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원고적격
Ⅲ. 피고적격
Ⅱ. 원고적격
Ⅲ. 피고적격
본문내용
귀속되는 국가 또는 공공단체가 피고가 된다.
2. 무효등확인소송 및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피고적격
취소소송의 피고적격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므로, 당해 처분 등을 행한 행정청이나 부작위청이 피고가 된다.
3. 피고의 경정
1) 의의
행정소송법은 피고를 잘못 지정함으로써 원고가 입게 될 불측의 손해를 막기 위해 피고경정의 규정을 두고 있다.
2) 피고 경정의 종류
피고 경정이 허용되는 경우로는 ①피고를 잘못 지정한 경우, ②취소소송이 제기된 후 처분 등에 관한 권한이 타기관에 승계된 경우, ③소의 변경으로 피고의 경정이 있게 된 경우 등이다.
3) 피고경정의 효과
피고경정의 결정이 있게 되면 새로운 피고에 대한 소는 처음에 소를 제기한 때에 제기된 것으로 보며, 종전의 피고에 대한 소는 취하된 것으로 본다.
2. 무효등확인소송 및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피고적격
취소소송의 피고적격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므로, 당해 처분 등을 행한 행정청이나 부작위청이 피고가 된다.
3. 피고의 경정
1) 의의
행정소송법은 피고를 잘못 지정함으로써 원고가 입게 될 불측의 손해를 막기 위해 피고경정의 규정을 두고 있다.
2) 피고 경정의 종류
피고 경정이 허용되는 경우로는 ①피고를 잘못 지정한 경우, ②취소소송이 제기된 후 처분 등에 관한 권한이 타기관에 승계된 경우, ③소의 변경으로 피고의 경정이 있게 된 경우 등이다.
3) 피고경정의 효과
피고경정의 결정이 있게 되면 새로운 피고에 대한 소는 처음에 소를 제기한 때에 제기된 것으로 보며, 종전의 피고에 대한 소는 취하된 것으로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사소송법]당사자 정리
[당사자의 확정] 사망자를 당사자로 한 소송, 법인격 부인설과 당사자의 확정
재소금지의 선정당사자, 재소금지에서 채권자대위소송, 소송물동일
독립당사자참가의 절차, 참가요건 소송요건조사
[민사소송법] 당사자 적격에 관하여 논하라.
사망자를 당사자로 한 소송
2007년 1학기 민사소송법 E형(당사자 적격에 관하여 논하라)
2010년 1학기 민사소송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당사자적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0년 1학기 민사소송법 중간시험과제물 E형(독립당사자참가의 구조,요건,심판)
민사소송심리에 있어서 법원과 당사자간의 역할분담 개요
민사소송진행에 있어서 당사자의 지위
민사소송 변론절차에서의 양쪽 당사자의 결석
[형사刑事소송법] 형사소송법의 기본구조 - 소송구조론,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 우리 형사소...
성명모용소송과 사망자를 당사자로 한 소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