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전교육의 개념
2. 가정 안전의 현황
3. 가정의 위험
4. 안전한 가정을 위한 사고예방 3단계
5. 가정의 안전수칙과 점검
6. 위치별 가정 안전
7.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용품들
2. 가정 안전의 현황
3. 가정의 위험
4. 안전한 가정을 위한 사고예방 3단계
5. 가정의 안전수칙과 점검
6. 위치별 가정 안전
7.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용품들
본문내용
인한 화상사고를 예방한다.⑤ 냉장고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⑥ 너무 작은 냉장고 자석은 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화장실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평소에 화장실 욕조에 물기가 없어야 한다.② 가장 뜨거운 물의 온도가 49℃이하가 되도록 조절되어 있어야 한다.③ 세안 용품이 있는 서랍장이 닫혀 있고 잠금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④ 전기 콘센트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⑤ 변기덮개 잠금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⑥ 비누·세제를 아이들 손이 닿는 바닥에 두지 않는다.⑦ 바닥에 물기가 없고 미끄럽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2) 지도사항
① 세면대에 매달리거나 변기뚜껑을 밟고 위에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② 욕실 바닥에 장난감을 늘어놓고 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③ 뜨거운 수도꼭지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④ 전기제품을 만지지 못하도록 가르칩니다.⑤ 화장실에서 뛰거나 장난하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⑥ 세탁기를 만지지 못하도록 가르칩니다. ⑦ 화장실의 세제들을 입에 대지 않도록 단단히 주의시킵니다.⑧ 변기 안으로 머리를 들이밀지 않도록 가르칩니다.
4] 베란다
베란다나 창문에서 추락하게 되면 큰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나 아기들이 모르고 올라갈 수도 있고 난간 사이에 빠져 추락할 수도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베란다나 창문 가까이에서 장난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베란다나 창문에는 난간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난간의 높이는 난간이 시작되는 바닥으로부터 최소한 110cm 이상으로 몸의 중심보다 난간이 높아야 한다. 난간세로대의 간격은 11cm 이하이면 안전하다고 본다. 머리가 빠져나가면 몸통도 빠질 수 있으므로 난간대의 간격이 머리의 크기보다 좁아야 한다. ② 베란다나 창문 주변에 받침대가 될만한 가구나 물건을 두지 않는다. ③ 베란다나 창문 위에는 아무 것도 올려두지 않는다.④ 베란다 문이나 창문에 잠금장치를 하여 아이가 혼자 문을 열 수 없도록 한다.
2) 지도사항
① 베란다나 창문 주위에서 아이가 혼자 놀지 못하도록 주의시킨다.② 베란다나 창문 밖으로 상체를 내밀지 못하도록 주의시킨다.
5] 현관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비나 눈이 오는 날은 특히 현관에 물기가 없도록 자주 닦아준다. 바닥이 미끄러워 넘어질 위험이 있다. 다소 물기가 있어도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매트 같은 깔개를 깔아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② 현관은 항상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여 널려진 신발이나 가구들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③ 현관문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이 자동적으로 서서히 닫히게 되는 장치(도어체크)를 하거나 문이 닫히는 속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④ 현관에 아래에서 위로 발을 비추는 발조명을 설치하면 불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도 않고 안전에 도움을 준다.
2) 지도사항
① 집안에 들어올 때 현관에 신발을 가지런히 정리하도록 가르친다.② 현관문을 여닫을 때 조심하도록 주의시킨다.③ 현관에 설치된 손잡이와 발조명 스위치의 사용법과 위치를 알려준다.
6] 계단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계단의 경사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적어도 45도 이하, 가능하면 3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② 계단이 끝나는 점까지 충분한 높이의 튼튼한 난간을 설치하며 추락의 위험을 방지한다. ③ 계단의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물기가 있을 경우 즉시 제거하고 왁스를 과도히 칠하지 않는다.④ 계단 하나 하나에 미끄럼 방지틀을 설치하여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한다.⑤ 계단은 항상 밝게 조명합니다. ⑥ 계단 위 음식물이나 물건으로 어지러워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계단과 계단주변을 항상 청결히 유지한다.⑦ 계단 옆의 벽에 어린이의 시선을 끌 수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걸지 않는다.
2) 지도사항
① 계단 주변에 장난감을 널어두거나 음식물을 흘리지 않도록 주의시킨다.② 계단 위에서 놀지 않도록 가르친다.③ 계단을 내려오면서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거나 다른 일을 하지 않도록 지도한다.④ 계단을 내려올 때는 반드시 난간을 잡도록 하며 한 칸씩 내려오도록 가르친다.⑤ 어두울 때 계단을 이용할 경우 반드시 계단 조명을 사용하도록 가르친다.⑥ 주머니에 손을 넣고 계단을 오르내리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⑦ 계단 난간은 아이의 머리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충분히 좁아야 (10cm보다 ) 한다.
