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수방법론 [발문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상기시키는 단서를 제공하는 방법
새로운 학습내용을 공부하는 경우, 답변에 앞서서 학습자료를 가지고 조사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발문
학습자의 능력에 알맞는 개인차를 고려한 발문
(4) 수업의 구조화에 도움을 주는 발문 방법으로는 설명이나 교과서 읽기와 같은 수업단계에 앞서서 이와 관련된 발문을 하는 방법
5. 비효율적인 발문
수업효과를 반감하는 비효율적인 발문은 발문 내용상 문제가 있는 경우와 발문 기술상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1) 발문 내용상 문제가 있는 경우는
기계적으로 답이 나오거나, 어떤 답변이 나와도 별의미가 없고 어떤 답이 나올지 너무나 분명한 발문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단순한 내용들을 확인하는 발문
무엇을 요구하는 지가 분명치 않은 막연한 발문
규격화된 정답을 요구하는 발문
(2) 질문 기술상 문제가 있는 발문의 유형으로는
적절한 시기를 놓친 발문
습관적인 자문자답식의 발문
발문을 하고 딴 일을 하는 경우
답변의 형식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발문
6. 발문할 때 고려할 점
(1) 수업설계에서 치밀한 발문계획을 세운다. - 학습과제를 분석하여 발문의 시기, 발문 내용, 예상되는 학생의 반응, 피이드백 방법 등을 준비해야 한다.
(2) 명확하고 간결한 발문을 한다.
(3) 구체적인 발문이어야 한다.
(4) 아동의 사고를 촉진하는 개방적인 발문을 한다.
아동의 의견이나 해석을 구하는 질문
가치나 판단을 묻는 발문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예증을 구하는 발문
어떤 일의 원인이나 결과를 구하는 발문
(5) 개인차를 고려한 발문을 해야 한다.
(6) 생각하는 틈을 주어야 하는 발문이어야 한다.
(7) 교사가 하나만의 응답을 기대하는 발문은 피해야 한다.
(8)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 적합한 발문을 해야 한다.
(9) 허용적이고 탐구적인 학습분위기를 조성하는 발문을 한다. 실수나 오답도 인정되어 응답에 대한 부담감에서 해방되어 자유스럽게 활동하는 민주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10)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는 적절한 시기에 발문을 한다.
(11) 발문의 내용과 어휘는 학생의 발달 수준에 적합하며 학습자가 바르게 듣고 이해하여 사고할 수 있도록 빠르기, 쉼, 고저, 강약, 장단 등에 유의한다.
(12) 학생의 응답에 대해서 항상 적절한 강화를 주어야 한다.
7. 발문의 여러 가지 예
만약 내가 ~라면 어떻게 할까요? 어떻게 될까요? 무엇을 할까요?
~와 다른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에 대해 이야기 해 봅시다.
~을 설계해 보세요. 만들어 보세요. ~으로 다른~(문제, 물건 등)을 만들어 보세요.
~(그림, 단어, 문장 등)을 바꾸어 보세요.
~문제를 다른 문제로 바꾸면?
~해결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봅시다.
~한 내용은 왜 나왔을까요?(왜 필요할까요?)
~을 상상(추측)해 보고 이야기해 보세요. 그려 보세요.
~을 부정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으로~(재미있는)이야기를 만들어 보세요.
~을 의인화시켜면? 사람을 바꾸면?
~(알 수 있는 사실)에 대해 예상해 봅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16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3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