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능급 및 직능자격제도의 문제점과 대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능급 및 직능자격제도의 문제점과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인사고과의 중심화 경향
3. 상한급을 초과한 추가승급 운용의 문제
4. 직능자격제도의 문제점
5. 잠재능력과 발휘능력의 혼동
6. '급여 > 직무가치' 현상의 원인
7. 표준년수의 문제점
8. 직능요건의 문제점
9. 직능급 제도의 개선 방향

본문내용

일어나게 해야 한다.
셋째, 직능요건이 연공요인이 되지 않게 컴피턴시 시스템으로 치환되도록 해야 한다( `21세기형 인사제도 `competency 시스템' 도입방법', 노동법률 1999.10월호 참조).
넷째, 등급별 표준체류년수제를 없애고 최단년수만을 설정 운용케 하며 도달표준연령제도와 최장체류년수제도도 폐지하여야 한다(표준년수제는 그냥 둔 채 발탁인사를 실시하면 발탁되지 않은 구성원의 불만을 살 수도 있다).
다섯째, 프랫트한 저층조직을 운용하기 위하여 직능자격등급수를 축소조정하여야 된다(기업의 업종 및 특성에 따라서는 무등급(무직급)제도를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개선대책으로 직능형 컴피턴시 시스템을 조성하여 국제화 시대에 맞는 국제경쟁력이 출중한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높은 성과를 올린 사람(HPI)의 바람직한 행동특성을 사내에서 벤치마킹하는 컴피턴시 시스템의 인사제도를 실현하여 나가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통적 직능자격제의 기능을 훨씬 능가하는 새로운 인사제도를 운용, 팀(조직)별, 개인별 능력을 육성하고 성과를 신장시켜 이에 맞는 고액의 급여관리로 각 개인의 동기를 적극 유발시키는 체제를 운용케 하여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9.23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