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안 기름유출 사고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게 분산 시켜 표면적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미생물에 의한 자연적인 분해작용을 촉진시키는데 있습니다. 이 유분산제 또한 많은 독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해양생물체에 피해가 적은 제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그 또한 완벽하지 않아 현재도 더 피해가 적은 유분산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일펜스도 사용하는데 오일 펜스 (Oil fence or Floating Boom) 는 해양에서의 유류 유출시 특정지역(예: 양식장 또는 주요 어장)의 보호를 위해 사고 해역 으로부터 유출유가 그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고 오염에 덜 민감한 지역으로 유출유를 회피시키는데 있습니다.
유류 흡착장치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유분을 잘 흡수하는 재질을 이용하여 해수 표층에 부유해 있는 기름을 빨아드려 제거하는 장치를 말하며 slick-licker 라고도 한다. 이러한 장치가 소형 선박에 설치되어 기동성을 높인 경우를 oil skimmer 라고 하며 보통 해수와 유분을 같이 흡수하여 유수분리기를 통해 유분만을 따로 제거하기도 합니다.
밑에 사진은 태안반도 기름이 유출이 되었다는 뉴스를 보고 전국에서 찾아온 약 20만명이 지금 현재까지도 헌옷과 부직포 등으로 기름을 닦고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일본에서도 시마네현 앞바다에서 발생한 유조선 나홋카호 침몰 사고는 모범적인 방제 성공 사례다. 태안 사고의 절반 정도인 6,240㎘의 기름이 유출됐을 당시 30만명 이상의 자원봉사자가 4개월여 동안 일일이 손으로 바다와 해안을 닦아내 재난을 극복했다라는 뉴스보도가 있었다. 이 점을 본받아 우리나라 국민들도 이런기회로 인해 모두들 한마음으로 뭉쳤으면 좋겠다. 그리고 지금 태안반도는 기름을 닦아내는 부직포나 헌옷등이 많이 부족한편이다. 잠시 시간이 난다면 집에 있는 헌옷을 태안반도에 착불로 해서 보내 보는건 어떨까^^ ?
6. 태안반도 기름유출로 인한 전망
약 140만 명(태안군 3월 집계)의 자원 봉사에 힘입어 점차 제 모습을 찾아가는 듯 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태안반도 생태계의 본격적인 피해는 지금부터가 아닌가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겉보기엔 점차 제 모습을 찾아가고 있지만 갯벌과 바다의 오염물질이 그대로 축적되면서 나타나게 될 어류와 갑각류, 조류 등 생물체의 폐사는 2-3대가 지난 뒤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더욱이 드러나지 않는 도서지역 등의 방치된 오염원이 2차, 3차의 피해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26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