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직물의 소재
1. 직물의 용어
2. 織物의製造
3. 織物의組織과種類
Ⅱ. 綿·合纖이부자리
1. 이부자리의 종류
2. 이 불
3. 여름 이불
4. 요
5. 방석
Ⅲ.羽毛 이부자리
1.羽毛 이부자리의 歷史
2. 우모 원료의 특성
3. 우모의 種類
4. 原料羽毛의 精製
5. 羽毛 이부자리
6. 우모와 원단과의 관계
Ⅳ.羊毛 이부자리
1.역사
2.羊毛의特性
3.양모 이부자리의 종류
4.이부자리용 양모
5. 퀼팅
6. 겉감의 종류
참고문헌
1. 직물의 용어
2. 織物의製造
3. 織物의組織과種類
Ⅱ. 綿·合纖이부자리
1. 이부자리의 종류
2. 이 불
3. 여름 이불
4. 요
5. 방석
Ⅲ.羽毛 이부자리
1.羽毛 이부자리의 歷史
2. 우모 원료의 특성
3. 우모의 種類
4. 原料羽毛의 精製
5. 羽毛 이부자리
6. 우모와 원단과의 관계
Ⅳ.羊毛 이부자리
1.역사
2.羊毛의特性
3.양모 이부자리의 종류
4.이부자리용 양모
5. 퀼팅
6. 겉감의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 퀼팅부분에 Tape를 세로로넣고 입체적인 공간을 만들어낸 것으로 우모의 분포가 균일하기 때문에 벌키성이 있어 퀼팅 부분에서의 열의 발산을 방지하므로 이불의 퀼팅방법으로는 최적이며 보온력도 뛰어나다.
◎ 부분입체퀼팅: 재래식 이부자리의 솜넣는 입구에 해당하는 곳만 입체퀼팅 한 것이다.
◎ 심레스퀼팅: 입체퀼팅 테이프를 미싱을 사용하지 않고 열압착에 의하여 겉감에 부착시키는것으로서 봉제구멍으로 나가는 열의 발산량이 적은 만큼 보온성이 우수함
다.다운 혼용율과 종류
다운,훼더 공히 각기 충전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지만 이부자리 충전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만으로는 완벽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다운과 훼더를 믹스하여 사용하고 있다.
6. 우모와 원단과의 관계
1) Down proof
(1)정의: DownProof란 오리나 거위의 천연소재인 우모나 합성사인Fibefill과 같은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감싸주는 직물로 충전물이 직물의 공극 사이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연소재인 우모의 부패를 방지함과 보온성,벌키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공기가 통하여야 하는 양면성을 요구하는 직물이다.
(2)우모가 새는 메커니즘: 우모가 제품에 충전될때 우모의 안에는 Down Ciuster 와Feather그리고 이들로부터 분리된 Fiber및 분쇄물인 Dust잡물 등이 함께 충전되고 있다. 그러나 우모제품은 활동이나 세탁에 의하여 침홀이 넓어지거나 이완되면 이 넓어진 침홀을 우모 특히 Feather등이 자극하여 더욱 넓어지게 되어 Fiber나Small Feather등이 새어 나오게 된다. 직물의 조직이 엉성하거나 Down Proof 가공이 완전치 못한 직물은 다량의 Dust가 같이 새어나오게 된다.
(3)Down Proof 원단의 종류: Down Proof원단의 용도는 크게 침구용과 의류용으로 대별되는데 침구용인 경우 독일에서는 Inlett,Einschutte,Atlas로 나뉘며 이불,베개 쿠션 등 인체와 직접 접속하므로 천연소재인 면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운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통상이다.
