
3. 단백질 합성
Ⅸ. 새로운 단백질자원의 개발
1. 미생물 단백질
2. 효모 단백질
3. 곰팡이 단백질
4. 세균 단백질
5. 조류 단백질
6. 녹엽 단백질
7. 어류 단백질
참고문헌
Ⅱ. 단백질의 개념
Ⅲ. 단백질의 종류
1. 단순 단백질
2. 복합 단백질
3. 유도 단백질
Ⅳ. 단백질의 분자 크기
Ⅴ. 단백질의 기능
Ⅵ. 단백질의 급원
Ⅶ. 단백질의 섭취량
Ⅷ. 단백질의 합성과정
1. 전사
2. 유전암호의 번역
3. 단백질 합성
Ⅸ. 새로운 단백질자원의 개발
1. 미생물 단백질
2. 효모 단백질
3. 곰팡이 단백질
4. 세균 단백질
5. 조류 단백질
6. 녹엽 단백질
7. 어류 단백질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며, 각기 특성이 다른 여러 종이 소개되고 있다. 이는 외형적인 모양에서뿐만 아니라 성장 요구 물질 또는 성장 특성(유기물질 요구성, 암기 배양 등)에 따라서도 다양한 종이 있으며, carotenoid 색소를 형성하는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는 염(15% NaCl) 내성도 Chlorella sp.의 중요한 분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Chlorella sp.의 성장은 종에 따라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광합성에 의한 성장 및 증식에서 온도와 빛 강도는 매우 중요한 성장 및 증식 요소로 밤과 낮의 온도 조절이나 광주기(light dark)의 적절한 설정이 Chlorella sp.의 수확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한편, batch culture에서는 유기질소원 및 탄소원의 농도 조절이 온도와 pH 조절과 마찬가지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Chlorella sp.의 화학 조성은 배양조건에 따라 매우 큰 폭으로 변화하는데, 단백질 5060%, 당질 15-25%, 지질 2-65%로 특히 지질 함량 변화가 심하며, 이때에는 chlorophyll 색소의 함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배양 조건 특히 질소 함량에 따른 각 성분들의 함량은 Chlorella sp.의 종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한편, Chlorella sp.는 다량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식품 소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치어 양식을 위한 rotifer의 먹이로도 국내에서는 널리 이용되고 있고, 성장 중에 만들어지는 일부 물질(CGF:chlorella growth factor)은 유용한 물질로 이용될 수 있다.
생산 물질로는 지질, 색소, Polymers, 생리활성 물질이 있다. 미세조류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가장 풍부한 물질은 단백질이나, 단백질은 주로 균체 자체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성분이므로, 미세조류 생산 물질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지질, 당질, 색소, 비타민, 미네랄 및 특수 성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풍부한 물질 중의 하나가 지질이다. 지질은 비극성지질이나 극성지질 등이 생산될 수 있으며, 미세조류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지질(chlorosulfolipid, trimethyl- hoserine 등)도 확인된 바 있다. 미세조류에서 지방의 축적은 대체로 질소원의 결핍에서 유도되고, 미세조류의 처리 방법에 따라서도 그 함량이 크게 달라진다. 지방산의 조성은 미세조류에 따라 다르지만, GLA(S.platensis), AA(Porphyridium cruentum), EPA(Isochrysis galbana)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prostaglandin 생산은 항고혈압, 고지혈증 치료, 운동 및 지각장해,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기능으로 식품이나 화장품 첨가제로서도 그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 외에서 왁스, 스테롤류(Scenedesmus obliquus, Navicula pelliculoss 등) 및 다양한 탄화수소의 생산도 가능하다.
