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발달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로발달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관

2. 진로발달이론의 효시

3. 진로발달이론
1) 특성 요인 이론
2) Roe의 욕구 이론
3) Holland의 인성 이론
4) Ginzberg의 직업 선택 이론
5) Super의 진로발달이론
6) Hoppock의 구성이론
7) Teitelman & O'hara의 진로발달이론
8) 사회학적 접근 이론
9) 의사결정 이론(Decision-making theories)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정에서 발달해 가는 자아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8) 사회학적 접근 이론
개인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개인의 통제 밖에 있는 요인들 - 특히 사회 계층 및 기회-로써, 개인의 진로 결정에 있어서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여지는 제한적인 반면, 사회 구조적 요인이나 우연한 기회 요인이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이론이다. 즉, 직업은 사회·경제적 구조로 볼 때,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고 보고, 이어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컨대 부모가 의사인 경우는 그의 자녀들이 직업 선택 및 결정 과정에서 부모의 직업을 승계할 확률이 타직업보다 크다는 것이다.
9) 의사결정 이론(Decision-making theories)
의사결정은 모든 이론에서 다루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의사결정이론은 의사결정의 개념과 과정에 특히 중점을 두고 있다. Gelatt은 상담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가 학생들로 하여금 훌륭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는 가정 하에 결정은 결과만 가지고 평가될 것이 아니라 결정을 내리게 되는 과정에 의해서 평가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모든 결정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특성을, 첫째로 결정을 내려야 할 사람, 둘째로 두 개 이상의 대안을 놓고 가지고 있는 정보를 기초로 해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한다.
4. 결론
이제까지 진로발달이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생각보다 진로발달에 관련한 이론이 많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이렇게 많이 논의가 되어 온 만큼 우리 인생에서 직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크고 중요한지를 알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각 이론에서 펼치는 주장은 서로 다르지만 한 사람이 직업 선택을 위하여 얼마나 많은 과정을 거치게 되며 그러한 과정에서의 탐색이 얼마나 중요한가라는 점에 있어서는 한데 모아지는 것 같다. 진로발달이론에 대해 알아본 만큼 나의 진로에 관해서 다시 한번 진지하게 고찰해봐야 할 것이다.
5. 참고문헌
- 진로 발달 이론 및 그 교육적 시사점, 1997, 서울교육 148('97.6) pp.32-37, 장석민
- 진로상담을 위한 진로발달이론의 활용,1991, 學生生活硏究 14('95.12) pp.1-20, 김혁곤
- 이영대박사의 진로정보망 진로정보(www.careerin.net)
-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bootsaba?Redirect=Log&logNo=60089623697)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20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3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