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대와 사대 통합 필요성
사례
문제점
효과
사례
문제점
효과
본문내용
중등학교라는 것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말함) 담임제이긴 하지만 초등교육과는 성격상 거리가 많이 멀기 때문입니다.
교사대 통폐합의 문제를 밥그릇 싸움이라고 하는데 서로 가지고 갈 밥그릇이 전혀 다른데 왜 이런 싸움이 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교육의 질을 생각한다면 그 싸움 자체에 대한 논쟁은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교대 4년 교육을 받고 초등교사가 된 사람과, 2년 보수교육을 받고 초등교사가 된 사람과는 차이가 있지 않겠습니까?
현재 교육정책의 슬로건은 '학력 향상'입니다. 그리고 '영어'입니다. 교육이 자꾸 뒷걸음질을 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협동보다는 경쟁을 더 가르치고 있고, 또 학생들도 경쟁과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나라가 어떻게 되겠냐고 걱정을 하면서도 또 잘될거라는 기대와 희망을 버릴 수 없는 교사의 힘은 현재 너무나 미약합니다.
초등교사를 배출함에 있어서 그 폐쇄적인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대를 사대의 초등교육과로 통합은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혹자는 교대와 사대를 통합하여 임용고시 경쟁률을 높인다면 더욱 질 좋은 교사가 배출될거라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지금의 암기 위주식 임용고시가 계속 그 모양새를 유지하는 한 가장 암기력 좋은 임용고시 기술자만이 교사가 될 것입니다. 임용고시는 교사가 되기 위한 필요 조건은 될 수 있어도 충분조건은 절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차라리 사범대를 교대로 통합하는 것은 어떨지?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지금 사범대는 위에서 말했듯이 교대가 통합되면서 경쟁률이 높아지고 그 경쟁률을 뚫기 위해 임용고시를 잘 치기위해 암기식 위주로서만 공부하고 실전 경험은 교생실습 몇주 간이 다입니다. 한 대학에 단과대학으로 있기 때문에 복수전공 전과 그리고 교직이수 등 중등교사가 되는 길이 넓어지고 그에 따른 경쟁률은 높아지고 학생들 수는 점점 부족해지고 선생님을 준비 하는 사람은 늘어만 가고 쌓여만 갑니다. 그래서 사범대를 교대로 통합하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의 교대는 일단 교대에 입학하는 것 자체가 커트라인이 많이 올라서 1차적으로 수준 있는 사람들을 뽑게 됩니다. 사범대 또한 좋은 대학을의 커트라인이 높기 때문에 교대와 별 반 차이가 없지만 많은 대학에서 사범대학을 개설하여 거품이 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범대를 교대에 포함시켜 좀 더 전문화 시켜서 교사를 양성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교사대 통폐합의 문제를 밥그릇 싸움이라고 하는데 서로 가지고 갈 밥그릇이 전혀 다른데 왜 이런 싸움이 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또한 교육의 질을 생각한다면 그 싸움 자체에 대한 논쟁은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교대 4년 교육을 받고 초등교사가 된 사람과, 2년 보수교육을 받고 초등교사가 된 사람과는 차이가 있지 않겠습니까?
현재 교육정책의 슬로건은 '학력 향상'입니다. 그리고 '영어'입니다. 교육이 자꾸 뒷걸음질을 치고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협동보다는 경쟁을 더 가르치고 있고, 또 학생들도 경쟁과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사고를 하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 나라가 어떻게 되겠냐고 걱정을 하면서도 또 잘될거라는 기대와 희망을 버릴 수 없는 교사의 힘은 현재 너무나 미약합니다.
초등교사를 배출함에 있어서 그 폐쇄적인 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대를 사대의 초등교육과로 통합은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혹자는 교대와 사대를 통합하여 임용고시 경쟁률을 높인다면 더욱 질 좋은 교사가 배출될거라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 지금의 암기 위주식 임용고시가 계속 그 모양새를 유지하는 한 가장 암기력 좋은 임용고시 기술자만이 교사가 될 것입니다. 임용고시는 교사가 되기 위한 필요 조건은 될 수 있어도 충분조건은 절대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차라리 사범대를 교대로 통합하는 것은 어떨지?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지금 사범대는 위에서 말했듯이 교대가 통합되면서 경쟁률이 높아지고 그 경쟁률을 뚫기 위해 임용고시를 잘 치기위해 암기식 위주로서만 공부하고 실전 경험은 교생실습 몇주 간이 다입니다. 한 대학에 단과대학으로 있기 때문에 복수전공 전과 그리고 교직이수 등 중등교사가 되는 길이 넓어지고 그에 따른 경쟁률은 높아지고 학생들 수는 점점 부족해지고 선생님을 준비 하는 사람은 늘어만 가고 쌓여만 갑니다. 그래서 사범대를 교대로 통합하는 것입니다. 지금 현재의 교대는 일단 교대에 입학하는 것 자체가 커트라인이 많이 올라서 1차적으로 수준 있는 사람들을 뽑게 됩니다. 사범대 또한 좋은 대학을의 커트라인이 높기 때문에 교대와 별 반 차이가 없지만 많은 대학에서 사범대학을 개설하여 거품이 좀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사범대를 교대에 포함시켜 좀 더 전문화 시켜서 교사를 양성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추천자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학교경영과 의사결정
잘못된 교육행정 - 7.20 교육여건개선추진계획
교육행정 이론의 발달 과정
교육행정 및 교육 경영
교육행정 조직의 유형>
교육행정지도성
교육행정 및 경영의 조직
교육행정작용 - 장학행정
교육행정중 교육재정에 관해
<교육학>교육행정 및 경영-조직론
교육행정학의 이론(고전이론, 인간관계론, 행동과학론, 체제이론, 해석이론, 대안적 이론)
교육행정2-레포트교육기획효용성_반대와찬성
[보육시설행정이론] 인간관계이론 (인간관계의 개념, 인간관계론의 발달, 호손공장 실험 및 ...
여성과 교육행정 {관점의 차이, 교직의 여성화, 여교사의 행정적 진출}.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