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 간호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처 간호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조직손상의 단계에 따른 분류

2.상처치유 기전

3.상처관리 원칙

4.드레싱의 목적

5.드레싱의 종류

◦드레싱 제품의 특성과 적용

6.상처감염시의 간호

본문내용

있는가? 어떤 종류인가? 몇개인가?
휴대용 흡인기가 사용되고 있는가?
배약량이 수술의 특성과 일치한가?
(10)어떤 종류의 드레싱이 사용되는가?
삼출물로 드레싱이 젖었는가?
배액량과 형태가 수술의 특성과 일치하는가?
(11)상처의 상태는 어떠한가?
부종, 자극, 염증의 증거가 있는가?
상처의 가장자리는 잘 붙어 있는가?
상처가 청결하고 건조한가?
(12)환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상처, 통증 또는 불편감에 대한 증상이 있는가?
발열이나 백혈구의 증가가 있는가?
환자가 창상에 대해 염려하며 외모 손상의 가능성에 대해 표현하는가?
(13)환자가 상처 치료의 목적을 히해하며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처 간호에 대해 퇴원 후 지침서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가?
4)감염된 상처를 위한 간호
(1)드레싱을 교환하는 동안 무균볍을 지킨다.
(2)배액물로 드레싱이 젖었을 경우 신속하게 교환한다.
(3)배액관이 절개선에서 멀리 있도록 한다.
(4)상처의 오염과 외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가 절개 부위를 만지거나 드레싱을 열지 못하도록 교육한다.
(5)영양섭취를 사정한다. 영양섭취가 더 필요하면 의사와 상담한다.
(6)절개 부위 긴장을 최소화한다.
적절한 반창고, 붕대와 끈을 사용한다.
기침시 복부와 흉부위 절개 부위를 지지한다.
절개 부위 긴장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ex:복부절개인 경우, 한쪽으로 돌아누위 밑에 있는 팔의 팔꿈치와 반대편 손으로 밀어서 일어난다.)
(7)간호사 근무교대시마다 절개 부위 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8)환자의 수술과 수술 부위에 대한 그릇된 생각을 바꾸어 준다.
(9)상처에 관한 환자의 생각과 외모손상에 관한 환자의 느낌을 표헌하게 한다.
(10)통증을 초래하는 드레싱 교환 전에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11)절개선의 통증을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12)음악치료, 이완운동, 지압 등 비약물적인 통증완화법을 고려한다.
(13)수술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봉합을 제거하여 상처를 개방한 후 혈관섭자를 이용하여 감염을 확인한다.
(14)배양할 부위를 채취하여 박테리아 검사를 위해 임상병리 검사실로 보낸다.
(15)멸균된 주사기와 식염수를 사용하여 상처를 세척할 수 있다.
(16)배액관을 삽입하거나 상처를 멸균거즈로 덮는다.
(17)항생제가 처방된다.
(18)Wet-to- Dry Dressing을 적용 할 수 있다.
5)퇴원시 환자교육
(1)다음과 같은 감염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게 한다.
발적, 심한 부종(절개 부위로부터 1.5cm이상), 압통과 상처 부위의 열감증가
상처로부터의 농 또는 이상한 분비물, 악취
상처 근처 피부 위의 붉은 선
오한과 열(37.7℃이상)
(2)간호사와 의사의 지시를 따라 허용된 범위내에서 움직이게 한다.
(3)봉합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시킨다.(금기사항이 아니라면, 샤워를 한다. 상처가 치유될 때까지 통목욕은 피한다.)봉합 부위 근처의 피부를 세게 문지르지 않고 가볍게 두드려서 건조시킨다.
(4)2개월간 절개 부위가 발적되어 있고 두꺼워지고 압통이 있다면 의사에게 보고한다.(keloid형성의 시작일 수 있다.)
(5)처음에는 환자의 식용감소나 식사 후 팽만감을 느끼는 일은 흔하나 환자의 활동량이 늘어나게 되면 이것은 감소된다.(약물에 의해 초래되어질 수 있다.)증상이 지속되면 의사와 상담한다.
(6)소량의 규칙적인 식사를 하며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기 위한 영양분을 섭취한다.
(7)상처로 인한 불편감 대문에 수면을 취하기 어려우면, 잠자기 전에 진통제를 복용한다.
(8)회복을 돕기 위해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9)상처는 몇 가지 단계를 거쳐 치유된다. 처음에는 수술 부위에 통증이 있고. 상처가 치유되면서 쿡쿡 쑤시며 가렵거나 당기는 느낌이 들 수 있다.
(10)하부의 새로운 조직을 보호하기 위한 모든 가피들이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적절한 시기에 자연적으로 떨어진다.
(11)불규칙적 장습관은 활동과 식이의 변화 또는 약물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12)상처의 불편감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로 힘을 주는 것을 피하도록 한다. 대신 배변을 시도하는 동안 몸을 앞뒤로 흔드는 rocking motion을 사용한다.
(13)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과일, 야채, 곡물 등을 통해 섬유소 섭취를 증가시킨다.
(14)경한 완화제를 사용한다.
(15)꽉 죄는 벨트나 속옷, 상처에 자극을 주는 소매가 있는 옷의 착용은 피한다.
(16)편안하고 느슨한 옷을 입어 상처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줄인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5.22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