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화용론이란 무엇인가?
2. 화행이론의 정의
3. 화행이론의 철학적 배경
4. Austin의 초기 화행이론과 변청과정
5. 명시적 행위수행 공식
6. Austin 과 Searie의 언어행위 구분
(1)Austin
(2)Searle
7. Austin ,Searle,H abamas의 화행이론의 분류
(1) Austin
(2) Searle
(3) Habamas
8. 간접화행
9. 화행 실패이론
(1) Austin
(2) Searle
2. 화행이론의 정의
3. 화행이론의 철학적 배경
4. Austin의 초기 화행이론과 변청과정
5. 명시적 행위수행 공식
6. Austin 과 Searie의 언어행위 구분
(1)Austin
(2)Searle
7. Austin ,Searle,H abamas의 화행이론의 분류
(1) Austin
(2) Searle
(3) Habamas
8. 간접화행
9. 화행 실패이론
(1) Austin
(2) Searle
본문내용
여기서 세계와 발화는 일치, 심리적 상태는 소원을 뜻함
c:책무적 행위: 세계와 발화는 일치, 심리적 상태는 의도를 뜻함
d:표현적 행위: 세계와 단어 사이의 적응 방향이 없으며 심리 상태는 변한다.
e:선언적 행위: 판정적 행위와 유사하며 이 행위의 성공적 수행은 명제 내용과 현실 사이의 일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3) H abam as
1)의사전달 행위
발화를 통해 그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sagen,fragen,antworten,zugeben (인정하다) zitieren (인용하다)
2) 내용 설명행위
문장 내용을 통해 문장 내용을 설명한다. beschreiben (기술하다) mitteilen (알리다) erkiaren (설명하다) voraussagen (예언하다) deaten(해석하다) versichern (보증하다) bestreiten (반박하다) bezweifeln (의심하다)
3) 자기표현 행위
화자의 의도 및 입장 심리상태에 대한 표현의 의미를 설명한다. offenbaren(공개하다) gestehen (포박하다) preisgeben (포기하다)
4) 규칙관련 행위
준수 혹은 위반이 가능한 규칙들에 대한 화자의 입장 및 청자의 입장 의미를 설명한다.
befehlen,bitten ermachnen (경고하다) sichweigen (거절하다) versprechen 등
5) 제도적 언어 행위
각종 제도를 전제로 한다. begruBen (인사하다) danken (감사하다) gratulieren, taufen (세례를 베풀다), heiraten, wetten (내기하다) verurteilen (선고하다)
그런데 그는 의미구성과 의미 해석을 위한 부사의 특별한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고 m itteilen을 내용 설명 행위에 소속시킨다. 또 그는 단어의 다의 현상 즉 교차되는 의미 영역들이 성립한다는 점을 감안하지 않았다.
8. 간접화행
언표내적 행위 X가 다른 언표내적행위 Y 의 수행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행되면 전자를 간접화행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요구나 요청을 할 때 명령형보다 의문형이나 서술형을 사용하는데 발화형식은 의문이나 진술이지만 참 의도는 요청이다. 간접화행은 바로 이처럼 두 가지 IF를 가지는 경우이다. 간접화행의 이유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
화자는 간접화행을 통해서 청자에게 자기 발화로서 실제보다 더 많이 의사소통을 할수 있다.
A)아! 컵을 가져올걸!
B)컵! 여기 있습니다.
A)말 한마디로 그 뒤의 요청의 표현도 가능하다.
A)컵 좀 건네주세요!
B)컵 좀 건네주시겠습니까?
B)와 같은 공손한 표현의 간접화행을 통해 말의 의미가 더 잘 전달된다.
이러한 간접화행이라는 재구성의 요점은
1)발화자의 의도를 잘 포착한다.
2)또 다른 언표내적 목적을 찾는다.
2)에서 발화된 의문문이 다른 언표내적 행위의 예비조건에 관계한다.
A)소금 좀 건네주시겠습니까?
B)만일 가능하면 좀 건네 주십시오.
A)는 B)를 위한 예비조건이다.
그 외 예비조건에 관계하는 단언문, 명제 조건에 관계하는 단언문 이나 의문문, 진지성 조건에 관계하는 단언문, 화자가 원하는 바를 수행해야 하는 이유를 주장하거나 질문하는 경우 여러 종류의 언표내적 수행력에 관계한다.
간접화행 수행의 이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여지를 많이 남긴다.
2)원치 않는 의무를 회피한다.
3)언표내적 행위의 수행에 가능한 신분, 지위 또 권한의 이용을 회피하고 은폐한다.
4)공손한 의미의 말을 야기시킨다.
5)정중한 형식이 고려된다.
