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징계시 소명권 행사 기회 부여의 의미
2. 피징계자의 방어권 포기
3. 소명권 행사를 위한 시기와 방법
2. 피징계자의 방어권 포기
3. 소명권 행사를 위한 시기와 방법
본문내용
만한 상당한 기간을 두고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것이다.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 조합원에게 징계를 주고자 할 때에는 피징계자에게 변론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그 통보의 시기와 방법에 관하여는 특별한 규정이 없다 하더라도 피징계자에게 변명과 소명자료를 준비할 만한 상당한 기간을 두고 징계위원회의 개최일시와 장소를 통보하여야 함은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지만, 원심이 적법히 인정한 사실관계에 있어 위 1988. 6. 4.자 통보는 피징계자인 원고가 변명과 소명자료를 준비할 만한 상당한 기간을 두고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반대의 입장에서 원심판결에 징계절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는 소론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대법원 1992. 5. 12. 선고 91다27518 판결)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 조합원에게 징계를 주고자 할 때에는 피징계자에게 변론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 그 통보의 시기와 방법에 관하여는 특별한 규정이 없다 하더라도 피징계자에게 변명과 소명자료를 준비할 만한 상당한 기간을 두고 징계위원회의 개최일시와 장소를 통보하여야 함은 소론이 주장하는 바와 같지만, 원심이 적법히 인정한 사실관계에 있어 위 1988. 6. 4.자 통보는 피징계자인 원고가 변명과 소명자료를 준비할 만한 상당한 기간을 두고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것이므로 반대의 입장에서 원심판결에 징계절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는 소론 주장도 받아들일 수 없다. (대법원 1992. 5. 12. 선고 91다27518 판결)
키워드
추천자료
대통령의 사면권 행사의 한계
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노동법 2)
[비정규직]비정규직의 실태, 비정규직의 문제점과 보호제도 및 구체적 법 개정안(다양한 사례...
[판례][롯데호텔 성희롱사건 판례][상표법 판례][증권 판례][노동관련 판례][고용보험법 판례...
휴직제도에 대한 근로기준법상 검토
불법 쟁의행위에 대한 책임에 대한 노동법적 고찰
사례 중심으로 분석한 무단결근과 해고의 정당성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규범적 부분 검토
불이익취급 성립요건으로써 인과관계 (부당노동행위)
인력 조정의 방법으로써 직무공유와 해고
노동쟁의이론과 쟁의행위의 정의와 유형 및 노동쟁의의 조절
[기업윤리] 한진중공업 & 쌍용자동차 부당해고
근로기준법 개요 및 적용관계- 근로기준법의 목적 및 특징, 상시 근로자 수에 따른 적용원칙,...
[고급경찰실무] 경찰관 직무집행법상 위법한 즉시강제의 피해사례와 구제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