⑧ 계단 위, 아래 부분에 문이 달려 있으면 추락을 막아주고, 혼자 계단에서 노는 것을 막아준다.
⑨ 계단 옆 벽에 아이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그림을 걸지 않도록 한다. 주의를 빼앗아 계단에서 구르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7.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용품들
다칠 위험이 많은 곳에 안전용품을 사용해 미리미리 예방한다면 좀더 안전한 가정을 만들 수 있다. 각각의 장소에 필요한 안전 용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잠금장치서랍, 장식장 등의 각종 수납장과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여닫는 부분을 고정시켜 아이들이 여닫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날카로운 주방용품이나 공구들을 보관할 때는 반드시 필요하다.
① 싱크대 잠금장치 ② 냉장고 잠금장치
③ 변기 잠금장치 ④ 비디오 덮개
2) 문 고정장치문과 벽 또는 바닥사이에 고정하여 문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어서 다치는 일을 막기 위해 설치합니다. 손가락안전보호대
3) 콘센트 안전마개
감전사고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4) 가구 모서리 보호캡뾰족한 가구의 모서리에 씌워서 가구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5) 미끄럼 방지 패드바닥이 미끄러워 낙상의 위험이 있을 때 부착하는 것으로 주로 욕실에서 많이 사용한다.
동영상 : 가정안전보건 동영상
http://blog.daum.net/koshanet/11338432?srchid=BR18198597e9d0c434b1463d85142a94f199b88677e__http%3A%2F%2Fblog.daum.net%2Fkoshanet%2F11338432
⑥ 너무 작은 냉장고 자석은 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 화장실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평소에 화장실 욕조에 물기가 없어야 한다.② 가장 뜨거운 물의 온도가 49℃이하가 되도록 조절되어 있어야 한다.③ 세안 용품이 있는 서랍장이 닫혀 있고 잠금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④ 전기 콘센트는 어린이 손에 닿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⑤ 변기덮개 잠금 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⑥ 비누·세제를 아이들 손이 닿는 바닥에 두지 않는다.⑦ 바닥에 물기가 없고 미끄럽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장치가 되어 있어야 한다.
2) 지도사항
① 세면대에 매달리거나 변기뚜껑을 밟고 위에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② 욕실 바닥에 장난감을 늘어놓고 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③ 뜨거운 수도꼭지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④ 전기제품을 만지지 못하도록 가르칩니다.⑤ 화장실에서 뛰거나 장난하지 않도록 주의시킵니다.⑥ 세탁기를 만지지 못하도록 가르칩니다. ⑦ 화장실의 세제들을 입에 대지 않도록 단단히 주의시킵니다.⑧ 변기 안으로 머리를 들이밀지 않도록 가르칩니다.
4] 베란다
베란다나 창문에서 추락하게 되면 큰 부상을 당하거나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나 아기들이 모르고 올라갈 수도 있고 난간 사이에 빠져 추락할 수도 있으므로 어린이들이 베란다나 창문 가까이에서 장난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베란다나 창문에는 난간이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난간의 높이는 난간이 시작되는 바닥으로부터 최소한 110cm 이상으로 몸의 중심보다 난간이 높아야 한다. 난간세로대의 간격은 11cm 이하이면 안전하다고 본다. 머리가 빠져나가면 몸통도 빠질 수 있으므로 난간대의 간격이 머리의 크기보다 좁아야 한다. ② 베란다나 창문 주변에 받침대가 될만한 가구나 물건을 두지 않는다. ③ 베란다나 창문 위에는 아무 것도 올려두지 않는다.④ 베란다 문이나 창문에 잠금장치를 하여 아이가 혼자 문을 열 수 없도록 한다.
2) 지도사항
① 베란다나 창문 주위에서 아이가 혼자 놀지 못하도록 주의시킨다.② 베란다나 창문 밖으로 상체를 내밀지 못하도록 주의시킨다.
5] 현관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비나 눈이 오는 날은 특히 현관에 물기가 없도록 자주 닦아준다. 바닥이 미끄러워 넘어질 위험이 있다. 다소 물기가 있어도 미끄러지지 않는 고무매트 같은 깔개를 깔아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② 현관은 항상 정돈된 상태로 유지하여 널려진 신발이나 가구들에 걸려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한다.③ 현관문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이 자동적으로 서서히 닫히게 되는 장치(도어체크)를 하거나 문이 닫히는 속도를 임의로 조정하여 사용한다. ④ 현관에 아래에서 위로 발을 비추는 발조명을 설치하면 불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도 않고 안전에 도움을 준다.
