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 재구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단원 선정

Ⅱ. 단원 선정 이유

Ⅲ. ‘발견하는 기쁨’ 단원의 대단원 개관 및 대단원 학습 목표

Ⅳ. 소단원 구성 및 목표
1) 소단원 구성
2) 소단원별 목표

Ⅴ. 중간발표 이후 변경된 내용

Ⅵ. 지도상의 유의점
1) 소단원 1
2) 소단원 2
3) 되돌아보기 & 더 나아가기

본문내용

한다.
관찰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할 때 객관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담을 수 있다 는 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2차시 학습 활동 1번에서 아이들이 정확한 관찰 방법을 알 수 있게 유도한다. 학교 안에서 관찰할 수 있는 것들을 개인적으로 발표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 학습 활동 후 모둠별로 발표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차시 글쓰기, 그림 그리기, 사진 붙이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관찰 내용을 정하도 록 지도한다.
추측과 상상이 아닌 관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확하고 사실적으로 쓰도록 함으 로써 기록의 정확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2) 소단원 2
1차시 제시문에 각 모둠별로 조사한 내용에 대해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생들이 조사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2차시 조사에 대한 과정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지도한다.
특정 대륙에 치우지지 않고 다양한 나라의 민요를 다뤄준다.
3차시 조사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하여 발표하도록 지도한다.
다른 조에서 발표할 때 올바른 태도로 들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마지막 학습 활동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조와 그 조를 선택한 이유까지 조리 있게 말할 수 있게 지도한다.
3) 되돌아보기 & 더 나아가기
‘담임선생님’에 대해 관찰할 때 정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시킨다.
관찰한 내용을 발표할 때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 각자 다르게 관찰한 내용에 대한 의사 소통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지도한다.
식물 및 동물에 대한 관찰과 그것이 응용되어 탄생된 생활품에 대한 조사가 잘 어우러 지도록 지도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4.22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20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