6. 녹엽 단백질
녹엽 단백질(leaf protein)은 식물의 녹엽을 마쇄하여 펄프상으로 용액하여 추출·정제한 단백질을 말한다. 이 단백질 용액을 80℃로 급격히 가열하여 응고시켜서 분말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이 녹엽 단백질 농축물(LPC) 은 60~70% 의 단백질과 20~30%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고,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 우수한 식량자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녹엽 단백질농축물은 강한 녹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며, 특유한 냄새로 인하여 현재까지는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나 천연 목초지가 많고 목초자원이 풍부한 국가에서는 장차 중요한 단백질의 자원이 될 수 있다. 현재 밀가루 등의 곡류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7. 어류 단백질
대부분의 어류는 질소 함량이 높고 보존성이 낮으며, 일시 다획성이고 저장시설이 빈약하고 경제성이 없을시에 동물의 사료용 가공에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경제성보다 우수한 식품가공품 으로서 각종생선묵 등을 개발함으로서 각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 졌다. 단백질의 자원으로서 어류 단백질 농축물(FPC) 이 개발되었고, 이는 인간의 식량 또는 가축사료 로서 효율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PC 제조는 어류를 찐 후 파쇄하고 압착하여 수분과 일부의 지방질을 제거한 다음 isopropyl alcohol 이나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다시 용매를 휘발시켜 제거하여 농축단백질을 만든다.
건조한 FPC 의 성분은 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단백질의 함량이 약 80% 정도로 높고 지방질의 함량은 매우 낮다. 또한 동물성 단백질 이기 때문에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무기질의 함량도 높다.
실제로 FPC 는 현재 가축의 사료용으로 다량 이용되고 식량으로 이용하는 국가인 스웨덴 에서는 빵을 만드는 밀가루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어류 단백질은 생선을 원료로 하여 위생적으로 농축 제조한 단백질 제품으로, 값싸고 저장성이 크며 생원료보다 훨씬 더 단백질이 농축되어 있다. 이 제품의 가공법에는 가능한 한 어류 중의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도록 용제를 이용하여 지질(脂質)·수분·냄새 등을 추출 제거하는 방법인 용제처리법(溶劑處理法)과 효소제제(酵素製劑)를 사용하여 어류를 액화한 다음 원심분리·용체처리 등으로 지질을 분리한 후 농축하는 액화법이 있다.
칠레에서는 농축어류 단백질을 첨가한 빵을 만들어 보급하였고, 말레이시아에서는 옥수수류에 혼합하며, 헝가리에서는 소시지 및 육류통조림에도 첨가한다. 그 밖에 제과의 재료, 수프 등 여러 가지 식품의 재료로도 이용하여 영양가를 강화하는 구실을 한다. 또한 청량음료의 첨가물로서 적합한 수용성 농축어류 단백질도 있다.
참고문헌
김해리·최정희(2001) / 단백질 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숙희 외 2명(1997) / 식생활과 건강, 신광출판사
한명규 / 최신식품학, 형설출판사
후지모토 다이사부로(1995) / 단백질이란 무엇인가, 전파출판사
현대인의 식생활과건강 / 건국대학교출판부
C.S 제임스, 우자원 역(2001) / 알기쉬운 식품분석학, 광문각
생산 물질로는 지질, 색소, Polymers, 생리활성 물질이 있다. 미세조류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가장 풍부한 물질은 단백질이나, 단백질은 주로 균체 자체를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성분이므로, 미세조류 생산 물질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지질, 당질, 색소, 비타민, 미네랄 및 특수 성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풍부한 물질 중의 하나가 지질이다. 지질은 비극성지질이나 극성지질 등이 생산될 수 있으며, 미세조류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지질(chlorosulfolipid, trimethyl- hoserine 등)도 확인된 바 있다. 미세조류에서 지방의 축적은 대체로 질소원의 결핍에서 유도되고, 미세조류의 처리 방법에 따라서도 그 함량이 크게 달라진다. 지방산의 조성은 미세조류에 따라 다르지만, GLA(S.platensis), AA(Porphyridium cruentum), EPA(Isochrysis galbana)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prostaglandin 생산은 항고혈압, 고지혈증 치료, 운동 및 지각장해,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기능으로 식품이나 화장품 첨가제로서도 그 가능성이 충분하다. 그 외에서 왁스, 스테롤류(Scenedesmus obliquus, Navicula pelliculoss 등) 및 다양한 탄화수소의 생산도 가능하다.
