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의 음식 문화 - 지방별 특징, 식사방법, 코스요리, 대표음식, 와인, 식사예절 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탈리아의 음식 문화 - 지방별 특징, 식사방법, 코스요리, 대표음식, 와인, 식사예절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이탈리아 지역의 특성
- 자연환경 및 식생활

2. 이탈리아의 요리역사와 지방별 특징

3. 이탈리아 식재료와 주요음식

4.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식사방법

5. 식사코스(정찬코스)와 대표요리

6. 이탈리아 와인

7. 식사예절 및 습관

본문내용

이(Tocai) 품종으로 만들어진다.
3. 리구리아(Liguria)
리구리아는 이태리의 와인지역 중에서 가장 작은 면적을 가진 지역의 하나다. 그러나 이곳은 진정한 포도연구의 낙원이다. 이 지역의 오랜된 곳과 고대의 포도원에서는 100여종이 넘는 포도나무를 불 수 있다. 리구리아는 단지 7개의 DOC와인을 가지고 있다. 라 스페치아(La Spezia)는 북쪽해안을 따라서 드라이 화이트 와인인 칭꿰 테레(Cinque Terre) 와 스키아트라(Sciacchetra)라고 알려진 같은 지역 포도로 만든 리큐르 와인이다. 건포도로 만든 새케트는 디저트 와인이며 드라이한 것은 호박색의 아페리티프이다.
4. 토스카나(Toscana) : 키안티의 산지
토스카나는 이탈리아 와인의 본고장이며, 짚으로 싼 키안티는 세계인들의 뇌리 속에 이탈리아 레드와인을 생각나게 한다.
키안티는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포도를 혼합하여 만든다. 주요 품종은 산지오베제(Sangiovese)로서 전체의 50-80%, 카나이올로 네로(Canaiolo Nero)가 10-30%, 화이트 트레비아노 토스카노(Trebbiano Toscano), 말바지아 델 키안티(Malvasia del Chianti)가 10-30%를 차지하며 나머지 5% 정도는 이 지역 토종 포도를 사용한다. 키안티의 대표적인 양조 방법은 발효가 끝난 후 감미가 있는 포도즙을 첨가함 으로써 와인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다.
a. 키안티 (Chianti) : 6개월~1년정도 숙성시키는, 후레쉬하면서 가벼운 와인이다. 이 와인은 산도가 풍부해 기름진 음식에 잘 어울린다.
b. 키안티 클라시코(Chianti Classico) : 포도원의 중앙 지역에서 생산된 양질의 포도로 만들어진다. 최소 2년을 오크 숙성시키며, D.O.C.법에 의해 엄격하게 모든 과정이 통제되는 고품질이 와인이다.
c. 키안티 클라시코 리제르바(Chianti Classico Riserva) : 병입 되기 전 오크 통에서 3년 숙성. 보르도의 샤또와 병모양 품질관리 전통 등이 비슷하다. 리제르바는 산도와 탄닌이 조화를 이룬 강건하면서도 부드러운맛이 특징
5. 라찌오(Lazio)
이탈리아의 로마를 감싸는 지역으로서 이 지역은 2,000년 전부터 와인을 만들어 왔다. 주로 개운한 느낌을 주는 드라이한 맛의 화이트 와인이 많이 생산되고 레드 와인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가볍고 신선한 프라스카티(Frascati), 마리노(Marino), 카스텔리 로마니(Castelli Romani)를 추천한다. 이들 와인들은 영(Young)하고, 후레쉬한 상태에서 마시는 것이 좋다.
6. 캄파니아(Campania)
이태리 남서부, 나폴리 동쪽 베수비우스(Vesuvius) 산이 우뚝 솟아 있는 캄파니아는 지구상에서 가장 독특한 지역 중의 하나이다. 화산 폭발로 생긴 검은 속돌들이 땅에 깔려 토양을 기름지게 한다. 기후는 이상적이며 모든 작물이 잘 자라 일년에 삼모작을 할 수 있다. 포도나무는 왕성하게 자란다. 라크리마 크리스티(Lacrima Christi)는 캄파니아에서 가장 유명한 와인이다. 이것은 베수비우스 산 근처의 낮은 산등성 포도원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너무 드라이하지 않고 부드러우며 우아하고 향기가 좋은 황금색 와인이다. 이것은 뜨거운 화산 토양에서 얻어지는 특질일 것이다. 소량의 레드와 로제 라크리마도 생산된다.
7. 시칠리아(Sicilia)
마피아와 마르살라로 유명한 시칠리아는 이탈리아 반도 남서쪽에 위치한 큰 섬으로, 모든 유형의 와인이 이 곳에서 생산된다. 평범한 테이블 와인에서부터 알코올 함유량의 많은 디저트 와인에 이르기까지 150여 종류에 이른다.
a. 마르살라 와인 : 마르살라는 카타라토(Catarrato), 그릴로(Grillo), 인졸리아(Inzolia) 품종으로 만든 와인을 알코올 강화시킨 것이다. 마살라는 트라파니(Trapani), 팔레르모(Palermo), 아그리젠토(Agrigento) 지역에서 주로 생산된다. 이 와인은 드라이, 세미-드라이, 스위트, 매우 스위트하게 만들어진다. 이 지역의 화산토가 마르살라에게 마데라와 비슷한 산도를 준다.
* 이탈리아 와인 등급*
이탈리아의 등급분류에는 크게 세 가지 DOCG, DOC .VDT로 분류된다.
a. VDT 등급 (Vino da Tabla) : 프랑스의 뱅 드 타블에 해당된다. 일반 테이블 와인으로 저렴하여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와인이다.
b. DOC 등급 (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 D.O.C 원산지 통제표시 와인 품질을 결정하는 위원회에 의하여 원산지, 수확량, 숙성기간, 생산방법, 포도품종, 알코올 함량 등을 규정하고 있다.
c. DOCG 등급 (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 : 원1965년에 만들어진 등급 분류에서 최고급을 말한다. 산지 통제 표시 와인으로 정부에서 보증한 최상급 와인 (특급와인)을 의미한다.
4. VdTIGT : 그 외 DOC의 바로 밑에 1992년에 새롭게 등급을 신설. 프랑스의 뱅 드 페이에 해당된다.
7. 식사예절 및 습관
①손의 청결에 주의한다.: 감자튀김이나 뼈를 빼지 않은 고기, 빵 등은 손으로 먹기 때문에 손의 청결에 주의해야한다.
②식사 도중 식탁에서 손을 식탁 밑으로 내리지 않으며 팔꿈치를 식탁 위에 올려놓지 않는다.
③공동의 큰 접시에 담겨져 나온 음식에서 원하는 부위를 고르기 위해 뒤적거리며 가져오는 것은 큰 실례이다.
④이탈리아인들의 식탁 위에는 기본적으로 오일과 소금이 놓여있는데 필요할 때는 본인이 직접 가서 가져다 먹는 것이 예의 있는 행동이다. 옆 사람에게 달라고 하지 않는다.
* 소금이나 후추통을 다른사람에게서 건네 받으면 좋지 않다는 독특한 미신이 있기 때문이다.
⑤샐러드는 반드시 각자의 접시에 덜어서 소스를 첨가하여 먹는다. 각자의 소스에 대한 취향을 존중해주기 때문이다. 소스가 따로 안 나오는 경우에는 식탁 위에 놓여있는 올리브 오일과 소금, 후추 등을 자기 입맛에 맞게 넣어 먹는다.
⑥식탁이나 식탁을 떠나서도 트림을 하는 것은 예의에 크게 어긋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1.0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1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