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학습과 조건 형성
1) 학습이란 무엇인가?
2) 행동주의자의 접근
2. 고전적 조건 형성
1)연합학습
2)고전적 조건 형성
(1) Pavlov 기초실험 및 변형
(2) Pavlov식 조건형성의 실험변형들
(3) 고차적 조건형성
(4) Pavlov식 조건형성의 기본현상
3. 조작적 조건 형성
1)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2) Skinner 의 실험들
3) 자극일반화와 자극변별
4) Pavlov식 조건형성의 기본현상
4. 몇 가지 기본 현상들
1) 형성
2) 부분강화
5. Pavlov식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6. 강화의 본질
1) 강화의 본질
2)조건 강화
3) Premack의 원리
7. 처벌과 회피
1) 처벌과 학습
2) 회피
8. 행동주의에 대한 두개의 도전들
1) 동물학적 도전
2) 인지적 도전
3) 행동주의에 대한 초기의 인지적 도전들
4) 통찰학습
5) 현재의 인지적 도전들
9. 마무리... 견해
1. 학습과 조건 형성
1) 학습이란 무엇인가?
2) 행동주의자의 접근
2. 고전적 조건 형성
1)연합학습
2)고전적 조건 형성
(1) Pavlov 기초실험 및 변형
(2) Pavlov식 조건형성의 실험변형들
(3) 고차적 조건형성
(4) Pavlov식 조건형성의 기본현상
3. 조작적 조건 형성
1)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2) Skinner 의 실험들
3) 자극일반화와 자극변별
4) Pavlov식 조건형성의 기본현상
4. 몇 가지 기본 현상들
1) 형성
2) 부분강화
5. Pavlov식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6. 강화의 본질
1) 강화의 본질
2)조건 강화
3) Premack의 원리
7. 처벌과 회피
1) 처벌과 학습
2) 회피
8. 행동주의에 대한 두개의 도전들
1) 동물학적 도전
2) 인지적 도전
3) 행동주의에 대한 초기의 인지적 도전들
4) 통찰학습
5) 현재의 인지적 도전들
9. 마무리... 견해
본문내용
로
관련지우고 의미있는 인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림 5 - 9는 침팬지가 처음에는 바나나를 따먹지 못하다가 상자를 쌓아
따먹는 모습을 연속적인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다.
5) 현재의 인지적 도전들
우리는 앞에서 단순한 연합학습을 설명하는 조건형성과 그 원리를 모델은 방에 있는 Bobo인 형에게 공격적인 행동과 언행을 하였는데, 그들 중 일부는 보상을 받거나 처벌을 받았고, 나머지는 아무런 보상이나 처벌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나서 TV를 본 아이들은 그 방에 들어가서 모델을 모방할 기회를 가졌다. 이때, 보상을 받은 모델을 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더 많은 공격행동을 보였으나, 이러한 차이는 아이들의 공격적 행동에 보상을 줄 때 사라졌다. 즉 공격적 행동에 대한 학습의 차이는 있었으나, 실제로 행동을 할 때 보상을 주면, 그들간의 차이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학습의 원리는 직접적인 행동에 의한 학습을 주장한 조건형성론자와 달리 대리적 강화와 대리적 학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9. 마무리... 견해
심리학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1950년까지는 행동주의 심리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60년부터는 컴퓨터의 등장과 더불어 정보처리접근을 취하는 인지심리학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행동주의자들의 전통적인 학습이론(조건형성)은 인지와 같은 유기체의 내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지이론자들은 내적요인을 고려하면서 조건형성모델을 재음미하기 시작하였다. 언뜻 연합학습의 입장과 인지학습의 입장은 상반되는 듯이 보이나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지론자들이라 해서 조건형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며, 조건형성에서 행동주의자들이라 해서 조건형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며, 조건형성에서 행동주의자들이 고려하지 않았던 인지과정을 고려하는 안목으로 재조명하는 것뿐이다. 조건형성이론은 간단한 연합과 같은 것을 설명하는 훌륭한 도구이며 또 인지이론은 통찰과 같은 보다 고차적인 학습과정을 설명하는 도구라는 점에서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인지적 입장에서 조건형성을 보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자극과 자극 사이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것이며, 조작적 조건형성이란 반응과 결과 사이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Rescorla는 고전적 조건형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CS - UCS간의 시간적 근접성보다는 수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앞서 언급되었던 학습된 무력감도 쇽을 종식시켜 줄 수 있는 행동과 그 결과와의 수반성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어쩔 수 없이 쇽을 받았던 경험이 새로운 도피가능 상황에 잘못 일반화되어 도피행동을 하면 쇽을 피할 수 있다는 수반성의 지각에 실패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인지이론가들은 동물과 인간이 자신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계속 수집하고 약호화하며 인출해 내고 있다고 본다.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도 이런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에 불과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두 조건형성간의 차이는 좁혀지게 될 것이다.
