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개의 글
2. 이기는 습관
3. 습관과 행동의 중요성
4. 동사형 인간과 성취
5. Camp 이론
6. 충실한 경험의 창조와 실천
7. 만족할 경험을 갖기 위한 조건
8. 동사형 인간의 특성
9. 동사형 인간은 다섯 가지 특징
가. 동사형 인간은 실천 중심이다.
나. 동사형 인간은 사명과 열정이 있다.
다. 동사형 인간은 성취 중심이다.
라. 동사형 인간은 창조적 고통을 즐긴다.
마. 동사형 인간들은 끝가지 물고 늘어지는 특성이 있다.
10. 동사형 인간형
11. 나가며
12. 출판사의 저자 소개- 위즈덤 하우스
2. 이기는 습관
3. 습관과 행동의 중요성
4. 동사형 인간과 성취
5. Camp 이론
6. 충실한 경험의 창조와 실천
7. 만족할 경험을 갖기 위한 조건
8. 동사형 인간의 특성
9. 동사형 인간은 다섯 가지 특징
가. 동사형 인간은 실천 중심이다.
나. 동사형 인간은 사명과 열정이 있다.
다. 동사형 인간은 성취 중심이다.
라. 동사형 인간은 창조적 고통을 즐긴다.
마. 동사형 인간들은 끝가지 물고 늘어지는 특성이 있다.
10. 동사형 인간형
11. 나가며
12. 출판사의 저자 소개- 위즈덤 하우스
본문내용
인간은 다섯 가지 특징
동사형 인간은 실천 중심이다.
행동하고 생각하게 만들어야 한다. 계획이 없는 것은 아니고 생각을 뒤에 갖게 만든다는 것이다. 스스로 행동하면서 생각하면 그냥 둬도 자율적 지속적으로 실천하게 된다.
동사형 인간은 사명과 열정이 있다.
이 일만은 목숨 걸고 내가 할거야라는 철저한 자기 헌신의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럴만한 일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목숨 걸고 할 일, 그 일이 하기싫은 일이라도 사명과 열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동사형 인간은 성취 중심이다.
서구사회에서는 어려서부터 도덕성과 정도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그런데 우리는 성과 중심의 교육을 많이 한다. 성과를 내라고 하면 변칙을 동원해서라도 성과를 내려고 한다. 그러나 성과중심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성과가 없는 곳에는 진급도 없다는 말처럼 우리는 어떤 목표를 정해두고 성취를 이루는 훈련을 해야 한다. 그래야만 환경이 변하더라도 또다른 성취를 이루어낼 수 있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동사형 인간은 창조적 고통을 즐긴다.
미래에 내가 되고 싶어하는 무엇인가 있기 때문에 현재의 고통을 즐기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변화의 혁신 모형에서 전문성, 계획성, 에너지, 유일성을 만들어가야 한다. 창조적 고통을 즐기는 프로들은 변화에 적응하는 사람들이다.
동사형 인간들은 끝가지 물고 늘어지는 특성이 있다.
'성취의 원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바로 포기하지 않는 자세다. 현대에 들어왔으면 끝까지 본질을 물고 늘어져야 한다. 이 일을 목술 걸 일로 생각하고 본질과 기본에 충실하면서 성취를 이루어가 야 하는 것이다.
전옥표의 동사형 인간을 읽고 난 느낌과 감상을 정리해 보았다. 동사형 인간은 언어에서 우선 나를 신선하게 충격을 주고 있다. 항상 새로운 것을, 활기찬 것을 찾아 나서는 돈키호테형 직장인이라는 이미지를 담고 있는 듯 하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여러 가지 길이 있다. 그것이 사회이든, 학교이든, 대부분은 비슷하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을 어느 쪽의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는 당연하다. 동사형 인간은 우리 삶이 능동적인 자세와 열정을 가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옥표가 삼성 그룹맨으로서 후광을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책이 가지고 있는 의미 자체는 상당한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보수적인 조직에서, 매일 출퇴근하고 눈도장 찍는 현실에서 일상에 무언가 자신이 나가지 않고 정체되어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동사형 인간은 실천 중심이다.