(4) Down proof 원단의 제조
우수한 Down Proof가공 처리된 제품이어야한다. 또한 어느 정도의 공기가 통하여 야만 되는 이유는 우모의 부패방지,벌키성과 보온성 유지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원단 및 우모내의 공기입자가 운동함으로써 보온성 및 Bulky성이 유지되는 비열향상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5) 우모 이부자리의 손질법
우모 이부자리는 흡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습기에 주의하여야만 한다.따라서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건조시키는 횟수는 잦아도 문제는 없다. 그러므로 일주에 한번은 건조시켜 줘야 하는데, 그 이유는 습한상태로 오래 방치한면 우모의 특성인 Bulky이 저하되며 우모 특유의 냄새가 난다.건조 방법은 그늘보다는 오히려 직사광선에서 건조하는 것이 좋다
Ⅳ.羊毛 이부자리
1.역사
羊毛이부자리는 유럽 특히 북구제국에서는 바이킹 이래의 전통에서 천연섬유중 에서도 羽毛와 더불어 침구에서도 주류를 이루어 왔다.
羊毛이부자리가 우리나라에서 주목을 받게된 것은 일본에서 국산체제가 확립되어 羊毛50%,합섬솜50%를 혼합한 이른바 믹스타입의 양모 이부자리가 등장하여 시장에 서도 큰 호평을 받고 난 이후인 극히 최근의 일이다.일본에서는 양모 이부자리 붐이 75년도에 들어와서야 일기 시작하였다.74년11월 IWS일본지부는 세계기준과 동등한 양모이부자리 품질기준을 처음으로 적용된 IWS의 울마크제도와 이것에 기초를 둔 울마크 인가기업이 양모 이부자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던 것이다.
2.羊毛의特性
(1) 탄성회복율
양모를 잡아당겨 늘리면 30% 가깝게 신장하지만 이를 놓으면 곧 완전하게 원상태로 되돌아 갈정도로 복원력이 강하다.
(2) 흡습성 放濕性
수분흡수성의 양호에 의해 섬유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은 섬유를 부풀게 함과 동시에 탄력이나 신장율을 증가 시키게 된다.
3.양모 이부자리의 종류
품목별로는 이불,간이이불,요,침대패드,베드스프레드,어린이 이부자리등이 있으며 양적으론는 요, 침대패드가 단연 우위에 있다.
4.이부자리용 양모
양모 이부자리는 내용년수가 긴것이 특징이지만,이것도 속솜의품질,혼합비율등에 의해 차이가 있으므로 탄력성이 있는 뉴질랜드産 양모와 사우스다운種,또 영국의 슈롭셔양모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또 이를 혼합하여 제품화 하고 있다.
5. 퀼팅
속솜은 겉감속에서 돌아 다니지 않도록 퀼팅하는 것이다.
퀼팅의 방법도 일반적인 것외에 보온성을 중요시하는 이불로서 상부와 하부의 퀼팅눈을 바꾸어 놓은것, 양모 솜속에 공기를 들여 놓으려는 생각에서 솜을5층으로 겹쳐 퀼팅한것 별개로 퀼팅하여 2매의 이불을 합쳐 한장으로 하고 그사이에 에어쿠션을 형성시킴으로서 평균적을로 단열효과를 얻은것 동일한 2층식이라도 상부에 우모,하부에 양모 혼면을 세트시킨 요나 니들편칭한 양모견면솜을 보통상태의 양모솜으로서 감싼것 납작해 짐을 방지하기 위해 딱딱한 우레탄폼을 중심부에 넣어 상층과 하층을 양모로서 감은3층 구조의 것도 있다.
6. 겉감의 종류
겉감은 울 100%의 경우 綿코마새틴의 270올 정도,50:50은 동 213올 급이 표준이다.
참고문헌
침구류 디자인 선호도와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 색과 무늬를 중심으로
권은순 저 | 성신여자대학교 발행, 응용미술학과 의상디자인 전공
寢具類 使用實態에 關한 硏究 : 서울 地域을 中心으로
신상무 저 | 漢陽大學校 발행, 衣類學科 전공
旣成 寢具類 標準化에 關한 硏究
문덕회 저 | 漢陽大學校 발행, 工業經營 전공
國産 幼兒用 寢具類 Design에 관한 硏究
전인숙 저 | 淑明女子大學校 발행, 産業美術學科 染織工藝Design 전공
선을 이용한 패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침구류 제품 개발 중심
고은숙 저 | 건국대학교 발행, 텍스타일디자인 전공
이불솜의 종류에 대한 유기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의 항미생물성 효과 비교
이은영 저 | 韓國敎員大學校 발행, 가정교육 전공
溫突에서 就寢時 이불種類에 따른 寢床氣候와 人體反應 硏究
권수애 저 | 서울大學校 발행, 衣類學科 전공, 1991
◎ 부분입체퀼팅: 재래식 이부자리의 솜넣는 입구에 해당하는 곳만 입체퀼팅 한 것이다.
