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의의 및 논점
II. 평균임금
III. 산재법상 평균임금 산정의 특례
II. 평균임금
III. 산재법상 평균임금 산정의 특례
본문내용
적용하고 있어 대기업 근로자와 중소기업 근로자, 재직자와 퇴직자·연금수급자 간의 보험급여 증감에 형평성 문제가 있었다.
개정산재법에서는 평균임금은 일률적으로 매년 ‘전체 근로자의 임금평균액’의 변동률에 따라 증감하되, 근로자의 연령이 60세에 도달한 이후에는 소비자물가변동률에 따라 증감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근로자, 재직자와 퇴직자 간 보험급여지급의 형평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5. 기타 특별한 경우의 평균임금
근기법에서는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산재법에서도 근기법에 의하여 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결정하기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을 당해 임금 또는 평균임금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산재5 2.단).
개정산재법에서는 평균임금은 일률적으로 매년 ‘전체 근로자의 임금평균액’의 변동률에 따라 증감하되, 근로자의 연령이 60세에 도달한 이후에는 소비자물가변동률에 따라 증감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근로자, 재직자와 퇴직자 간 보험급여지급의 형평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5. 기타 특별한 경우의 평균임금
근기법에서는 평균임금을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산재법에서도 근기법에 의하여 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결정하기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금액을 당해 임금 또는 평균임금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산재5 2.단).
추천자료
로마법상 과실(culpa)의 개념과 그 발전과정
[여성차별][남녀차별][성차별]여성차별의 실제와 현황 및 향후 방향과 과제 분석(사례 중심)(...
[외국인 이주노동자]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의 개념, 외국인노동자(이주노동자) 유입 실태,...
노동법상의 `진의' 개념
노조법상의 근로자 개념에 대한 노동법상 검토
민사소송법상 소의 이익의 의미와 개념상 분류
임금채권 우선변제제도의 근로기준법상 검토
근로기준법상 연차유급휴가 청구권 소멸과 임금청구권 및 휴가 대체
노조법상 쟁의기간 중 근로계약관계 및 임금지급의무
특수고용노동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 개념과 유형, 특수고용노동자(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산...
쟁의행위기간중의 임금청구권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산재보험] 산재보험의 개념, 특징, 현황, 필요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청소년근로자(연소근로자)의 개념과 특별보호, 청소년근로자(연소근로자)의 취직인허, 취업장...
지적재산권법 2017년> 우리 특허법상 발명이란 무엇인지 3가지 개념요소 인간복제 특허를 받...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