이 단원을 나름대로 공부하면서 많은걸 배웠고... 또한 광과와 접목해 볼 수도 있다는 걸 강의 시간에서 배울 수 있어서 또한 좋은 시간 이였다, 발표준비로 하려고 했는데. 조금 느린 탓에 이렇게 레포트만으로 마치는게 아쉽지만 보다 깊은 공부를 해볼 수 있는 또 다른 기회가 아닐까 싶다. 나도 모르게 하고 있는 행동들에도 법칙과 여러 조건 들이 있다는 걸 새삼스레 느낄 수 있었다. 더운 여름에 하는 계절학기 수업이지만 내가 하고자 하는 목표를 위해 관심 분야인 심리학을 배울 수 있어 좋은 수업이고 좋은 지식을 습듭하는 것 같다.
남은 시간도 열심히 해서 보다 깊은 지식을 습득했으면 좋겠다.
출처
심리학의 이해
심리학 개론
심리학개론
강화(reinforcement)
강화계획(schedule of reinforcement)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고정간격 강화계획(fixed-interval schedule, FI) 고정비율 강화계획(fixed-ratio schedule, FR)
고차 조건형성(higer-order conditioning)
공포증(phobias)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누가기록기(cumulative recorder)
도구적 조건형성(instrumental learning)
도피학습(escape learning)
무조건반응(unconditioned response, UCR)
무조건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CS)
방출된 반응(emitted response)
변동간격 계획(variate-interval schedule, VI)
변동비율 계획(variate-ratio schedule, VR)
변별자극(discriminate stimuli)
본능적 표류(instinctive drift)
부분강화(partial reinforcement)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소거(extinction)
소거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extinction)
수반강화(reinforcement contingency)
스키너 상자(Skinner box) 시행(trial)
연속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유도된 반응(elicited response)
이차 강화물(secondary reinforcer)
일차 강화(primary reinforcement)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조건반응(conditioned response, CS)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CS)
조건화된 강화물(conditioned reinforcer)
조성(shaping) 차단(blocking) 처벌(punishment) 프로그램 학습(programmed learning)
학습(learning) 회피학습(avoidance learning)
획득(acquisition)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관련지우고 의미있는 인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림 5 - 9는 침팬지가 처음에는 바나나를 따먹지 못하다가 상자를 쌓아
따먹는 모습을 연속적인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다.
5) 현재의 인지적 도전들
우리는 앞에서 단순한 연합학습을 설명하는 조건형성과 그 원리를 모델은 방에 있는 Bobo인 형에게 공격적인 행동과 언행을 하였는데, 그들 중 일부는 보상을 받거나 처벌을 받았고, 나머지는 아무런 보상이나 처벌도 받지 않았다. 그리고 나서 TV를 본 아이들은 그 방에 들어가서 모델을 모방할 기회를 가졌다. 이때, 보상을 받은 모델을 본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더 많은 공격행동을 보였으나, 이러한 차이는 아이들의 공격적 행동에 보상을 줄 때 사라졌다. 즉 공격적 행동에 대한 학습의 차이는 있었으나, 실제로 행동을 할 때 보상을 주면, 그들간의 차이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학습의 원리는 직접적인 행동에 의한 학습을 주장한 조건형성론자와 달리 대리적 강화와 대리적 학습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9. 마무리... 견해
심리학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1950년까지는 행동주의 심리학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1960년부터는 컴퓨터의 등장과 더불어 정보처리접근을 취하는 인지심리학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행동주의자들의 전통적인 학습이론(조건형성)은 인지와 같은 유기체의 내적 요인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지이론자들은 내적요인을 고려하면서 조건형성모델을 재음미하기 시작하였다. 언뜻 연합학습의 입장과 인지학습의 입장은 상반되는 듯이 보이나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인지론자들이라 해서 조건형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며, 조건형성에서 행동주의자들이라 해서 조건형성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며, 조건형성에서 행동주의자들이 고려하지 않았던 인지과정을 고려하는 안목으로 재조명하는 것뿐이다. 조건형성이론은 간단한 연합과 같은 것을 설명하는 훌륭한 도구이며 또 인지이론은 통찰과 같은 보다 고차적인 학습과정을 설명하는 도구라는 점에서 상호보완적인 것으로 볼 수 있겠다. 인지적 입장에서 조건형성을 보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자극과 자극 사이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것이며, 조작적 조건형성이란 반응과 결과 사이의 관계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Rescorla는 고전적 조건형성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CS - UCS간의 시간적 근접성보다는 수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앞서 언급되었던 학습된 무력감도 쇽을 종식시켜 줄 수 있는 행동과 그 결과와의 수반성을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어쩔 수 없이 쇽을 받았던 경험이 새로운 도피가능 상황에 잘못 일반화되어 도피행동을 하면 쇽을 피할 수 있다는 수반성의 지각에 실패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인지이론가들은 동물과 인간이 자신의 환경에 대한 정보를 계속 수집하고 약호화하며 인출해 내고 있다고 본다.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도 이런 정보를 제공하는 절차에 불과한 것이다. 이렇게 보면 두 조건형성간의 차이는 좁혀지게 될 것이다.
