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단계: 95% 신뢰수준 발파진동추정식 산정
2단계 허용진동수준 결정
3단계 발파공법 결정 및 표준패턴
2단계 허용진동수준 결정
3단계 발파공법 결정 및 표준패턴
본문내용
2
138
1.9
0.20
171
1.3
0.11
177
4.8
0.28
143
0.41
0.06
137
0.42
0.07
36.5
1.37
1.01
4.2
0.27
6.70
196
0.39
0.04
103.5
4.82
0.57
41.8
0.35
0.32
29.3
0.98
1.09
30.4
1.01
1.06
2.54
0.95
32.70
94
1.5
0.28
145
1
0.11
24
2
2.30
167
1.5
0.12
37
1.8
1.20
33
4.6
2.72
43
4
2.31
59
5.12
1.80
110
4.5
0.73
(4) (3)의 결과 얻어진 데이터 세트를 진동계측치로 가정하여 평균진동추정식을 구한다.
v=162(SD)^-1.42
(5) 평균진동추정식의 기울기(n)를 고정한 채 선을 위로 옮겨 전체 데이터 중 95%를 선 아래에 두도록 한다. 이 때의 K값을 K95라 표시하고 식은 95% 신뢰수준 발파진동추정식 이라 한다.
-저희 조는 이미 신뢰도 95%의 그래프를 확대해서 본 결과, 약 1.5개의 점이 95%의 신뢰도의 그래프 위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을 따로 옮기지 않고 그대로 했습니다.
v=162(SD)^-1.42
2단계 허용진동수준 결정
(1) 임의의 보안물건을 산정한다.
말 농장
(2) (1)에 적용할 허용진동수준을 정하고 이유를 설명한다.
0.09cm/s로 하였다. 이 값은 가축의 허용진동수준인 0.1cm/s보다 적은 수치이다. 말은 예민한 동물이다. 동물에게 진동이 큰 스트레스로 미칠 경우, 번식효율 저하, 육질 저하, 폐사, 성장 저하, 유산, 사산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말 농장의 말들이 진동의 피해를 입을 경우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
3단계 발파공법 결정 및 표준패턴
(1) 허용진동수준과 95% 신뢰수준 발파 진동 추정식을 이용하여 허용환산거리를 구한다.
-우리가 구한 v=162(SD)^-1.42을 이용하고, 0.09cm/s를 적용하여 SD를 구하면, 194.98cm가 나온다. 단위를 m로 고치면, 1.95m가 나온다. 그러므로 허용환산거리는 1.95m 즉, 약 2m나온다.
(2) 허용환산거리로 부터 100 m 떨어진 지점에서의 허용장약량을 구한다.
허용환산거리를 1.95m라고 했을 때, 허용장약량(단당 장약량)은 0.27kg이 나온다.
(3)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의 도로공사 노천발파 설계.
표준발파공법 패턴 특성에서 정밀진동제어발파의 설계지발당 장약량은 0.25kg이므로 우리가 구한 장약량은 0.27kg과 거의 흡사하다. 그래서 정밀진동제어발파로 발파공법으로 정하였다.
Type II 정밀진동 제어발파 : 소량의 폭약으로 암반에 균열을 발생 시킨 후, 대형 브레이커에 의한 2차 파쇄를 실시하는 공법
표준패턴 : 정밀진동 제어발파
4단계 도로 발파 공법 구간 선정 및 발파 패턴 설계
(1) 폭 20 m, 길이 200 m 정도 되는 도로 공사 구간을 산정한다.
폭 - 14m, 길이 - 150m
(2) 보안물건의 위치를 적당히 정한다.
101.95m 정도 떨어진
(3) 상기 허용환산거리를 이용하여 발파공법별적용 거리구간을 구한다.
허용환산거리는 1.95m가 나왔다. 이에 반해 Type II 정밀진동 제어발파는 v = 0.09(cm/s)이므로 약 v = 0.1(cm/s)로 하였을 때, 적용 거리구간은 40~80m이 된다. 허용환산거리는 약 2m 이므로 이것은 2m 거리의 이상에서 발파를 해도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말 농장의 피해를 줄일 필요가 있으므로, 더 멀리에서 할 필요가 있다.