6. 녹엽 단백질
녹엽 단백질(leaf protein)은 식물의 녹엽을 마쇄하여 펄프상으로 용액하여 추출·정제한 단백질을 말한다. 이 단백질 용액을 80℃로 급격히 가열하여 응고시켜서 분말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이 녹엽 단백질 농축물(LPC) 은 60~70% 의 단백질과 20~30%의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고,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 우수한 식량자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녹엽 단백질농축물은 강한 녹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며, 특유한 냄새로 인하여 현재까지는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으나 천연 목초지가 많고 목초자원이 풍부한 국가에서는 장차 중요한 단백질의 자원이 될 수 있다. 현재 밀가루 등의 곡류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7. 어류 단백질
대부분의 어류는 질소 함량이 높고 보존성이 낮으며, 일시 다획성이고 저장시설이 빈약하고 경제성이 없을시에 동물의 사료용 가공에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경제성보다 우수한 식품가공품 으로서 각종생선묵 등을 개발함으로서 각 국가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그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 졌다. 단백질의 자원으로서 어류 단백질 농축물(FPC) 이 개발되었고, 이는 인간의 식량 또는 가축사료 로서 효율적이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PC 제조는 어류를 찐 후 파쇄하고 압착하여 수분과 일부의 지방질을 제거한 다음 isopropyl alcohol 이나 아세톤으로 추출하고 다시 용매를 휘발시켜 제거하여 농축단백질을 만든다.
건조한 FPC 의 성분은 원료와 제조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단백질의 함량이 약 80% 정도로 높고 지방질의 함량은 매우 낮다. 또한 동물성 단백질 이기 때문에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무기질의 함량도 높다.
실제로 FPC 는 현재 가축의 사료용으로 다량 이용되고 식량으로 이용하는 국가인 스웨덴 에서는 빵을 만드는 밀가루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어류 단백질은 생선을 원료로 하여 위생적으로 농축 제조한 단백질 제품으로, 값싸고 저장성이 크며 생원료보다 훨씬 더 단백질이 농축되어 있다. 이 제품의 가공법에는 가능한 한 어류 중의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도록 용제를 이용하여 지질(脂質)·수분·냄새 등을 추출 제거하는 방법인 용제처리법(溶劑處理法)과 효소제제(酵素製劑)를 사용하여 어류를 액화한 다음 원심분리·용체처리 등으로 지질을 분리한 후 농축하는 액화법이 있다.
칠레에서는 농축어류 단백질을 첨가한 빵을 만들어 보급하였고, 말레이시아에서는 옥수수류에 혼합하며, 헝가리에서는 소시지 및 육류통조림에도 첨가한다. 그 밖에 제과의 재료, 수프 등 여러 가지 식품의 재료로도 이용하여 영양가를 강화하는 구실을 한다. 또한 청량음료의 첨가물로서 적합한 수용성 농축어류 단백질도 있다.
참고문헌
김해리·최정희(2001) / 단백질 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김숙희 외 2명(1997) / 식생활과 건강, 신광출판사
한명규 / 최신식품학, 형설출판사
후지모토 다이사부로(1995) / 단백질이란 무엇인가, 전파출판사
현대인의 식생활과건강 / 건국대학교출판부
C.S 제임스, 우자원 역(2001) / 알기쉬운 식품분석학, 광문각
추천자료
유전자와 형질발현 중학교3학년 (단백질합성에 관한 학습지도안과 PPT등)
영양분( 탄수화물,단백질,지방,비타빈)에 대하여
Aquaporins(아쿠아 포린) 단백질
Kjeldahl법을 이용한 햄과 두부의 조단백질 정량
생물체 조성의 검사 II (단백질 검출)
[생물실험] 단백질과 뷰렛반응
분자생명공학을 이용한 인간 콜라겐 단백질 생산
21세기 영양학 4장 단백질 연습문제 풀이
[과학과 신앙]단백질
(A+ 레포트) 단백질의 변성에 대하여
(A+ 레포트) 단백질의 변성에 대하여
식생활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함에 있어서 단백질과 수분 섭취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세요 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