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산과 아미노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방산과 아미노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지방산의 구조
1. 지방산이란?
2.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3. 성질

<2>아미노산의 구조
1. 아미노산이란?
2. 필수아미노산이란?
3. 아미노산의 구조
4. 아미노산의 입체 화학

본문내용

d와 aspartic acid 측쇄 카르복시기가 아미드기로 된 아미노산이다.
<그룹 Ⅲ>의 아미노산은 측쇄에 질소원자가 있는 작용기, 즉 아미노기, 구아니딜(guanidyl)기, 이미다졸(imidazole)기를 가지고 있다. 이 그룹의 아미노산은 염기성아미노산이라고도 한다. 5-hydroxylysine은 collagen, trypsin, chymotrypsin에 존재하는 특수한 아미노산으로 아미노기와 히드록시기를 가져 친수성이 강하다.
<그룹 Ⅳ>의 아미노산은 히드록시기, 티올(Thiol, -SH)기, sulfide(-S-), disulfide(-S-S-) 결합을 가지고 있다. Methionine과 cystine은 소수성아미노산이다.
<그룹 Ⅴ>는 방향족고리(benzene 고리, indole 고리 등)를 가진 소수성의 아미노산이다. Phenylalanine과 tryptophan은 중성아미노산이고 tyrosine은 phenol성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약산성의 측쇄를 가지고 있다.
<그룹 Ⅵ>의 proline은 pyrrolidine 고리에 카르복시기가 붙은 구조를 하고 있다. 입체구조는 L-α-아미노산이 고리형으로 된 구조이다. 4-hydroxyproline은 특수한 아미노산으로 collagen과 gelatin에 존재한다.
4. 아미노산의 입체 화학
단백질을 구성하는 α-아미노산의 α 위치 탄소는 비대칭탄소이다. L-alanine을 Fisher의 투영식으로 나타내면 그림 ⒜와 같은 입체구조가 된다. L-alanine의 광학적 대장체(enantiomer)인 ⒝는 D-alanine이다. 이 예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α-아미노산의 입체구조를 나타내는 D-, L-의 기호는 α 위치의 아미노기가 Fisher의 투영식에서 왼쪽에 있을 때는 L-, 오른쪽에 있을 때는 D-가 된다. 이와 같이 아미노산은 1 위치의 카르복시기에 가까이 있는 α 위치(2 위치)의 탄소에 대한 입체배위(configuration)를 D-, L-의 기호로 표기한다. 그리고 S(sinister, 좌), R(rectus, 우) 표기법으로 α-아미노산의 입체구조를 나타내면 L-alanine의 경우 그림 ⒞와 같이 된다. 이 때 α 위치의 탄소의 치환기를 어떤 규칙에 따라 순위를 매기면 -NH2, -COOH, -CH3, -H의 순이 된다. Cα-H의 결합을 축으로 하여 순위가 높은 치환기에서 낮은 쪽으로 화살표를 그리면 그림 ⒞와 같이 좌회전 즉 (S)가 된다. 그림 3.4 ⒟는 D-alanine을 같은 방법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 화살표는 우회전 (R)이 된다. 그래서 L-alanine은 2(S)-alanine이 된다. 천연단백질을 구성하는 α-아미노산은 L-형인데 S, R로 나타내면 L-cysteine 이외에는 모두 2(S)-아미노산이다. 인간의 미각은 아미노산의 입체구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glutamate의 나트륨염은 좋은 맛을 나타내지만 D-glutamate의 나트륨염은 아무 맛도 없다. 이외의 아미노산에서도 L-형과 D-형의 맛이 다른 경우가 많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0.0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0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