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여튼 양국의 공적 관계는 매우 소원해져 그 뒤로 공적인 통교로서 고려에서 송에 보낸 마지막 사신은 의종 18년(1164)의 일이며, 송에서 파견된 마지막 사신은 명종 3년(1173)을 끝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 ■ 배 경
■ 고려와 송의 관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의 대외관계」,『한국사』6,한길사.1994.
박종기, 1999, 『5백년 고려사』,푸른 역사.
안병우,「고려와 송의 상호인식과 교섭: 11세기 후반~12세기 전반」,『역사와 현실』43, 2002.
이정신, 2003, 『고려시대의 변동과 대외정책』.
국사편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요와 서하의 대두
(1) 요
(2) 서하
(3) 대고려 정책
(4) 대서역 정책
3. 남송과 금 - 남북조의 재현
(1) 금
(2) 고려와의 관계
4. 몽고제국과 남송의 멸망
(1) 몽고제국의 성립과 남송의 멸망
(2) 몽고제국과 남송의 외교접촉과정
5. 맺음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의 사회 <시민 사회>
Ⅰ- 5. 송의 문화 <자유 문화>
Ⅰ- 6. 송나라의 예술
가. 대성 아악
나. 교방악
다. 사악
Ⅰ- 7. 송의 대외관계
가. 송과 고려의 대외관계
Ⅰ-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는 동시에 이와 인접해 있으며 연운 16주를 차지하고 있는 거란을 견제하지 않을 수 없었기에 고려와의 연계를 환영하였다. 곧 麗宋 양국이 외교적으로 우호교섭관계를 맺게 된 것은 송의 “聯夷以制夷”라는 기본 외교 방침 하에 거란의 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