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의 신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우리의 구원의 소망이 있기 때문이다.
7) 묵시문학의 가는길(앞날)
인간은 현 세계에서 이상국가를 수립하려고 노력하지만 인간의 피조물적인 능력은 제한이 있다. ‘때’는 종말론적인 ‘새시대’를 말하는데 이것은 묵시문학적으로 전개되며 묵시적 종말론은 인류의 모든 희망을 간직하고 있는 미래의 세께를 향하여 가고 있는 ‘도상의 신학’이다. 그러므로 묵시문학의 갈길은 아직 멀다고 하겠다.
평가 비평
이 책에서 저자는 현대 신학적 종말론의 새로운 연구 방법이 시급히 요청됨을 자각하여 현대 신학적 종말론과 경전적 고대 종말론인 묵시문학의 종말 사상을 비교해 보고 특히 신약 성서의 마지막인 요한계시록의 종말 사상을 그 나름대로 신학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이것을 묵시문학일반과 관련시켜 보고 있다.
결국 이책 ‘요한 계시록 신학’은 작가가 의도한 대로 오늘날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그의 신학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본 묵시문학의 일반적인 해석과 그 의미등을 잘 나타내 보여주며 계시록의 바른 이해를 돕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우리는 이책을 통하여 묵시문학에서 계시록의 문제점을 밝히는 신학적인 연구 방법론을 통해 올바른 종말 사상은 교시해 주려는 저자의 의도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10.01
  • 저작시기200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4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