2) 지도사항
① 집안에 들어올 때 현관에 신발을 가지런히 정리하도록 가르친다.② 현관문을 여닫을 때 조심하도록 주의시킨다.③ 현관에 설치된 손잡이와 발조명 스위치의 사용법과 위치를 알려준다.
6] 계단
1) 부모가 알아야 할 안전수칙
① 계단의 경사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적어도 45도 이하, 가능하면 35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② 계단이 끝나는 점까지 충분한 높이의 튼튼한 난간을 설치하며 추락의 위험을 방지한다. ③ 계단의 표면이 미끄럽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물기가 있을 경우 즉시 제거하고 왁스를 과도히 칠하지 않는다.④ 계단 하나 하나에 미끄럼 방지틀을 설치하여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한다.⑤ 계단은 항상 밝게 조명합니다. ⑥ 계단 위 음식물이나 물건으로 어지러워 미끄러지거나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계단과 계단주변을 항상 청결히 유지한다.⑦ 계단 옆의 벽에 어린이의 시선을 끌 수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걸지 않는다.
2) 지도사항
① 계단 주변에 장난감을 널어두거나 음식물을 흘리지 않도록 주의시킨다.② 계단 위에서 놀지 않도록 가르친다.③ 계단을 내려오면서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거나 다른 일을 하지 않도록 지도한다.④ 계단을 내려올 때는 반드시 난간을 잡도록 하며 한 칸씩 내려오도록 가르친다.⑤ 어두울 때 계단을 이용할 경우 반드시 계단 조명을 사용하도록 가르친다.⑥ 주머니에 손을 넣고 계단을 오르내리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⑦ 계단 난간은 아이의 머리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충분히 좁아야 (10cm보다 ) 한다.
⑧ 계단 위, 아래 부분에 문이 달려 있으면 추락을 막아주고, 혼자 계단에서 노는 것을 막아준다.
⑨ 계단 옆 벽에 아이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그림을 걸지 않도록 한다. 주의를 빼앗아 계단에서 구르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7.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용품들
다칠 위험이 많은 곳에 안전용품을 사용해 미리미리 예방한다면 좀더 안전한 가정을 만들 수 있다. 각각의 장소에 필요한 안전 용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 잠금장치서랍, 장식장 등의 각종 수납장과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제품을 여닫는 부분을 고정시켜 아이들이 여닫지 못하도록 하는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날카로운 주방용품이나 공구들을 보관할 때는 반드시 필요하다.
① 싱크대 잠금장치 ② 냉장고 잠금장치
③ 변기 잠금장치 ④ 비디오 덮개
2) 문 고정장치문과 벽 또는 바닥사이에 고정하여 문에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끼어서 다치는 일을 막기 위해 설치합니다. 손가락안전보호대
3) 콘센트 안전마개
감전사고의 위험을 막을 수 있다. 4) 가구 모서리 보호캡뾰족한 가구의 모서리에 씌워서 가구에 부딪힐 경우 충격을 흡수하여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5) 미끄럼 방지 패드바닥이 미끄러워 낙상의 위험이 있을 때 부착하는 것으로 주로 욕실에서 많이 사용한다.
동영상 : 가정안전보건 동영상
http://blog.daum.net/koshanet/11338432?srchid=BR18198597e9d0c434b1463d85142a94f199b88677e__http%3A%2F%2Fblog.daum.net%2Fkoshanet%2F11338432
추천자료
유아 월별 안전교육계획안
유아 교통 안전 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할 때 필요한 30분이하의 교수학습 과정...
만3세~ 만5세 유아들의 발달 특성은 어떠하며, 유아들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어떠한 것이 ...
[아동건강]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의 방법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실내외 놀이안전사고의 특징 및 예방법에 대해 서술.
[아동건강교육 A형]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내용을 계획하시오 : 안전교육계획
[아동안전관리] 영유아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영유...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안전을 위한 실내외 환경의 개선점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출.
영유아 교육과정의 안전교육에 대해 논하시오.
영유아 이용시설(유치원, 어린이집 등)에서의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과 영유아 대상교육의 ...
안전교육활동계획안 :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활동을 계획하시오
[아동건강교육]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내용을 계획(포함되어야 할 주요 내용, 목적 및 교육...
영유아기 발달의 특징과 발달단계별 사고유형을 제시하고 영유아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