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보툴리누스균의 개념
Ⅲ. 보툴리누스균의 역학
1. 세계의 보툴리누스 중독
2. 유아 보툴리누스증
3. 토양에 있어서의 보툴리누스균의 분포
4. 식품 중의 보툴리누스균 오염
Ⅳ.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감염원과 감염경로
Ⅴ.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원인식품과 증상
Ⅵ.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진단과 치료
Ⅶ.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사례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보툴리누스균의 개념
Ⅲ. 보툴리누스균의 역학
1. 세계의 보툴리누스 중독
2. 유아 보툴리누스증
3. 토양에 있어서의 보툴리누스균의 분포
4. 식품 중의 보툴리누스균 오염
Ⅳ.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감염원과 감염경로
Ⅴ.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원인식품과 증상
Ⅵ.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진단과 치료
Ⅶ.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사례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을 먹었다. 11월 3일 CDC는 이스라엘 예루살렘의 보건성에서 보툴리누스식중독으로 의심되는 5사례를 보고 받았다. 환자들은 10월 17일에 뉴욕시 브루클린에 브라이튼 비치에 있는 상점에서 산 ribyetz를 먹고 이스라엘로 갔다. 그 생선에는 E형 보툴리누스 독소가 들어있었고 환자의 혈청에서도 E형 보툴리누스 독소에 대한 항체가 있었다. 생선은 골드스타 훈제생선회사에서 뉴욕시 주변에 공급한 것이었다. 11월3일 뉴욕시 보건부는 ribyetz의 판매와 공급을 금지하고 가게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수거하였다. 추가발생을 없었지만, 실험실 확증자료는 이스라엘에서 확인되었다. 11월 13일 17세된 환자는 퀸즈에 있는 같은 조제식품판매점에서 10월 18일 구입한 생선을 먹었다. 1984년 12월 20~26일에 일본 북해도 천로 시내의 한 가정에서 조제된 연어젓갈과 도루묵젓갈을 급식한 34명 중 5가족의 6명이 최단 11시간, 최장 32시간의 잠복시간 후에 구토, 이급후중(裏急後重), 탈력감, 구기, 안증상, 복부팽만 및 변비 등의 보툴리누스 중독 증상을 나타냈다. 의식불명의 중증환자도 볼 수 있었으나, E형 항독소혈청 및 대증요법에 의하여 전원이 치유되었다. 원인식품인 도루묵과 연어의 젓갈로부터 보툴리누스 E형 독소가 증명되었고, E형균도 동시에 검출되었다. 전자의 젓갈로부터는 160마우스MLD/㎖의 독소량이, 후자의 젓갈로부터도 80마우스MLD/㎖의 독소량이 검출되었다. 환자혈청에서는 보툴리누스 독소는 증명되지 않았다. 젓갈의 조제는 다음과 같다. 11월 10일에 도루묵 20kg, 연어 6kg의 젓갈을 담그고, 12월 20일까지 숙성시켰다. 급식 시에는 낙산취(酪酸臭)를 수반하는 부패취가 났었다.
Ⅷ. 결론
의학 및 식품위생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수억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오염된 식품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으로 고생하고 있어 식중독은 아직도 인간에게 중요한 질환임에 틀림없을 정도로 식중독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인 것이다. 병원체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많은 노력은 병원체의 유전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나 미래의 병원체에 대한 병원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병원체를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식중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식중독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을 세우기에는 그 만큼 통계적인 자료가 중요한 것으로 식중독에 대한 발생현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기록하여, 식중독으로 환자 발생 및 인명 피해가 없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동완, 위생과 식중독, 광문각 출판사
- 김중만, 식중독을 간접경험하자, 효일문화사, 1999
- 김정혜·이수경, 역학 및 전염병관리, 청구문화사, 1994
- 금종화, 21세기 식품위생학, 효일, 2004
- 이정훈, 식품위생학, 백산출판사, 2002
- 이흠숙 외, 식품위생학, 형설출판사, 2002
- 전은석·이무식 외, 보건과 복지, 대경북스, 2003
Ⅷ. 결론
의학 및 식품위생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수억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오염된 식품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으로 고생하고 있어 식중독은 아직도 인간에게 중요한 질환임에 틀림없을 정도로 식중독은 인류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 중에 하나인 것이다. 병원체의 변화를 이해하려는 많은 노력은 병원체의 유전자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나 미래의 병원체에 대한 병원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병원체를 좀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함으로써 식중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식중독에 대한 예방 및 대책을 세우기에는 그 만큼 통계적인 자료가 중요한 것으로 식중독에 대한 발생현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기록하여, 식중독으로 환자 발생 및 인명 피해가 없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김동완, 위생과 식중독, 광문각 출판사
- 김중만, 식중독을 간접경험하자, 효일문화사, 1999
- 김정혜·이수경, 역학 및 전염병관리, 청구문화사, 1994
- 금종화, 21세기 식품위생학, 효일, 2004
- 이정훈, 식품위생학, 백산출판사, 2002
- 이흠숙 외, 식품위생학, 형설출판사, 2002
- 전은석·이무식 외, 보건과 복지, 대경북스, 2003
키워드
추천자료
보툴리누스균
보툴리누스균
[보툴리누스균][식중독][보툴리누스]보툴리누스균의 개념, 보툴리누스균의 특성, 보툴리누스...
보툴리누스균의 정의, 보툴리누스균의 특성, 보툴리누스균 식중독의 감염경로, 보툴리누스균 ...
[보툴리누스균][보툴리누스균 식중독]보툴리누스균의 의미, 보툴리누스균의 독소, 보툴리누스...
보툴리누스균의 정의, 보툴리누스균의 분포와 성질, 보툴리누스균의 독소, 보툴리누스균 식중...
식품매개질환 보툴리누스균과 세레우스균 식중독, 식품매개질환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 식...
식중독균 종류 보툴리누스균과 살모넬라균, 식중독균 종류 클로스트리디움균과 장염비브리오...
[식중독균][식중독][세레우스균][대장균][보툴리누스균]식중독균 세레우스균, 식중독균 대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