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ⅰ)90년대 소설
ⅱ)최인석 작가
Ⅱ. 본론
ⅰ) 배경[삼청교육대]
ⅱ) 줄거리
ⅲ) `순식`의 역할
ⅳ) “노래”의 의미
ⅴ) 인간의 폭력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자료
ⅰ)90년대 소설
ⅱ)최인석 작가
Ⅱ. 본론
ⅰ) 배경[삼청교육대]
ⅱ) 줄거리
ⅲ) `순식`의 역할
ⅳ) “노래”의 의미
ⅴ) 인간의 폭력성
Ⅲ. 결론
Ⅳ. 참고문헌&자료
본문내용
어떤 일이 행해졌는지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소설을 통해서 그 당시 삼청교육대의 악랄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소설이었다. 시작부분에서 입소자들에게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임을 강조하는 부분이 있다. 실제로는 전혀 민주가 아니며, 인권은 유린당하고 있는데 이런 내용은 본인이 보기에는 구색갖추기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절망적인 상황에서 입소자들에게 노래를 시키는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어느 누가 그러한 상황에서 노래를 부르고 싶겠는가? 결론적으로 이 사건을 계기로 그들에게 노래가 희망의 의미로 자리잡게 되었지만 , 지금 우리들에겐 생소하고, 어떻게 보면 약간의 잘못을 저질렀을 뿐인데 삼청교육대라고 하는 곳으로 끌려와 시도때도 없이 생사의 위험에 시달리는 이들의 생활을 보면서 본인역시 가슴이 아팠다.
김중사는 악랄한 집행자로서 그들에게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했다. 소설의 중간 부분에서 바늘로 인해 벌어진 상황에서는 김중사도 인간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때만큼은 김중사도 같은 사람으로 약간의 동정을 느끼게 한 것 같다.
소설을 읽으면서 실제로 이러한 일들이 이뤄졌는가 하는 의구심도 생겼지만 이러한 일들이 실제로 행해졌다면 당시의 국민들의 삶은 그야말로 억압과 탄압속의 삶이 아니었을까? 자유를 보장받지 못하고, 매우 엄격한 규율 속에서 지금의 우리는 얼마나 통제로부터 자유롭고 시간이 흘려 현재에는 인권을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알 수 있는 소설이었다.
Ⅵ. 참고문헌&자료
「소설구십년대」- 생각의 나무/공선옥
「한국문학과 비판적 지성」- 새문사/이동하
「20세기 한국소설 40」- 창비/최원식외 엮음
그러나 이 소설을 통해서 그 당시 삼청교육대의 악랄함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소설이었다. 시작부분에서 입소자들에게 우리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임을 강조하는 부분이 있다. 실제로는 전혀 민주가 아니며, 인권은 유린당하고 있는데 이런 내용은 본인이 보기에는 구색갖추기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절망적인 상황에서 입소자들에게 노래를 시키는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어느 누가 그러한 상황에서 노래를 부르고 싶겠는가? 결론적으로 이 사건을 계기로 그들에게 노래가 희망의 의미로 자리잡게 되었지만 , 지금 우리들에겐 생소하고, 어떻게 보면 약간의 잘못을 저질렀을 뿐인데 삼청교육대라고 하는 곳으로 끌려와 시도때도 없이 생사의 위험에 시달리는 이들의 생활을 보면서 본인역시 가슴이 아팠다.
김중사는 악랄한 집행자로서 그들에게 무자비한 폭력을 행사했다. 소설의 중간 부분에서 바늘로 인해 벌어진 상황에서는 김중사도 인간적인 모습을 보였다. 그때만큼은 김중사도 같은 사람으로 약간의 동정을 느끼게 한 것 같다.
소설을 읽으면서 실제로 이러한 일들이 이뤄졌는가 하는 의구심도 생겼지만 이러한 일들이 실제로 행해졌다면 당시의 국민들의 삶은 그야말로 억압과 탄압속의 삶이 아니었을까? 자유를 보장받지 못하고, 매우 엄격한 규율 속에서 지금의 우리는 얼마나 통제로부터 자유롭고 시간이 흘려 현재에는 인권을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알 수 있는 소설이었다.
Ⅵ. 참고문헌&자료
「소설구십년대」- 생각의 나무/공선옥
「한국문학과 비판적 지성」- 새문사/이동하
「20세기 한국소설 40」- 창비/최원식외 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