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식물자원과 천연물산업
2. 전통동양약물의 활용
3. 미국, 유럽 및 주변 국가
4. 한국의 도전
5. 참고문헌
2. 전통동양약물의 활용
3. 미국, 유럽 및 주변 국가
4. 한국의 도전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규격화 약재 및 엑스 생산; 인삼, 시호, 당귀, 오미자, 산수유 등 국내에서 다량 생산되는 것부터 규격화 제품을 생산하면서,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약재의 규격화 시켜 부가가치가 높은 형태의 원료 제품을 생산 할 수 있다. 천연물산업에서 원료 생산 부분을 완전 배제하면서 제품화를 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약재, 엑스 생산 부분의 수준 높은 규격 약제, 엑스를 생산하면 대외 경쟁력이 높아진다. 여기서 고려할 부분은 한국이 일찍이 GMP 시설 건립과 운용의 노하우를 축적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국제 규격 원료 생산에 중국 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다.
● 약재 자원 확보와 제약 플랜트 수출의 연계; 한국은 인삼과 시호 등 몇 가지 약재를 제외하고는 생산 측면에서 거의 경쟁력이 없다. 중국 등에서 약재를 수입하는 일방 약재 생산국에 필요한 제약 플랜트를 합작회사 또는 단독 설립하여 국내의 제형 기술을 기반으로 플랜트 수출이 가능하다. 인도, 러시아. 이란, 동남아 국가 등이 필요로 하는 제약 플랜트를 수출하고 천연물자원 확보를 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 중국만이 약재나 천연물자원을 생산하는 곳이 아니고 대부분의 열대우림지역의 국가가 천연물 자원 국가이며 동시에 경제적으로 빈곤한 처지임으로 자원 확보를 위한 플랜트 수출의 장점이 있다. 특히 CITES, Bio-diversity 협약 등으로 자원 확보의 선점이라는 차원에서도 고려해볼 만한 부분이다. 특히 중국의 한약업체들이 GMP 시설을 갖추는 노력을 하는 시점에서 국내의 GMP 시설 및 운용 노하우와 더불어 효율적인 GMP 공장 기술을 시도할 수도 있다.
● 북미 지역의 천연물산업 진출; 미국 인삼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이나 현재 북미 지역에서 재배되는 한약재를 원료로 그 곳의 기업과 합작 형태 또는 단독 진출도 고려할 부분이다. 남가주 지역의 HMO는 한약 처방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들 한약 제품의 생산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에 한하여 의료보험 혜택을 부여하는 조건임으로 한약 제품 시설의 미국 내 설립도 유망한 부분이다. 이미 대만 기업이 진출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이상의 열거한 한국 천연물산업이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며 기술적으로도 국내 기술진이 확보되어 있다. 다만 많지 않은 기술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도전해 볼 수 있는 산업 분야이다.
※ 제형에 따른 부가가치 순위(생약제품)
천연약물(약품허가)
- 건강보조식품 -
Phytomedicine Dietary Supplements
규격엑스
Standardized
Extract
엑스
Extract
팅쳐
Tincture
건조 약초
Dried Herbs
生 약초
Fresh Hbs.
※ 우리 기술의 경쟁력
5. 참고문헌
1) 인터넷 정보
-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http://www.igc.apc.org
- CITES; http://international.fws.gov/global/citesnew.html
- W.H.O.; http://www.who.int
- W.H.O. Western Pacific Region; http://www.who.org.ph
- ICH; http://www.ifpma.org./ich8.html
- EMA (The European Agency for the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http://www.eudra.org/emea.html
- ESCOP; http://www.escop.msstate.edu/
- AESGP; http://www.aesgp.be
- Pharmaceutical Research & Manufacturers of America; http://www.phrma.org.
- IFPM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harmaceut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http://www.ifpma.org.
- Nonprescription Drug Manufacturers Association; http://www.ndmainfo.org.
