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사적 측면에서 본 이질
① 고대에서부터 언급된 이질
② 주목받게 되는 이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이질 전반적 얘기
③ 이질발생 통계자료 분석
2. 배경지식 - 이질이란
① 정의
② 발병 원인
③ 세균성 이질균
④ 증상
⑤ 수인성 전염병
⑥ 법정 전염병
① 고대에서부터 언급된 이질
② 주목받게 되는 이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이질 전반적 얘기
③ 이질발생 통계자료 분석
2. 배경지식 - 이질이란
① 정의
② 발병 원인
③ 세균성 이질균
④ 증상
⑤ 수인성 전염병
⑥ 법정 전염병
본문내용
해외유행전염병 이 병에 의한 보건대책이 긴급한 수립이 필요하다고 인정되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전염병을 말한다.
각 군의 신고·대책 및 전염병의 종류를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내었다.
분류
제1군(6종)
제2군(9종)
제3군(18종)
제4군(13종)
지정(9종)
신고
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환자 발생 시
7일 이내 신고
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환자 발생 시
7일 이내 신고
대책
환자발생 즉시
격리 필요함
예방접종대상
모니터링 및
홍보중점
방역대책
긴급수립
유행여부조사
및 감시
종류
1. 콜레라
2. 페스트
3. 장티프스
4. 파라티프스
5. 세균성이질
6.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1. 디프테리아
2. 백일해
3. 파상풍
4. 폴리오
5. 홍역
6. 유행성이하선염
7. 풍진
8. B형간염
9. 일본뇌염
1. 말라리아
2. 결핵
3. 한센병
4. 성병
5. 성홍열
6. 수막구균성 수막염
7. 레지오넬라증
8. 비브리오패혈증
9. 발진티프스
10. 발진열
11. 쯔쯔가무시증
12. 렙토스피라증
13. 브루셀라증
14. 턴저
15. 공수병
16. 인플루엔자
17. 신증후군 출혈열
18. 후천성면역 결핍증
1. 황열
2. 뎅기열
3. 마버그열
4. 에볼라열
5. 라싸열
6. 리슈마니아증
7. 바베시아증
8. 아프리카수면병
9. 크립토스포리움증
10. 주혈흡충증
11. 요우스
12. 핀타
13. 신종전염병 증후군
1. A형간염
2. C형간염
3. 반코마이신 내성황색포도상구균감염증
4. 샤가스병
5. 광동주혈선 충증
6. 유극악구충증
7. 사상충증
8. 포충증
9.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CJD)
각 군의 신고·대책 및 전염병의 종류를 아래 표와 같이 나타내었다.
분류
제1군(6종)
제2군(9종)
제3군(18종)
제4군(13종)
지정(9종)
신고
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환자 발생 시
7일 이내 신고
환자 발생 시
즉시 신고
환자 발생 시
7일 이내 신고
대책
환자발생 즉시
격리 필요함
예방접종대상
모니터링 및
홍보중점
방역대책
긴급수립
유행여부조사
및 감시
종류
1. 콜레라
2. 페스트
3. 장티프스
4. 파라티프스
5. 세균성이질
6.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1. 디프테리아
2. 백일해
3. 파상풍
4. 폴리오
5. 홍역
6. 유행성이하선염
7. 풍진
8. B형간염
9. 일본뇌염
1. 말라리아
2. 결핵
3. 한센병
4. 성병
5. 성홍열
6. 수막구균성 수막염
7. 레지오넬라증
8. 비브리오패혈증
9. 발진티프스
10. 발진열
11. 쯔쯔가무시증
12. 렙토스피라증
13. 브루셀라증
14. 턴저
15. 공수병
16. 인플루엔자
17. 신증후군 출혈열
18. 후천성면역 결핍증
1. 황열
2. 뎅기열
3. 마버그열
4. 에볼라열
5. 라싸열
6. 리슈마니아증
7. 바베시아증
8. 아프리카수면병
9. 크립토스포리움증
10. 주혈흡충증
11. 요우스
12. 핀타
13. 신종전염병 증후군
1. A형간염
2. C형간염
3. 반코마이신 내성황색포도상구균감염증
4. 샤가스병
5. 광동주혈선 충증
6. 유극악구충증
7. 사상충증
8. 포충증
9.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CJ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