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행정상의 책임
Ⅱ. 형사상의 책임
Ⅲ. 민사상의 책임
Ⅱ. 형사상의 책임
Ⅲ. 민사상의 책임
본문내용
분상의 불이익을 주된 내용
일반국민의 재산상의 이익이나 자유생명까지도 박탈하는 것을 내용
대상
의무(법규)위반 공무원
형사법상의 의무위반(반사회적 법익침해)
시간적 한계
퇴직 후에는 처벌 불가
퇴직 후에도 처벌 가능
구성요건
고의과실을 요하지 않음
고의과실을 요함
양자의 관계
권력의 기초, 목적, 내용, 대상 등에서 서로 다르므로 양자를 병과할 수 있으며, 병과하여도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저촉되지 않는다.
Ⅲ. 민사상의 책임
- 경찰공무원이 직무상 불법행위로 특정 개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는 국가배상법에 의하여 국가가 피해자에게 배상을 하고 이때 경찰공무원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을 때”에는 국가가 행위자인 경찰공무원에게 구상하도록 하였으므로 경찰공무원은 민사상 배상책임을 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반국민의 재산상의 이익이나 자유생명까지도 박탈하는 것을 내용
대상
의무(법규)위반 공무원
형사법상의 의무위반(반사회적 법익침해)
시간적 한계
퇴직 후에는 처벌 불가
퇴직 후에도 처벌 가능
구성요건
고의과실을 요하지 않음
고의과실을 요함
양자의 관계
권력의 기초, 목적, 내용, 대상 등에서 서로 다르므로 양자를 병과할 수 있으며, 병과하여도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저촉되지 않는다.
Ⅲ. 민사상의 책임
- 경찰공무원이 직무상 불법행위로 특정 개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는 국가배상법에 의하여 국가가 피해자에게 배상을 하고 이때 경찰공무원에게 “고의 또는 중과실이 있을 때”에는 국가가 행위자인 경찰공무원에게 구상하도록 하였으므로 경찰공무원은 민사상 배상책임을 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공무원법.
행정상의무이행확보수단
공무원 보수에 관한 레포트
[행정법]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공무원의 분류, 공무원의 직무특성과 유형, 공무원제도의 행정가치, 공무원 교육훈련의 의의 ...
[인사행정] 공무원 동기부여 방법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지방공무원 승진제도의 관한 연구
[공무원후생복지][재원조달][운영방식][공무원][후생복지][복지운영][복지정책][여건분석]공...
[직무규정(업무규정), 사외이사]회사 사외이사의 직무규정(업무규정), 보험회사 감사의 직무...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보수
[행정통제론] 행정공개에 의한 통제와 공무원노조에 의한 통제에 대한 이해와 정리
[행정법레포트] 국가배상청구권의 성질, 국가와 공무원에 대한 선택적 청구권 허용의 여부
역대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자치경찰제 추진경과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