이 단원을 나름대로 공부하면서 많은걸 배웠고... 또한 광과와 접목해 볼 수도 있다는 걸 강의 시간에서 배울 수 있어서 또한 좋은 시간 이였다, 발표준비로 하려고 했는데. 조금 느린 탓에 이렇게 레포트만으로 마치는게 아쉽지만 보다 깊은 공부를 해볼 수 있는 또 다른 기회가 아닐까 싶다. 나도 모르게 하고 있는 행동들에도 법칙과 여러 조건 들이 있다는 걸 새삼스레 느낄 수 있었다. 더운 여름에 하는 계절학기 수업이지만 내가 하고자 하는 목표를 위해 관심 분야인 심리학을 배울 수 있어 좋은 수업이고 좋은 지식을 습듭하는 것 같다.
남은 시간도 열심히 해서 보다 깊은 지식을 습득했으면 좋겠다.
출처
심리학의 이해
심리학 개론
심리학개론
강화(reinforcement)
강화계획(schedule of reinforcement)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고정간격 강화계획(fixed-interval schedule, FI) 고정비율 강화계획(fixed-ratio schedule, FR)
고차 조건형성(higer-order conditioning)
공포증(phobias)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누가기록기(cumulative recorder)
도구적 조건형성(instrumental learning)
도피학습(escape learning)
무조건반응(unconditioned response, UCR)
무조건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CS)
방출된 반응(emitted response)
변동간격 계획(variate-interval schedule, VI)
변동비율 계획(variate-ratio schedule, VR)
변별자극(discriminate stimuli)
본능적 표류(instinctive drift)
부분강화(partial reinforcement)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소거(extinction)
소거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extinction)
수반강화(reinforcement contingency)
스키너 상자(Skinner box) 시행(trial)
연속강화(continuous reinforcement)
유도된 반응(elicited response)
이차 강화물(secondary reinforcer)
일차 강화(primary reinforcement)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covery)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조건반응(conditioned response, CS)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CS)
조건화된 강화물(conditioned reinforcer)
조성(shaping) 차단(blocking) 처벌(punishment) 프로그램 학습(programmed learning)
학습(learning) 회피학습(avoidance learning)
획득(acquisition)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추천자료
[가상공동체][가상공동체 활용 사례][인터넷][가상현실]가상공동체의 배경, 가상공동체의 발...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적 접근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쏜다이크의 시행착오 학습)
열린교육의 정의, 열린교육의 발전배경, 열린교육의 목표와 특징, 열린교육의 전제조건, 열린...
[보육학개론 保育學槪論] 아동 발달 이론(兒童發達理論) {성숙 이론, 정신분석 이론(프로이트...
인간과심리 공통 ) 1.심리학心理學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
[학습이론]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고전적 조건화), 스키너(Skinner)의 조...
[유아교육과정 1번항목]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
[유아교육과정]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교수학습방법, 환경구성...
[교육심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준비성, 동기, 연습 (PPT 발표자료)
[교육심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준비성, 동기, 연습 (발표용 유인물,발표자료,학생 ...
남녀의 성행동을 통해서 건강하고 행복한 만남을 지속하려면, 어떤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
노인학습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사례(구청, 시청, 평생교육원 등)를 찾아 출처와 함께 제시...
[노인교육론] 노인학습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사례(구청, 시청, 평생교육원 등)를 찾아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