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정전치주의와 쟁의행위
2. 조정전치주의관련 주요 판례
2. 조정전치주의관련 주요 판례
본문내용
는 데에 있으며 쟁의행위 자체를 적극적으로 금지하려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위 각 규정에 위반함으로써 벌칙적용의 대상이 된다고 하여 이것만으로 바로 쟁의행위로서의 정당성이 상실된다고 볼 것이 아니라 그 위반행위로 말미암아 국민생활의 안정이나 사용자의 사업운영에 예기치 않는 혼란이나 손해를 끼치는 것과 같은 부당한 결과를 초래하는지의 여부 등 구체적 사정을 살펴서 그 정당성 유무를 가려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1. 5. 14. 선고 90누4006 판결) 같은 취지의 판례로 대법원 1991. 12. 10. 선고 91누636 판결, 1992. 9. 22. 선고 92도1855 판결, 1992. 12. 8. 선고 92도1645 판결,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누1094 판결 등이 있다.
추천자료
노동쟁의에 관한 판례 평석
우리나라의 노동쟁의와 유형, 사례, 국제비교
준법투쟁의 정당성
노동관계법상 조합활동의 정당성 판단기준
노동쟁의의 대상사항에 대한 법적 검토
노동법-조정판례 사례
노동쟁의
사적조정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준법투쟁의 유형별 정당성 판단
[노동조합법, 노조]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노동조합법)의 설립요건, 법인격, 노동조합및노...
[법, 법적 구제, 법적 권리, 법적 근거, 법적 이론, 법적 판단, 법적 형태, 법적 논쟁]법적 ...
[노동조합법]노동조합법(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의 특징, 설립요건, 노동조합법(노동조합...
[노사관계론] 12장. 단체 행동과 분쟁의 조정.pptx
부당노동행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