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책문권의 의의
2. 적용범위
3. 책문권의 포기와 상실
2. 적용범위
3. 책문권의 포기와 상실
본문내용
이의하지 아니함으로써 발생한다. 반드시 본인에 한하지 아니하고 대리인이 알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도 포함한다.
ⅳ) 效果
책문권을 포기하거나, 상실되면 소송절차에 위배된 소송행위의 하자가 치유되어 그 소송행위는 처음부터 유효하게 된다. 다만 법원의 행위에 대하여 당사자 쌍방에게 책문권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사자 쌍방의 포기 또는 상실이 있어야 한다.
ⅳ) 效果
책문권을 포기하거나, 상실되면 소송절차에 위배된 소송행위의 하자가 치유되어 그 소송행위는 처음부터 유효하게 된다. 다만 법원의 행위에 대하여 당사자 쌍방에게 책문권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사자 쌍방의 포기 또는 상실이 있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 행정사건소송법상 취소소송의 대상
[행정법]행정소송법상의 취소소송의 재판관할과 당사자
행소법상 법규명령에 대한 취소소송
행정소송법상 취소소송과 가처분
행정소송법상 항고소송의 당사자
행정소송법상 항고소송의 심리
행정소송법상 형식적 당사자소송에 대하여
행정소송법상 취소소송의 제소기간
부작위위법확인소송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취소소송의 대상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취소소송의 심리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취소소송판결의 종류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행정소송의 한계에 대한 행정법상 검토
[A+] 형사소송법에 대한 조사보고서 개념 법원 적용범위 형사절차법정주의 주체 절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