(4) 도면에 정리.
138
1.9
0.20
171
1.3
0.11
177
4.8
0.28
143
0.41
0.06
137
0.42
0.07
36.5
1.37
1.01
4.2
0.27
6.70
196
0.39
0.04
103.5
4.82
0.57
41.8
0.35
0.32
29.3
0.98
1.09
30.4
1.01
1.06
2.54
0.95
32.70
94
1.5
0.28
145
1
0.11
24
2
2.30
167
1.5
0.12
37
1.8
1.20
33
4.6
2.72
43
4
2.31
59
5.12
1.80
110
4.5
0.73
(4) (3)의 결과 얻어진 데이터 세트를 진동계측치로 가정하여 평균진동추정식을 구한다.
v=162(SD)^-1.42
(5) 평균진동추정식의 기울기(n)를 고정한 채 선을 위로 옮겨 전체 데이터 중 95%를 선 아래에 두도록 한다. 이 때의 K값을 K95라 표시하고 식은 95% 신뢰수준 발파진동추정식 이라 한다.
-저희 조는 이미 신뢰도 95%의 그래프를 확대해서 본 결과, 약 1.5개의 점이 95%의 신뢰도의 그래프 위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을 따로 옮기지 않고 그대로 했습니다.
v=162(SD)^-1.42
2단계 허용진동수준 결정
(1) 임의의 보안물건을 산정한다.
말 농장
(2) (1)에 적용할 허용진동수준을 정하고 이유를 설명한다.
0.09cm/s로 하였다. 이 값은 가축의 허용진동수준인 0.1cm/s보다 적은 수치이다. 말은 예민한 동물이다. 동물에게 진동이 큰 스트레스로 미칠 경우, 번식효율 저하, 육질 저하, 폐사, 성장 저하, 유산, 사산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말 농장의 말들이 진동의 피해를 입을 경우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생긴다. 그렇기 때문에 좀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
3단계 발파공법 결정 및 표준패턴
(1) 허용진동수준과 95% 신뢰수준 발파 진동 추정식을 이용하여 허용환산거리를 구한다.
-우리가 구한 v=162(SD)^-1.42을 이용하고, 0.09cm/s를 적용하여 SD를 구하면, 194.98cm가 나온다. 단위를 m로 고치면, 1.95m가 나온다. 그러므로 허용환산거리는 1.95m 즉, 약 2m나온다.
(2) 허용환산거리로 부터 100 m 떨어진 지점에서의 허용장약량을 구한다.
허용환산거리를 1.95m라고 했을 때, 허용장약량(단당 장약량)은 0.27kg이 나온다.
(3)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의 도로공사 노천발파 설계.
표준발파공법 패턴 특성에서 정밀진동제어발파의 설계지발당 장약량은 0.25kg이므로 우리가 구한 장약량은 0.27kg과 거의 흡사하다. 그래서 정밀진동제어발파로 발파공법으로 정하였다.
Type II 정밀진동 제어발파 : 소량의 폭약으로 암반에 균열을 발생 시킨 후, 대형 브레이커에 의한 2차 파쇄를 실시하는 공법
표준패턴 : 정밀진동 제어발파
4단계 도로 발파 공법 구간 선정 및 발파 패턴 설계
(1) 폭 20 m, 길이 200 m 정도 되는 도로 공사 구간을 산정한다.
폭 - 14m, 길이 - 150m
(2) 보안물건의 위치를 적당히 정한다.
101.95m 정도 떨어진
(3) 상기 허용환산거리를 이용하여 발파공법별적용 거리구간을 구한다.
허용환산거리는 1.95m가 나왔다. 이에 반해 Type II 정밀진동 제어발파는 v = 0.09(cm/s)이므로 약 v = 0.1(cm/s)로 하였을 때, 적용 거리구간은 40~80m이 된다. 허용환산거리는 약 2m 이므로 이것은 2m 거리의 이상에서 발파를 해도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말 농장의 피해를 줄일 필요가 있으므로, 더 멀리에서 할 필요가 있다.
(4) 도면에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