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회의원의 면책특권
1) 면책특권의 의의
2) 면책특권의 법적 성질
가) 국회 및 국회의원의 특권
나) 인적 처벌조각사유
3) 면책특권의 성립요건
가) 주체 - 국회의원
나) 행위 - 면책의 대상과 범위
(1) 국회에서의 행위
(2) 직무상 행위
(3) 발언과 표결
4) 면책의 효과
가) 국회 외에서의 면책
나) 책임의 면제
다) 임기만료 후의 적용
2.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1) 의의
2) 법적 성질
3) 내용
가) 회기 중 의원의 체포ᐧ구금 금지
나) 회기 전 의원의 체포ᐧ구금과 국회의 석방요건
4) 불체포특권의 예외
가) 현행범인 체포
나) 국회의 동의가 있는 경우
3.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의 공통점 및 차이점
참고자료
1) 면책특권의 의의
2) 면책특권의 법적 성질
가) 국회 및 국회의원의 특권
나) 인적 처벌조각사유
3) 면책특권의 성립요건
가) 주체 - 국회의원
나) 행위 - 면책의 대상과 범위
(1) 국회에서의 행위
(2) 직무상 행위
(3) 발언과 표결
4) 면책의 효과
가) 국회 외에서의 면책
나) 책임의 면제
다) 임기만료 후의 적용
2.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
1) 의의
2) 법적 성질
3) 내용
가) 회기 중 의원의 체포ᐧ구금 금지
나) 회기 전 의원의 체포ᐧ구금과 국회의 석방요건
4) 불체포특권의 예외
가) 현행범인 체포
나) 국회의 동의가 있는 경우
3.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의 공통점 및 차이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동의를 얻으려고 할 때에는 관할법원의 판사는 영장을 발부하기 전에 체포동의요구서를 정부에 제출하여야 하며, 정부는 이를 수리한 후 지체 없이 그 요구서의 사본을 첨부하여 국회에 이를 요청하여야 한다. 그 의결은 헌법 제49조에 따라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한다.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의 공통점 및 차이점
국회의원의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은 세계 각국의 헌법에서 널리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법률이다. 국회의원의 이 두 가지 특권은 의원의 자유로운 의정활동을 보장함으로써 행정부로부터 자유로운 국회기능을 보장하려는데 그 의의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불체포특권은 의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의원의 특권이며, 의원이 범법행위를 한 경우에도 회기 중에는 체포당하지 아니하는 특권일 뿐, 범법행위에 대한 형사책임 면제의 특권은 아니다. 이와 같이 불체포특권은 회기 중에 한하여 체포를 일시적으로 유예 받는 특권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민형사상 책임이 영구적으로 면제되는 면책특권과는 구별된다.
참고자료
최윤철, [特講·憲法] 國會議員의 免責特權, 고시계사, 고시계 2006. 3
성낙인, (헌법)국회의원의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 고시계 1996. 5
윤정인, 예상문제답안 및 강평(헌법-국회의원의 면책특권·불체포특권), 고시계 2000. 10
채한태, [특별강좌/헌법] 국회의 권한, 고시연구사(월보), 2003. 2
대한민국국회, http://www.assembly.go.kr
헌법학원론(2007), 권영성, 법문사, 2007.02.15
국회제도개혁론, 강장석, 삼영사, 2008.03.01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의 공통점 및 차이점
국회의원의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은 세계 각국의 헌법에서 널리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법률이다. 국회의원의 이 두 가지 특권은 의원의 자유로운 의정활동을 보장함으로써 행정부로부터 자유로운 국회기능을 보장하려는데 그 의의가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불체포특권은 의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의원의 특권이며, 의원이 범법행위를 한 경우에도 회기 중에는 체포당하지 아니하는 특권일 뿐, 범법행위에 대한 형사책임 면제의 특권은 아니다. 이와 같이 불체포특권은 회기 중에 한하여 체포를 일시적으로 유예 받는 특권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민형사상 책임이 영구적으로 면제되는 면책특권과는 구별된다.
참고자료
최윤철, [特講·憲法] 國會議員의 免責特權, 고시계사, 고시계 2006. 3
성낙인, (헌법)국회의원의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 고시계 1996. 5
윤정인, 예상문제답안 및 강평(헌법-국회의원의 면책특권·불체포특권), 고시계 2000. 10
채한태, [특별강좌/헌법] 국회의 권한, 고시연구사(월보), 2003. 2
대한민국국회, http://www.assembly.go.kr
헌법학원론(2007), 권영성, 법문사, 2007.02.15
국회제도개혁론, 강장석, 삼영사, 2008.03.01
추천자료
선거제도, 선거구, 선거운동, 선거비용(선거에 관한 것 정리)
국민소환제 가능성 여부
친일파 청산 문제(친일파 청산운동의 현재적 의의와 과제)
미국 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형법총론]범죄의 의의 및 종류에 대한 검토(친고죄, 반의사불벌죄 등)
법의 효력
1970년대 시의 특징
언론, 방송에 사회조사와 관련된 내용의 사회조사 용어 10개
[경찰시험대비]2014대비 형소법총정리
통치기구
노무현 정권 시기의 선거 (16대 대선, 17대 총선)
언론, 방송에 사회조사와 관련된 내용의 사회조사 용어 10개
경찰의 기본임무 및 수단
사회복지법상의 법률관계,효력 (적용범위), 주체, 헌법상의 생존권적 기본권과 사회복지법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