◎ 심레스퀼팅: 입체퀼팅 테이프를 미싱을 사용하지 않고 열압착에 의하여 겉감에 부착시키는것으로서 봉제구멍으로 나가는 열의 발산량이 적은 만큼 보온성이 우수함
다.다운 혼용율과 종류
다운,훼더 공히 각기 충전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지만 이부자리 충전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만으로는 완벽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다운과 훼더를 믹스하여 사용하고 있다.
6. 우모와 원단과의 관계
1) Down proof
(1)정의: DownProof란 오리나 거위의 천연소재인 우모나 합성사인Fibefill과 같은 보온성이 우수한 충전재를 감싸주는 직물로 충전물이 직물의 공극 사이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천연소재인 우모의 부패를 방지함과 보온성,벌키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공기가 통하여야 하는 양면성을 요구하는 직물이다.
(2)우모가 새는 메커니즘: 우모가 제품에 충전될때 우모의 안에는 Down Ciuster 와Feather그리고 이들로부터 분리된 Fiber및 분쇄물인 Dust잡물 등이 함께 충전되고 있다. 그러나 우모제품은 활동이나 세탁에 의하여 침홀이 넓어지거나 이완되면 이 넓어진 침홀을 우모 특히 Feather등이 자극하여 더욱 넓어지게 되어 Fiber나Small Feather등이 새어 나오게 된다. 직물의 조직이 엉성하거나 Down Proof 가공이 완전치 못한 직물은 다량의 Dust가 같이 새어나오게 된다.
(3)Down Proof 원단의 종류: Down Proof원단의 용도는 크게 침구용과 의류용으로 대별되는데 침구용인 경우 독일에서는 Inlett,Einschutte,Atlas로 나뉘며 이불,베개 쿠션 등 인체와 직접 접속하므로 천연소재인 면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운백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통상이다.
(4) Down proof 원단의 제조
우수한 Down Proof가공 처리된 제품이어야한다. 또한 어느 정도의 공기가 통하여 야만 되는 이유는 우모의 부패방지,벌키성과 보온성 유지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원단 및 우모내의 공기입자가 운동함으로써 보온성 및 Bulky성이 유지되는 비열향상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5) 우모 이부자리의 손질법
우모 이부자리는 흡습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특히 습기에 주의하여야만 한다.따라서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건조시키는 횟수는 잦아도 문제는 없다. 그러므로 일주에 한번은 건조시켜 줘야 하는데, 그 이유는 습한상태로 오래 방치한면 우모의 특성인 Bulky이 저하되며 우모 특유의 냄새가 난다.건조 방법은 그늘보다는 오히려 직사광선에서 건조하는 것이 좋다
Ⅳ.羊毛 이부자리
1.역사
羊毛이부자리는 유럽 특히 북구제국에서는 바이킹 이래의 전통에서 천연섬유중 에서도 羽毛와 더불어 침구에서도 주류를 이루어 왔다.
羊毛이부자리가 우리나라에서 주목을 받게된 것은 일본에서 국산체제가 확립되어 羊毛50%,합섬솜50%를 혼합한 이른바 믹스타입의 양모 이부자리가 등장하여 시장에 서도 큰 호평을 받고 난 이후인 극히 최근의 일이다.일본에서는 양모 이부자리 붐이 75년도에 들어와서야 일기 시작하였다.74년11월 IWS일본지부는 세계기준과 동등한 양모이부자리 품질기준을 처음으로 적용된 IWS의 울마크제도와 이것에 기초를 둔 울마크 인가기업이 양모 이부자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던 것이다.