9. 화행 실패이론
(1) Austin
‘실패에 관한 이론’에서는 언어행위의 성공적 수행에 필수적 제약이 나온다.
1)행위 수행을 위한 규약적 절차, 관습이 있어야 한다.
ex)Ich beleidige dich로 누군가를 모욕할 관습은 없다.
2)관계되는 환경과 상황이 옳아야 한다.
ex)Ich befehle daB~~ 이 경우 올바른 위치의 사람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3)관습에 의해 요구된 과정은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완전해야 한다.
ex)Ich entschuldige m ich ,du bist keine Niete sondern Flasch로 사과 할 수 없다.
행위를 성취시키지만 규칙의 남용하에서만 가능한 게 있다.
1) 비 성실성
특정 의도나 감정을 내포하는 수행적 발화에서 화자는 실제로 의도나 감정을 가져야 한다.
ex)Ich verspreche daB ich mich darum kummern w erde 약속을 해 놓고 실행을 할 의도가 없는 경우 진지성이 결여되어 있다.
2) 인과성 순수성 결여
위와 같은 수행적 발화에서 기대된 행동은 역시 실현되어야 한다. 여기서 일관성이 필요한데 약속을 해 놓고 실행하지 않으면 모순된다.
또 Austin은 수행적 발화와 서술적 발화 사이의 문제점도 제시했다.
1) 서술적 발화도 실패할 수 있다.
ex)D ieser M ann ist unschuldig 라고 말하면서 죄가 있다고 믿는 경우 진지성이 결여되어 있다.
ex) Peter's K inder sind gute FuBballspieler이라고 말하는데 Peter에게 애들이 없으면 올바른 상황에 적용이 되지 않는다.
2)수행적 발화도 사실에 부합해 평가할 수 있다.
위 둘을 구분시킬 문법적 사전적 기준은 없다.
(2) Searle
그는 A ustin의 실패 이론을 명세화 하면서 구체적 언표내적 행위의 조건들을 구분한다.
1) 정상적인 입, 출력 조건
의미 있는 말하기와 이해에 대한 가장 일반적 조건들이 충족되어 있다.
2) 명제 내용의 조건
약속을 할 때 자신의 장래 행동에 대해 약속을 해야 한다.
3) 예비 조건
행위가 어떤 목적이나 의미를 가져야 한다는 사실에 관계한다. 누군가가 이미 하고 있는 일을 명령할 수는 없다. 즉 상황에 맞게 명령을 해야만 한다.
4) 진지성 조건
Austin의 성실성 조건에 해당한다.
5) 본질적 조건
언표 내적 행위의 본질이 어디 있는가를 명시한다. 명령, 의도, 책무가 명확하게 나타나야 한다.
6) 의미 이론적 조건
발화는 언어 관습을 토대로 언표내적 행위를 보장한다. Austin 의 첫 번째에 해당한다.
c:책무적 행위: 세계와 발화는 일치, 심리적 상태는 의도를 뜻함
d:표현적 행위: 세계와 단어 사이의 적응 방향이 없으며 심리 상태는 변한다.
e:선언적 행위: 판정적 행위와 유사하며 이 행위의 성공적 수행은 명제 내용과 현실 사이의 일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3) H abam as
1)의사전달 행위
발화를 통해 그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sagen,fragen,antworten,zugeben (인정하다) zitieren (인용하다)
2) 내용 설명행위
문장 내용을 통해 문장 내용을 설명한다. beschreiben (기술하다) mitteilen (알리다) erkiaren (설명하다) voraussagen (예언하다) deaten(해석하다) versichern (보증하다) bestreiten (반박하다) bezweifeln (의심하다)
3) 자기표현 행위
화자의 의도 및 입장 심리상태에 대한 표현의 의미를 설명한다. offenbaren(공개하다) gestehen (포박하다) preisgeben (포기하다)
4) 규칙관련 행위
준수 혹은 위반이 가능한 규칙들에 대한 화자의 입장 및 청자의 입장 의미를 설명한다.
befehlen,bitten ermachnen (경고하다) sichweigen (거절하다) versprechen 등
5) 제도적 언어 행위
각종 제도를 전제로 한다. begruBen (인사하다) danken (감사하다) gratulieren, taufen (세례를 베풀다), heiraten, wetten (내기하다) verurteilen (선고하다)
그런데 그는 의미구성과 의미 해석을 위한 부사의 특별한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고 m itteilen을 내용 설명 행위에 소속시킨다. 또 그는 단어의 다의 현상 즉 교차되는 의미 영역들이 성립한다는 점을 감안하지 않았다.
