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수이론
1). Glaser의 교수이론
2). Bruner의 교수이론
3). Gagne의 교수이론
교수연구의 패러다임
1) 교수연구 패러다임과 그 변인들
2) 주요 교수연구 패러다임
1). Glaser의 교수이론
2). Bruner의 교수이론
3). Gagne의 교수이론
교수연구의 패러다임
1) 교수연구 패러다임과 그 변인들
2) 주요 교수연구 패러다임
본문내용
적인 존재로 인식. 또한, 교실의 환경은 사회, 문화적으로 조직되어 있다고 간주. 따라서 교실 생태 패러다임은 학업성취 효과가 교실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일어나고 있는가를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구결과를 새롭게 해석하는 틀로서도 중요한 역할.
▶단점: ㄱ.일반화하는 과정에서의 증거자료 부족과 자료수집의 객관화가 어렵다
ㄴ.참여형태나 언어사용 등에 관찰을 집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교과, 수업과 제, 교수활동에 대해서는 깊은 통찰을 보이지 못한다.
ㄷ.연구방법과 절차가 연구자의경험과 지식에 의존하기에 결과해석의 객관화가 어렵다.
④인지과학 패러다임(cognitive science paradigm)
▶인지심리학- 능동적으로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역동적인 구조-과정으로서의 인간의 마음 과 인지를 강조(이정모, 1994)
▶인지과학 패러다임의 목표: 교사와 학생이 교수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이고 총체적인 전략을 확인하는 것. (Eisenhart & Borko, 1993)
▶인지과정을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두 가지 방법.
ㄱ. 과정추적기법(process tracing technique)- 인지과정에 대한 자료를 모으기 위해 사 용하는 언어적 보고방법.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소리 내어 말하는 생각 말하기기법, 과제수행당시를 녹화한 테이프를 보면서 생각을 말하는 자극 회상기법 등이 있다.
ㄴ.회귀모형기법(regression modeling)- 사용된 정보의 종류와 정보들이 결합된 방법들을 확인하여 개인의 판단과 의사결정을 예언하기 위해 통계적 절차를 이용하는 방법. 이 실제 교수-학습 상황보다 모의실험이나 실험실 연구에서 교사의 판단과 결정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
▶문제점: ㄱ.교실생활의 본질인 구체적 교육과정 내용과 교과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ㄴ.교실에서 교사가 아닌 소구의 학생에 대한 의미를 찾으려는 데 지나치게 편 재 되어 있다.
교실상황은 복합적인 요인이 상호 작용하므로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모든 변인을 설명하기 힘듦. 따라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 패러다임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한다면 교수 연구의 보다 많은 변인을 설명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을 줄 것임.
*참고문헌*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4.
이달석.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7.
이용남외 7명. <<신교육심리학>> 학지사. 1999.
▶단점: ㄱ.일반화하는 과정에서의 증거자료 부족과 자료수집의 객관화가 어렵다
ㄴ.참여형태나 언어사용 등에 관찰을 집중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교과, 수업과 제, 교수활동에 대해서는 깊은 통찰을 보이지 못한다.
ㄷ.연구방법과 절차가 연구자의경험과 지식에 의존하기에 결과해석의 객관화가 어렵다.
④인지과학 패러다임(cognitive science paradigm)
▶인지심리학- 능동적으로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역동적인 구조-과정으로서의 인간의 마음 과 인지를 강조(이정모, 1994)
▶인지과학 패러다임의 목표: 교사와 학생이 교수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이고 총체적인 전략을 확인하는 것. (Eisenhart & Borko, 1993)
▶인지과정을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두 가지 방법.
ㄱ. 과정추적기법(process tracing technique)- 인지과정에 대한 자료를 모으기 위해 사 용하는 언어적 보고방법. 과제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소리 내어 말하는 생각 말하기기법, 과제수행당시를 녹화한 테이프를 보면서 생각을 말하는 자극 회상기법 등이 있다.
ㄴ.회귀모형기법(regression modeling)- 사용된 정보의 종류와 정보들이 결합된 방법들을 확인하여 개인의 판단과 의사결정을 예언하기 위해 통계적 절차를 이용하는 방법. 이 실제 교수-학습 상황보다 모의실험이나 실험실 연구에서 교사의 판단과 결정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
▶문제점: ㄱ.교실생활의 본질인 구체적 교육과정 내용과 교과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ㄴ.교실에서 교사가 아닌 소구의 학생에 대한 의미를 찾으려는 데 지나치게 편 재 되어 있다.
교실상황은 복합적인 요인이 상호 작용하므로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모든 변인을 설명하기 힘듦. 따라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각 패러다임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한다면 교수 연구의 보다 많은 변인을 설명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을 줄 것임.
*참고문헌*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4.
이달석. <<교육심리학>> 학지사. 1997.
이용남외 7명. <<신교육심리학>> 학지사. 1999.
키워드
추천자료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켈러의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과 플랜더스의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
[교수학습이론과매체E형]유아교육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방안, 좋은 소프트웨어의 특징 ...
브루너의 교수이론
2009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A형(파블로프/스키너/손다이크)
2009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8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중간시험과제물 A형(파블로프/스키너/손다이크)
2010년 1학기 교수학습이론과매체 기말시험 핵심체크
인간발달과 교수학습이론
가네의 교수이론
임용고시 대비 교수학습이론 정리
교육심리학, 교수학습이론 정리자료
오슈벨의 유의미 교수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