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감각교육의 정의
① 어린이의 발달 과정과 감각교육
② 감각 훈련과 개념형성
③ 몬테소리 교육에서 감각 교육의 위치
2. 감각교육의 목적
1) 교육의 목적
2) 교구의 목적
3. 감각교육의 방법
4. 감각 교육의 특징
1) 교육의 특징
2) 교구의 특징
3) 교육의 효과
4) 타 영역과의 연계성
5. 제시방법
① 어린이의 발달 과정과 감각교육
② 감각 훈련과 개념형성
③ 몬테소리 교육에서 감각 교육의 위치
2. 감각교육의 목적
1) 교육의 목적
2) 교구의 목적
3. 감각교육의 방법
4. 감각 교육의 특징
1) 교육의 특징
2) 교구의 특징
3) 교육의 효과
4) 타 영역과의 연계성
5. 제시방법
본문내용
이름, 3단계 학습법으로 어휘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언어 영 역과 연계성이 있다. 예를 들어, “거친 것은 어떤 것입니까?” 등의 어휘를
사용하거나, 또 다른 예로 꼭지원기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활동하게 되 는데 이것은 읽기를 위한 준비이다. 또한 꼭지를 쥐는 것은 연필을 쥐기 위
한 연습이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시각 발달
주의력의 발달
시각과 청각의 분별력 발달
눈과 손의 협응력
세 손가락의 근육 발달 (쓰기의 발달)
어휘력 증가
⇒ 작업에 자연스럽게 몰두하게 되고, 잘못에 대한 정정이 교구 안에 있다.
난이도를 단계에 맞게 제시해야 한다.(성취로 긍정적 사고를 높임)
⇒ 다음에 배울 것에 대한 선행 요구 (다른 배움에 대한 흥미 유발)
시범의 순서화 : 집중적 감각이 세련.
⇒ 과학적 고안
5. 제시방법
시범의 순서를 선택하는 데 따라야 하는 지침
단일 감각을 유도하는 교구는 먼저 시범하고 복수 감각을 유도하는 교구
는 나중에 시범한다. 짝 맞추기 활동은 분류하기 활동에 앞서서 시범한 다. 그리고 잘못의 조정이 포함된 교구는 그렇지 않은 교구보다 먼저 시
범해야 한다.
발달 과정에 있어서 민감기는 어떤 교구를 선택할 것인가 도와준다.
순서를 위한 민감기는 출생에서부터 2세까지 가장 강해서 감각 교구를 시범하기 전에 순서적인 절차가 어린이에게 대체로 구축되어야 한다.
- 감각 탐구를 위한 민감기 (출생~4세)
: 감각 교구의 사용에 대한 동기 부여를 높인다.
- 촉각을 위한 민감기 (출생~3.5세)
: 3.5세 이전에 촉각 교구를 시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시기의 어린이 는 색깔, 음의 조절, 크기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와 관련된 교구를 이
시기에 시범해야 한다.
- 세련을 위한 민감기 (3~6세)
: 감각 교구를 시범하기에 이상적인 시기이다.
몇몇 연습을 제외하고는 개별 또는 소그룹으로 시범해야 하는데 개인마
다 다르게 작용하는 정신 발달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 이상 시범을 보여줘야 한다. (단순한 사용법→다음 단계의 시범)
어린이다 다루는 방법을 보여 주기 → 교구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 → 목적 달성 방법
교사의 시범 관찰 → 시범에 참여
교구는 가능하면 최종 결과가 분명하도록 진열한다.
* 3단계 명칭 연습법 : 하나의 인상과 거기에 해당하는 언어를 연상하게 하
기 위한 학습법
- 1단계 (Presentation) : 감각적 지각과 명칭의 연합
어떤 사물 또는 명칭이 나타내는 추상 개념이 어린이에게 인지되어 새겨
지고 있을 때 그 감각적 지각과 명칭이 결합되도록 해준다. 즉, 실물을
통한 충분한 경험을 시킨 후, “이것은 A다.” 라고 3먼 정도 정확하고 분
명하게 알려준다.
- 2단계 (Practice) : 명칭에 대응하는 사물의 인식
지각과 명칭을 재인식 시키는 단계로 세 단계 중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1단계에서 익힌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A는 어느 것입니까?”
어린이가 손으로 가리키게 한다.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갈 때 짧은 침
묵의 시간을 갖는다.
- 3단계 (Test) : 사물에 대응하는 명칭의 기억
사물에 해당하는 명칭을 기억하는 단계로 어린이가 자신감을 보일 때 그 사물의 명칭을 말하게 한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이것은 A입니다.”