8. 간접화행
언표내적 행위 X가 다른 언표내적행위 Y 의 수행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행되면 전자를 간접화행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요구나 요청을 할 때 명령형보다 의문형이나 서술형을 사용하는데 발화형식은 의문이나 진술이지만 참 의도는 요청이다. 간접화행은 바로 이처럼 두 가지 IF를 가지는 경우이다. 간접화행의 이유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자.
화자는 간접화행을 통해서 청자에게 자기 발화로서 실제보다 더 많이 의사소통을 할수 있다.
A)아! 컵을 가져올걸!
B)컵! 여기 있습니다.
A)말 한마디로 그 뒤의 요청의 표현도 가능하다.
A)컵 좀 건네주세요!
B)컵 좀 건네주시겠습니까?
B)와 같은 공손한 표현의 간접화행을 통해 말의 의미가 더 잘 전달된다.
이러한 간접화행이라는 재구성의 요점은
1)발화자의 의도를 잘 포착한다.
2)또 다른 언표내적 목적을 찾는다.
2)에서 발화된 의문문이 다른 언표내적 행위의 예비조건에 관계한다.
A)소금 좀 건네주시겠습니까?
B)만일 가능하면 좀 건네 주십시오.
A)는 B)를 위한 예비조건이다.
그 외 예비조건에 관계하는 단언문, 명제 조건에 관계하는 단언문 이나 의문문, 진지성 조건에 관계하는 단언문, 화자가 원하는 바를 수행해야 하는 이유를 주장하거나 질문하는 경우 여러 종류의 언표내적 수행력에 관계한다.
간접화행 수행의 이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여지를 많이 남긴다.
2)원치 않는 의무를 회피한다.
3)언표내적 행위의 수행에 가능한 신분, 지위 또 권한의 이용을 회피하고 은폐한다.
4)공손한 의미의 말을 야기시킨다.
5)정중한 형식이 고려된다.
9. 화행 실패이론
(1) Austin
‘실패에 관한 이론’에서는 언어행위의 성공적 수행에 필수적 제약이 나온다.
1)행위 수행을 위한 규약적 절차, 관습이 있어야 한다.
ex)Ich beleidige dich로 누군가를 모욕할 관습은 없다.
2)관계되는 환경과 상황이 옳아야 한다.
ex)Ich befehle daB~~ 이 경우 올바른 위치의 사람만 명령을 내릴 수 있다.
3)관습에 의해 요구된 과정은 정확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완전해야 한다.
ex)Ich entschuldige m ich ,du bist keine Niete sondern Flasch로 사과 할 수 없다.
행위를 성취시키지만 규칙의 남용하에서만 가능한 게 있다.
1) 비 성실성
특정 의도나 감정을 내포하는 수행적 발화에서 화자는 실제로 의도나 감정을 가져야 한다.
ex)Ich verspreche daB ich mich darum kummern w erde 약속을 해 놓고 실행을 할 의도가 없는 경우 진지성이 결여되어 있다.
2) 인과성 순수성 결여
위와 같은 수행적 발화에서 기대된 행동은 역시 실현되어야 한다. 여기서 일관성이 필요한데 약속을 해 놓고 실행하지 않으면 모순된다.
또 Austin은 수행적 발화와 서술적 발화 사이의 문제점도 제시했다.
1) 서술적 발화도 실패할 수 있다.
ex)D ieser M ann ist unschuldig 라고 말하면서 죄가 있다고 믿는 경우 진지성이 결여되어 있다.
ex) Peter's K inder sind gute FuBballspieler이라고 말하는데 Peter에게 애들이 없으면 올바른 상황에 적용이 되지 않는다.
2)수행적 발화도 사실에 부합해 평가할 수 있다.
위 둘을 구분시킬 문법적 사전적 기준은 없다.
(2) Searle
그는 A ustin의 실패 이론을 명세화 하면서 구체적 언표내적 행위의 조건들을 구분한다.
1) 정상적인 입, 출력 조건
의미 있는 말하기와 이해에 대한 가장 일반적 조건들이 충족되어 있다.
2) 명제 내용의 조건
약속을 할 때 자신의 장래 행동에 대해 약속을 해야 한다.
3) 예비 조건
행위가 어떤 목적이나 의미를 가져야 한다는 사실에 관계한다. 누군가가 이미 하고 있는 일을 명령할 수는 없다. 즉 상황에 맞게 명령을 해야만 한다.
4) 진지성 조건
Austin의 성실성 조건에 해당한다.
5) 본질적 조건
언표 내적 행위의 본질이 어디 있는가를 명시한다. 명령, 의도, 책무가 명확하게 나타나야 한다.
6) 의미 이론적 조건
발화는 언어 관습을 토대로 언표내적 행위를 보장한다. Austin 의 첫 번째에 해당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