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령제의 확립
2. 수령의 영도체계
3.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4. 사회정치적 생명체론과 유교
Ⅲ. 결론
Ⅱ. 본론
1. 수령제의 확립
2. 수령의 영도체계
3.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4. 사회정치적 생명체론과 유교
Ⅲ. 결론
본문내용
있을 것이다. 또한 인민대중을 사상적으로 단결시키고, 수령중심의 집단체제를 완성함에 그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는 수령제론과 연관하여 김정일로의 권력승계를 정당화하기 위해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을 주장한 것으로 보인다.
4. 사회정치적 생명체론과 유교
주체사상의 발전, 유일사상체계의 확립에 따라 수령에 대한 충성의 강조가 요구되었는데, 스즈키 마사유키에 따르면 이는 전통적인 유교사상과 그 맥을 같이한다. 혈연집단을 원형으로 하는 전통적 가족관의 입장에서 보면 사회정치적 생명체는 하나의 가족공동체가 된다. 부모에게 효를 다하는 것처럼 수령에게 충성을 요구하며 특히 육체적 생명을 부여하는 실제의 아버지보다 정치적 생명을 주는 수령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
Ⅲ. 결론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북한에서의 수령제논리에서는 사회전체가 수령과 당의 지도하에 하나의 생명체처럼 뜻을 함께하고 전진하며 그 중심에는 평범한 인간을 초월한 존재인 김일성, 김정일이 자리잡고 있다. 북한의 수령제를 이해함에 있어서는 그 논리에 대한 접근도 중요하지만 당시의 정치적 상황, 국내외적 환경 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정치적생명체론에 입각한 수령제 논리는 김일성이 정치적으로 급부상하게 되는 60년대에서 시작하여 김정일에 의한 체계화과정을 거쳐 현재도 북한사회를 통치하는 이데올로기로 존재하고 있다.
앞서 말한 많은 부분들은 북한 측에서 주장하고 있는 논리인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예를 들면 수령 개인의 비범함에 대해서 북한의 논리로는 태생자체가 이미 위대하게 태어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북한의 논리속에 비논리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수령제사회를 마치 신앙같이 보이도록 하는 면모가 있다. 그리고 수령제론이 계속 이어지려면 김정일 사후 후계자 문제가 북한의 당면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종합적으로 본다면 수령제 체제는 일체의 권력이 수령에게 집중되어 있고, 오직 한 명의 지도자만이 존재하는 유일사상체계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정치적생명체론에서 말하는 뇌수, 혈관, 세포의 비유는 이러한 체제의 이상형이기도 하며 실제로 존재하는 북한의 체제인 것이다.
※참고문헌
- 고유환 외, 『북한학 입문』, (들녘:2001)
- 스즈키 마사유키,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중앙일보사:1994)
- 와다 하루키, 『북조선 ;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도서출판 돌베개:2002)
- 전국대학북한학과협의회 『북한정치의이해』 , (을유문화사)
4. 사회정치적 생명체론과 유교
주체사상의 발전, 유일사상체계의 확립에 따라 수령에 대한 충성의 강조가 요구되었는데, 스즈키 마사유키에 따르면 이는 전통적인 유교사상과 그 맥을 같이한다. 혈연집단을 원형으로 하는 전통적 가족관의 입장에서 보면 사회정치적 생명체는 하나의 가족공동체가 된다. 부모에게 효를 다하는 것처럼 수령에게 충성을 요구하며 특히 육체적 생명을 부여하는 실제의 아버지보다 정치적 생명을 주는 수령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
Ⅲ. 결론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북한에서의 수령제논리에서는 사회전체가 수령과 당의 지도하에 하나의 생명체처럼 뜻을 함께하고 전진하며 그 중심에는 평범한 인간을 초월한 존재인 김일성, 김정일이 자리잡고 있다. 북한의 수령제를 이해함에 있어서는 그 논리에 대한 접근도 중요하지만 당시의 정치적 상황, 국내외적 환경 등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정치적생명체론에 입각한 수령제 논리는 김일성이 정치적으로 급부상하게 되는 60년대에서 시작하여 김정일에 의한 체계화과정을 거쳐 현재도 북한사회를 통치하는 이데올로기로 존재하고 있다.
앞서 말한 많은 부분들은 북한 측에서 주장하고 있는 논리인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 예를 들면 수령 개인의 비범함에 대해서 북한의 논리로는 태생자체가 이미 위대하게 태어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북한의 논리속에 비논리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수령제사회를 마치 신앙같이 보이도록 하는 면모가 있다. 그리고 수령제론이 계속 이어지려면 김정일 사후 후계자 문제가 북한의 당면과제로 떠오를 것이다.
종합적으로 본다면 수령제 체제는 일체의 권력이 수령에게 집중되어 있고, 오직 한 명의 지도자만이 존재하는 유일사상체계라고 할 수 있다. 사회정치적생명체론에서 말하는 뇌수, 혈관, 세포의 비유는 이러한 체제의 이상형이기도 하며 실제로 존재하는 북한의 체제인 것이다.
※참고문헌
- 고유환 외, 『북한학 입문』, (들녘:2001)
- 스즈키 마사유키,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중앙일보사:1994)
- 와다 하루키, 『북조선 ;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도서출판 돌베개:2002)
- 전국대학북한학과협의회 『북한정치의이해』 , (을유문화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