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
1) 호적과 가족규모
(1) 대가족설
(2) 소가족설
2) 별적이재금지법과 분가규정
(1) 별적이재 규정 해석
(2) 별적이재 규정 제정 배경
2. 친족
1) 성씨의 운영과 법제에 반영된 친족구조
2) 계보인식과 족(族)의 범위
3) 양측적 친속사회인계 비부계적 부계우위 사회인가?
3. 여성
1) 혼인
2) 재산상속
1) 호적과 가족규모
(1) 대가족설
(2) 소가족설
2) 별적이재금지법과 분가규정
(1) 별적이재 규정 해석
(2) 별적이재 규정 제정 배경
2. 친족
1) 성씨의 운영과 법제에 반영된 친족구조
2) 계보인식과 족(族)의 범위
3) 양측적 친속사회인계 비부계적 부계우위 사회인가?
3. 여성
1) 혼인
2) 재산상속
본문내용
하기 어려웠음을 들어, 자유로운 재혼만으로 고려 여성의 지위가 높았음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한다.
물론 이 견해가 남귀여가혼이 여성의 지위를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남성들의 기처 행위를 통해 고려 여성의 지위를 남성과 대비해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사 연구는 남자들과의 절대적 지위비교 보다는 고려 여성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치 규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재산상속
고려의 재산상속에 대한 연구는 자녀 간 균분상속으로 의견이 일치되고 있다. 여성의 재산권 행사와 관련하여 노비 소전래(所傳來)의 역사가 주목된다. 호적 등에 부변, 모변, 처변 등으로 노비가 전래되어 온 바를 기재하여 본 소유권의 유래를 명시함으로써, 부부가 공동으로 사용, 수익하다가 부부 중 일방이 후손 없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변전래의 노비는 처가로, 부변전래의 노비는 부가로 귀속되도록 하여 소유권 분쟁을 막으려던 것이 소전래의 기능이다. 혼인한 딸들의 재산권을 보호해 준 이러한 소전래는 아마도 고려에서 오랜 기간 자녀 간 균분상속이 유지될 수 있는 기초 조건으로 기능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정란, <고려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2007
물론 이 견해가 남귀여가혼이 여성의 지위를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남성들의 기처 행위를 통해 고려 여성의 지위를 남성과 대비해 객관적으로 파악하는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사 연구는 남자들과의 절대적 지위비교 보다는 고려 여성이 차지하는 역사적 위치 규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재산상속
고려의 재산상속에 대한 연구는 자녀 간 균분상속으로 의견이 일치되고 있다. 여성의 재산권 행사와 관련하여 노비 소전래(所傳來)의 역사가 주목된다. 호적 등에 부변, 모변, 처변 등으로 노비가 전래되어 온 바를 기재하여 본 소유권의 유래를 명시함으로써, 부부가 공동으로 사용, 수익하다가 부부 중 일방이 후손 없이 사망하였을 경우 처변전래의 노비는 처가로, 부변전래의 노비는 부가로 귀속되도록 하여 소유권 분쟁을 막으려던 것이 소전래의 기능이다. 혼인한 딸들의 재산권을 보호해 준 이러한 소전래는 아마도 고려에서 오랜 기간 자녀 간 균분상속이 유지될 수 있는 기초 조건으로 기능했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정란, <고려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