- Association of the British Pharmaceutical Industry; http://www.abpi.org.uk
- Verband Forschender Arzneimittelhersteller E.V. (VFA); http://www.vfa.de
- Food & Drug Law Institute; http://www.fdli.org
- DIA (Drug Information Association); http://www.diahome.org
- US Pharmacopoeia; http://www.usp.org
-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http://www.nih.gov
-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http://nccam.nih.gov
- NIH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http://odp.od.nih.gov
- FDA; www.fda.gov
- The State Sanitary and Epidemiological Inspec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depart.drugreg.ru
- Phtonet; http://www.exeter.ac.uk
- Healthwell exchange; http://exchange.healthwell.com
- Herb World News Online; http://www.herbs.org
- Herbnet; www.herbnet.com
- TradiMed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s Database); http://www.tradimed.co.kr
- The British Herbal Medical Association; http://www.ex.ac.uk
● 약재 자원 확보와 제약 플랜트 수출의 연계; 한국은 인삼과 시호 등 몇 가지 약재를 제외하고는 생산 측면에서 거의 경쟁력이 없다. 중국 등에서 약재를 수입하는 일방 약재 생산국에 필요한 제약 플랜트를 합작회사 또는 단독 설립하여 국내의 제형 기술을 기반으로 플랜트 수출이 가능하다. 인도, 러시아. 이란, 동남아 국가 등이 필요로 하는 제약 플랜트를 수출하고 천연물자원 확보를 하는 것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 중국만이 약재나 천연물자원을 생산하는 곳이 아니고 대부분의 열대우림지역의 국가가 천연물 자원 국가이며 동시에 경제적으로 빈곤한 처지임으로 자원 확보를 위한 플랜트 수출의 장점이 있다. 특히 CITES, Bio-diversity 협약 등으로 자원 확보의 선점이라는 차원에서도 고려해볼 만한 부분이다. 특히 중국의 한약업체들이 GMP 시설을 갖추는 노력을 하는 시점에서 국내의 GMP 시설 및 운용 노하우와 더불어 효율적인 GMP 공장 기술을 시도할 수도 있다.
● 북미 지역의 천연물산업 진출; 미국 인삼을 이용한 다양한 제품 개발이나 현재 북미 지역에서 재배되는 한약재를 원료로 그 곳의 기업과 합작 형태 또는 단독 진출도 고려할 부분이다. 남가주 지역의 HMO는 한약 처방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들 한약 제품의 생산이 미국 내에서 생산되는 품목에 한하여 의료보험 혜택을 부여하는 조건임으로 한약 제품 시설의 미국 내 설립도 유망한 부분이다. 이미 대만 기업이 진출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이상의 열거한 한국 천연물산업이 세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며 기술적으로도 국내 기술진이 확보되어 있다. 다만 많지 않은 기술 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면서 적절한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도전해 볼 수 있는 산업 분야이다.
※ 제형에 따른 부가가치 순위(생약제품)
천연약물(약품허가)
- 건강보조식품 -
Phytomedicine Dietary Supplements
규격엑스
Standardized
Extract
엑스
Extract
팅쳐
Tincture
건조 약초
Dried Herbs
生 약초
Fresh Hbs.
※ 우리 기술의 경쟁력
5. 참고문헌
1) 인터넷 정보
-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http://www.igc.apc.org
- CITES; http://international.fws.gov/global/citesnew.html
- W.H.O.; http://www.who.int
- W.H.O. Western Pacific Region; http://www.who.org.ph
- ICH; http://www.ifpma.org./ich8.html
- EMA (The European Agency for the Evaluation of Medicinal Products; http://www.eudra.org/emea.html
- ESCOP; http://www.escop.msstate.edu/
- AESGP; http://www.aesgp.be
- Pharmaceutical Research & Manufacturers of America; http://www.phrma.org.
- IFPMA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harmaceut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http://www.ifpma.org.
- Nonprescription Drug Manufacturers Association; http://www.ndmainfo.org.
- Association of the British Pharmaceutical Industry; http://www.abpi.org.uk
- Verband Forschender Arzneimittelhersteller E.V. (VFA); http://www.vfa.de
- Food & Drug Law Institute; http://www.fdli.org
- DIA (Drug Information Association); http://www.diahome.org
- US Pharmacopoeia; http://www.usp.org
-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http://www.nih.gov
-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http://nccam.nih.gov
- NIH Office of Dietary Supplements; http://odp.od.nih.gov
- FDA; www.fda.gov
- The State Sanitary and Epidemiological Inspec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of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depart.drugreg.ru
- Phtonet; http://www.exeter.ac.uk
- Healthwell exchange; http://exchange.healthwell.com
- Herb World News Online; http://www.herbs.org
- Herbnet; www.herbnet.com
- TradiMed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s Database); http://www.tradimed.co.kr
- The British Herbal Medical Association; http://www.ex.ac.uk
추천자료
한국여성의 자원봉사인력에 관한 실태 분석
북한의 동.서의결합 현황
유교 자본주의 분석과 유교 사회주의
RFID와 유비쿼터스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노인문제의 실상
유학의 현대적 가용성 탐구
한국경제 발전과정 - 결제개발 5개년 계획, 통계로 보는 한국경제 발전상
`학습성취 격차와 학습의 사회적 환경`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서평
제일모직과 코오롱패션 기업 비교분석(재무제표, 재무분석, 주가정보, 투자지표, 경영실적)
만화 “궁”과 드라마 “궁”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유아교육(유치원교육) 역사와 필요성, 유아교육(유치원교육) 관련법규, 유아교육(유치원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