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조법상의 근로자
Ⅲ. 근로자의 인정범위
Ⅳ. 해고효력을 다투는 자의 지위
Ⅱ. 노조법상의 근로자
Ⅲ. 근로자의 인정범위
Ⅳ. 해고효력을 다투는 자의 지위
본문내용
조법상의 지위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가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유지한다는 의미는 노조의 설립뿐 아니라 단체교섭단체행동 등 노조의 모든 활동에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2) 근기법 및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상의 지위
근기법 및 근참법상의 근로자는 근로관계를 전제로 하므로 해고 효력을 다투는 자는 근기법상의 근로자나 근참법상의 근로자위원이 될 수 없다.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가 근로자로서의 지위를 유지한다는 의미는 노조의 설립뿐 아니라 단체교섭단체행동 등 노조의 모든 활동에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2) 근기법 및 근로자참여및협력증진에관한법률상의 지위
근기법 및 근참법상의 근로자는 근로관계를 전제로 하므로 해고 효력을 다투는 자는 근기법상의 근로자나 근참법상의 근로자위원이 될 수 없다.
추천자료
물권의 준거법상의 결정
게르만법 및 로마법상의 공동소유와 현행민법간의 비교
로마법상의 하자담보책임과 우리 민법과의 비교
현행 독점규제법상의 행정형벌 부과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보험급여관련 제도의 개요
근로기준법, 민법 및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재해보상체계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의 적용범위 및 대상자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주체와 대상에 대한 판례 중심 법적 검토
노조법상 노동조합 활동과 정부의 개입
노조법상 쟁의행위의 유형에 따른 정의
노조법상 단체협약의 해석요청 검토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자유설립주의와 산별노조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과 인준투표제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민사소송 [시민법과 보통법상의 민사소송 절차의 대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