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기(한국전통악기) 태평소,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해금,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편경과 특경,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향피리와 생황,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공후와 양금,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징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태평소,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해금,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편경과 특경,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향피리와 생황,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공후와 양금,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태평소

Ⅲ.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해금

Ⅳ.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편경과 특경
1. 편경
2. 특경

Ⅴ. 국악기(한국전통악기) 향피리와 생황
1. 향피리
2. 생황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 공후와 양금
1. 와공후
2. 수공후
3. 소공후
4. 양금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 단소
1. 특징
2. 재료
3. 악기의 구조

Ⅷ.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할을 하고 있는 대중적인 악기이다.
2. 재료
문헌비고(文獻備考)의 분류 방법에는 악기의 재료 상 8부중에 죽부(竹部 : 대나무)에 속한다. 단소의 재료로 쓰이는 것은 주로 오래 묵은 황죽(黃竹) 이나, 얼룩이 있는 반죽(斑竹), 검은 색인 오죽(烏竹), 양쪽으로 골이 생긴 쌍골대(雙骨竹)등이 있다. 간혹 쇠 또는 옥돌(玉:비취)로도 만들었다고 한다. 요즈음에는 플라스틱 재료로서 대량 생산하기도 한다.
3. 악기의 구조
단소의 규격은 대(竹)의 크기, 대나무 살의 두께 또는 취향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개와 같다.
길이는 41㎝ 정도이고, 윗부분에 반달 모양의 취구(吹口)가 있고, 음공(音孔)은 뒤에 1개와 앞에 4개가 있다. 그러나 맨 아래 구멍(제5공)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Ⅷ. 국악기(한국전통악기) 징
민속 음악에 쓰는 타악기의 하나로, 놋쇠로 전이 없는 대야같이 만들어 울의 한쪽에 두 개의 구멍을 내어 끈을 꿰고 채로 쳐서 소리를 낸다. 장중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낸다.
<타법>
징 보통 치는 타법으로 부드럽게 밀듯이 친다.
짓 징의 안쪽 면을 반대편 손으로 막고 치는데 풍물굿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
참고문헌
1. 손태룡(2003), 한국의 전통 악기, 경산 : 영남대학교출판부
2. 서한범(1995), 국악통론, 서울 : 태림출판사
3. 이성재(1998), 재미있는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4. 윤명원 외 4인(2003), 한국음악론 - 우리음악의 멋과 정신, 서울 : 음악세계
5. 윤중강 저, 국악이 바뀌고 있다&국악을 방송에 담다, 민속원
6. 풍남(1994), 알기 쉬운 국악개론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