2.羊毛의特性
(1) 탄성회복율
양모를 잡아당겨 늘리면 30% 가깝게 신장하지만 이를 놓으면 곧 완전하게 원상태로 되돌아 갈정도로 복원력이 강하다.
(2) 흡습성 放濕性
수분흡수성의 양호에 의해 섬유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은 섬유를 부풀게 함과 동시에 탄력이나 신장율을 증가 시키게 된다.
3.양모 이부자리의 종류
품목별로는 이불,간이이불,요,침대패드,베드스프레드,어린이 이부자리등이 있으며 양적으론는 요, 침대패드가 단연 우위에 있다.
4.이부자리용 양모
양모 이부자리는 내용년수가 긴것이 특징이지만,이것도 속솜의품질,혼합비율등에 의해 차이가 있으므로 탄력성이 있는 뉴질랜드産 양모와 사우스다운種,또 영국의 슈롭셔양모를 구분하여 사용하고 또 이를 혼합하여 제품화 하고 있다.
5. 퀼팅
속솜은 겉감속에서 돌아 다니지 않도록 퀼팅하는 것이다.
퀼팅의 방법도 일반적인 것외에 보온성을 중요시하는 이불로서 상부와 하부의 퀼팅눈을 바꾸어 놓은것, 양모 솜속에 공기를 들여 놓으려는 생각에서 솜을5층으로 겹쳐 퀼팅한것 별개로 퀼팅하여 2매의 이불을 합쳐 한장으로 하고 그사이에 에어쿠션을 형성시킴으로서 평균적을로 단열효과를 얻은것 동일한 2층식이라도 상부에 우모,하부에 양모 혼면을 세트시킨 요나 니들편칭한 양모견면솜을 보통상태의 양모솜으로서 감싼것 납작해 짐을 방지하기 위해 딱딱한 우레탄폼을 중심부에 넣어 상층과 하층을 양모로서 감은3층 구조의 것도 있다.
6. 겉감의 종류
겉감은 울 100%의 경우 綿코마새틴의 270올 정도,50:50은 동 213올 급이 표준이다.
참고문헌
침구류 디자인 선호도와 구매동기에 관한 연구 : 색과 무늬를 중심으로
권은순 저 | 성신여자대학교 발행, 응용미술학과 의상디자인 전공
寢具類 使用實態에 關한 硏究 : 서울 地域을 中心으로
신상무 저 | 漢陽大學校 발행, 衣類學科 전공
旣成 寢具類 標準化에 關한 硏究
문덕회 저 | 漢陽大學校 발행, 工業經營 전공
國産 幼兒用 寢具類 Design에 관한 硏究
전인숙 저 | 淑明女子大學校 발행, 産業美術學科 染織工藝Design 전공
선을 이용한 패턴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침구류 제품 개발 중심
고은숙 저 | 건국대학교 발행, 텍스타일디자인 전공
이불솜의 종류에 대한 유기실리콘 제4급 암모늄염의 항미생물성 효과 비교
이은영 저 | 韓國敎員大學校 발행, 가정교육 전공
溫突에서 就寢時 이불種類에 따른 寢床氣候와 人體反應 硏究
권수애 저 | 서울大學校 발행, 衣類學科 전공, 1991
추천자료
[음악] 국악의 이해
계란 가공품의 이해와 분석-개념부터 다양한 활용제품까지 모두 포함
페미니즘에 대한 이해
기독교 대중음악의 이해
블루오션 마케팅전략에 대한 이해 및 분석(Blue Ocean)
내부장애에 관한 조사와 이해
조직행위론 - 팀제의 이해
영유아보육 법령 쳬계 이해
선교사 허드슨 테일러에 대한 이해와 허드슨 테일러의 선교방법에 대한 분석
가압류에 대한 분석과 이해
1학기 기말고사 사회복지의 이해 - 제2장 현대사회와 사회복지 , 제3장 사회복지의 발달
여성복지의 대상에 대한 이해와 여성복지서비스
[성의 이해] 포경수술에 관한 정의 및 찬반논란, 포경수술에 관한 나의 의견
팔꿈치elbow 질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