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배 경
■ 고려와 송의 관계
■ 고려와 송의 관계
본문내용
장에서는 당시 국제정세로 보아 이미 쇠약해 가는 남송과 합작함으로서 새롭게 강성해지는 금의 미움을 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고려의 중립적 태도로 인하여 여송관계는 점차 멀어지게 되었으며, 송에서도 금과의 잦은 싸움으로 국내사정이 어수선하니 당분간은 사절을 보내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통보를 해왔다. 결국 가도문제는 고려와 송 양국간의 사이를 매우 서먹하게 만든 결과를 초래했으며, 송은 고려에 대하여 금과 밀착되었다고 생각하여 고려의 사절조차도 금의 간첩으로 오해하기까지 하였다. 하여튼 양국의 공적 관계는 매우 소원해져 그 뒤로 공적인 통교로서 고려에서 송에 보낸 마지막 사신은 의종 18년(1164)의 일이며, 송에서 파견된 마지막 사신은 명종 3년(1173)을 끝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고려의 중립적 태도로 인하여 여송관계는 점차 멀어지게 되었으며, 송에서도 금과의 잦은 싸움으로 국내사정이 어수선하니 당분간은 사절을 보내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통보를 해왔다. 결국 가도문제는 고려와 송 양국간의 사이를 매우 서먹하게 만든 결과를 초래했으며, 송은 고려에 대하여 금과 밀착되었다고 생각하여 고려의 사절조차도 금의 간첩으로 오해하기까지 하였다. 하여튼 양국의 공적 관계는 매우 소원해져 그 뒤로 공적인 통교로서 고려에서 송에 보낸 마지막 사신은 의종 18년(1164)의 일이며, 송에서 파견된 마지막 사신은 명종 3년(1173)을 끝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
추천자료
국악기의 8분류
국악박물관을 다녀와서
가마쿠라시대 [鎌倉時代(겸창시대)]
대금의 역사,구조,조율과 음역
세종실록 악보 서
[법과 사회]한국사회에 있어서 법의 정의에 관하여[법의 역할][법의 기능]
당사자 적격
유교의 역사적 배경과 각 시대별 유교의 위치와 역할
입양사업 내용 요약 느낀점
한국건축
[인문과학] 몽유도원도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태평소,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해금,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편경과 특...
세계속의 한국 ; 세계사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역할
2001년(2000년대)의 정보화, 2001년(2000년대)의 세계경제, 2001년(2000년대)의 한국경제, 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