6. 참고문헌
『몬테소리 유아 교육론』 181~200p 김영선 - 학지사 -
『유아를 위한 몬테소리 감각 교육』 11~26p 이영숙 - 학지사 -
『몬테소리 감각영역』 9~38p - 창지사 -
『몬테소리 교육의 이론과 실제』 66~68p 신화식 - 양서원 -
『몬테소리 이론의 탐구』 신화식 - 학지사 -
★감사합니다★
사용하거나, 또 다른 예로 꼭지원기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활동하게 되 는데 이것은 읽기를 위한 준비이다. 또한 꼭지를 쥐는 것은 연필을 쥐기 위
한 연습이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시각 발달
주의력의 발달
시각과 청각의 분별력 발달
눈과 손의 협응력
세 손가락의 근육 발달 (쓰기의 발달)
어휘력 증가
⇒ 작업에 자연스럽게 몰두하게 되고, 잘못에 대한 정정이 교구 안에 있다.
난이도를 단계에 맞게 제시해야 한다.(성취로 긍정적 사고를 높임)
⇒ 다음에 배울 것에 대한 선행 요구 (다른 배움에 대한 흥미 유발)
시범의 순서화 : 집중적 감각이 세련.
⇒ 과학적 고안
5. 제시방법
시범의 순서를 선택하는 데 따라야 하는 지침
단일 감각을 유도하는 교구는 먼저 시범하고 복수 감각을 유도하는 교구
는 나중에 시범한다. 짝 맞추기 활동은 분류하기 활동에 앞서서 시범한 다. 그리고 잘못의 조정이 포함된 교구는 그렇지 않은 교구보다 먼저 시
범해야 한다.
발달 과정에 있어서 민감기는 어떤 교구를 선택할 것인가 도와준다.
순서를 위한 민감기는 출생에서부터 2세까지 가장 강해서 감각 교구를 시범하기 전에 순서적인 절차가 어린이에게 대체로 구축되어야 한다.
- 감각 탐구를 위한 민감기 (출생~4세)
: 감각 교구의 사용에 대한 동기 부여를 높인다.
- 촉각을 위한 민감기 (출생~3.5세)
: 3.5세 이전에 촉각 교구를 시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시기의 어린이 는 색깔, 음의 조절, 크기에 민감한 시기이므로 이와 관련된 교구를 이
시기에 시범해야 한다.
- 세련을 위한 민감기 (3~6세)
: 감각 교구를 시범하기에 이상적인 시기이다.
몇몇 연습을 제외하고는 개별 또는 소그룹으로 시범해야 하는데 개인마
다 다르게 작용하는 정신 발달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번 이상 시범을 보여줘야 한다. (단순한 사용법→다음 단계의 시범)
어린이다 다루는 방법을 보여 주기 → 교구의 목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 → 목적 달성 방법
교사의 시범 관찰 → 시범에 참여
교구는 가능하면 최종 결과가 분명하도록 진열한다.
* 3단계 명칭 연습법 : 하나의 인상과 거기에 해당하는 언어를 연상하게 하
기 위한 학습법
- 1단계 (Presentation) : 감각적 지각과 명칭의 연합
어떤 사물 또는 명칭이 나타내는 추상 개념이 어린이에게 인지되어 새겨
지고 있을 때 그 감각적 지각과 명칭이 결합되도록 해준다. 즉, 실물을
통한 충분한 경험을 시킨 후, “이것은 A다.” 라고 3먼 정도 정확하고 분
명하게 알려준다.
- 2단계 (Practice) : 명칭에 대응하는 사물의 인식
지각과 명칭을 재인식 시키는 단계로 세 단계 중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1단계에서 익힌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A는 어느 것입니까?”
어린이가 손으로 가리키게 한다. 1단계에서 2단계로 넘어갈 때 짧은 침
묵의 시간을 갖는다.
- 3단계 (Test) : 사물에 대응하는 명칭의 기억
사물에 해당하는 명칭을 기억하는 단계로 어린이가 자신감을 보일 때 그 사물의 명칭을 말하게 한다.
“이것은 무엇입니까?”
“이것은 A입니다.”
6. 참고문헌
『몬테소리 유아 교육론』 181~200p 김영선 - 학지사 -
『유아를 위한 몬테소리 감각 교육』 11~26p 이영숙 - 학지사 -
『몬테소리 감각영역』 9~38p - 창지사 -
『몬테소리 교육의 이론과 실제』 66~68p 신화식 - 양서원 -
『몬테소리 이론의 탐구』 신화식 - 학지사 -
★감사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