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원, 그는누구인가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굴원, 그는누구인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굴원, 그는 누구인가?

2. 굴원의 작품
- 이소(離騷)
- 어부사(漁父辭)

3. 충신 굴원의 역사 이야기

4. 굴원과 粽子

본문내용

280) 초나라는 지금까지의 친진 정책에서 반진 정책을 펴 여러 나라와 함께 반진 동맹을 재건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진나라는 초나라를 공격하여 한북(漢北)과 상용(上庸)의 땅을 빼앗고 다음해에는 또 서릉(西陵)을 빼앗았다. 그후 진나라는 초나라의 수도 영을 함락시키고 초나라는 진성(陳城, 하남성)으로 후퇴하였고 다시 초나라의 무(巫)와 금중을 점령하니 이곳은 초나라의 운명이 걸려 있는 곳이었다.
자귀에 있는 굴원사(屈原祠)
굴원은 이 소식을 듣고 조국의 앞날에 희망이 없음을 한탄한 나머지 분연히 '애영과 회사(懷沙)의 시'를 짓고 음력 5월 5일 돌을 품고 멱라수(호남성 상수의 지류)에 몸을 던져 순국(殉國)하니 이때 그의 나이 62세였다. 애국 시인이었던 굴원은 중국 시가의 세계에서나 중국인의 생활면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중국 역대의 위대한 시인, 이백(李白)과 두보(杜甫)도 여러 가지 면에서 굴원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투신자살한 멱라수 가에는 그의 무덤과 사당이 세워져 있다. 굴원이 죽은 음력 5월 5일은 속칭 단오절이라 하여 그를 추모하는 제일(祭日)로 정해져 있다.
매년 이날이 되면 강남 지방의 사람들은 뱃머리에 용의 머리를 장식한 용선(龍船)의 경주를 성대히 벌이고 갈대잎으로 싼 송편을 멱라수 물고기에게 던져 주고 있다. 전설에 의하면 물속에 잠긴 굴원이 고기에게 뜯어 먹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놀이라고 한다.
4. 굴원과 子
음력 5월 5일(올해는 양력으로 5월 31일) 단오는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모두 지내는 전통명절이다. 한국에서는 청포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거나 썰매를 타며, 증편과 수리취떡을 빚는 전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날 찹쌀밥과 대추를 대나무 잎으로 싸맨 쭝즈(子)를 먹고, 용주(龍舟)경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명절을 보내면서 위대한 애국시인인 굴원의 죽은 넋을 기린다.

→ 子의 유래
기원전 278년, 진나라는 끝내 초나라에 대한 전면공격을 개시했다. 나라가 망하고 백성들이 고난 속에서 허덕이는 것을 차마 지켜보고 있을 수가 없었던 굴원은 음력 5월 5일 돌을 품고 슬픔을 함께 하던 멱라강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단오의 ‘단(端)’자는 처음이라는 뜻이며, ‘오(午)’자는 다섯 오(五)자와 발음이 같다. 따라서 단오(端午)라 하면 초닷새라는 뜻이 되기 때문에 후에는 5월 5일을 단오라고 부르게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굴원이 멱라강에 투신한 후 백성들은 그의 시신이 물고기 밥이 되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대나무 통에 밥을 넣어 강에 던지고 제사를 지냈다. 이 풍속은 줄곧 동한 광무제 시기까지 지속되었다. 하루는 한 선비가 꿈에 굴원을 보았는데 그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매년 5월 5일 당신들이 보내준 음식은 모두 강속에 사는 나쁜 용에게 빼앗겼습니다. 다음부터는 쑥 잎으로 통을 막고 오색실을 묶어 주십시오. 용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이 두 가지이기 때문입니다.”
꿈에서 깨어난 선비는 사람들에게 굴원의 말을 전했다. 그 후로부터 백성들은 쑥이나 대나무 잎으로 찹쌀밥을 사고 오색실로 단단히 묶은 후 다시 강에 던졌다고 한다.
위대한 애국시인을 칭송하는 동시에 맛 또한 훌륭한 쭝즈는 이런 사연 속에 탄생했다. 그 후 쭝즈는 단오절의 전통음식으로 자리잡아 2천여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매년 단오절을 전후하여 중국에서는 집집마다 쭝즈를 싸고 거리는 쭝즈의 향기로 넘쳐난다. 또 그에 즈음하여 슈퍼마켓마다 각양각색의 쭝즈를 대거 판매하는데 원래의 대추나 팥, 고기소의 단일한 맛을 넘어 지금은 달걀 노른자, 닭고기, 버섯, 밤 등 수십 가지의 맛과 종류가 있어 우리의 눈과 입을 즐겁게 한다.

키워드

중국시인,   굴원,   이소,   어부사,   粽子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08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4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