행동하고 생각하게 만들어야 한다. 계획이 없는 것은 아니고 생각을 뒤에 갖게 만든다는 것이다. 스스로 행동하면서 생각하면 그냥 둬도 자율적 지속적으로 실천하게 된다.
동사형 인간은 사명과 열정이 있다.
이 일만은 목숨 걸고 내가 할거야라는 철저한 자기 헌신의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럴만한 일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 목숨 걸고 할 일, 그 일이 하기싫은 일이라도 사명과 열정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동사형 인간은 성취 중심이다.
서구사회에서는 어려서부터 도덕성과 정도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그런데 우리는 성과 중심의 교육을 많이 한다. 성과를 내라고 하면 변칙을 동원해서라도 성과를 내려고 한다. 그러나 성과중심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 성과가 없는 곳에는 진급도 없다는 말처럼 우리는 어떤 목표를 정해두고 성취를 이루는 훈련을 해야 한다. 그래야만 환경이 변하더라도 또다른 성취를 이루어낼 수 있고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동사형 인간은 창조적 고통을 즐긴다.
미래에 내가 되고 싶어하는 무엇인가 있기 때문에 현재의 고통을 즐기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변화의 혁신 모형에서 전문성, 계획성, 에너지, 유일성을 만들어가야 한다. 창조적 고통을 즐기는 프로들은 변화에 적응하는 사람들이다.
동사형 인간들은 끝가지 물고 늘어지는 특성이 있다.
'성취의 원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다. 바로 포기하지 않는 자세다. 현대에 들어왔으면 끝까지 본질을 물고 늘어져야 한다. 이 일을 목술 걸 일로 생각하고 본질과 기본에 충실하면서 성취를 이루어가 야 하는 것이다.
전옥표의 동사형 인간을 읽고 난 느낌과 감상을 정리해 보았다. 동사형 인간은 언어에서 우선 나를 신선하게 충격을 주고 있다. 항상 새로운 것을, 활기찬 것을 찾아 나서는 돈키호테형 직장인이라는 이미지를 담고 있는 듯 하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여러 가지 길이 있다. 그것이 사회이든, 학교이든, 대부분은 비슷하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을 어느 쪽의 길을 선택해야 하는지는 당연하다. 동사형 인간은 우리 삶이 능동적인 자세와 열정을 가지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옥표가 삼성 그룹맨으로서 후광을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책이 가지고 있는 의미 자체는 상당한 정도로 완성도가 높다. 보수적인 조직에서, 매일 출퇴근하고 눈도장 찍는 현실에서 일상에 무언가 자신이 나가지 않고 정체되어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추천자료
조직론, 조직관리, 조직관리론, 학습조직
버나드와 사이몬의 조직이론/인간관계론 [경영학 레포트]
동사형인간
창신-인간관계론-조직의 성장, 발전에 기여하는 동기부여,인간관계
[조직목표의 관리] 조직목표관리 (기업조직의 목표,조직목표의 역할,조직에 있어서 개인목표...
[조직개발관리과정모형] 조직개발의 관리과정 모형(레윈(Lewin)의 모형, 행동조사모형, 조직...
[조직혁신관리원칙] 조직혁신(조직개혁)의 관리원칙 (변화내용과 관련된 관리원칙, 변화지도...
[조직구성원의 관리와 조직목표] 조직구성원관리(상호작용,직접감독,숙련의 표준화), 조직목...
경영학의개요(인간과조직생활, 경영의개념, 경영의요소, 경영활동의내용과과정) PPT, 파워포인트
조직관리, 연구조사, 조직규정(사회복지윤리와철학, 조직관리사례, 연구조사평가사례, 조직규...
정부조직관리(政府組織管理)의 의의와 기초(정부조직의 유형과 체계, 정부의 조직관리, 정부...
[경찰조직의 관리 警察組織管理] 조직관리(관리와 리더십), 경찰조직관리과정
인간행동과사회환경_조직행동에 영향을 주는 성격요소들 중 1) 자기평가와 2) 자기감시성향 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