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의 제사 비교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차 례
제1장 서 론
1. 연구범위 및 방법과 목적
1) 연구 방법
2) 연구 목적

제2장 성경에 나타난 제사의미
제1절 구약 시대의 제사
1. 제사 대상으로서 야웨 하나님
2. 구약성서의 조상이해
3. 구약에서 무덤 숭배문제
4. 구약성서에서 죽음의 이해
제2절 신약의 조상제사 이해
1. 제사의 대상으로서의 하나님
2. 신약성서 속에 나타난 조상이해
3. 신약성서에서 나타난 무덤 문제
4. 신약성서에서 죽음의 이해

제3장 유교의 조상 제사

제4장 우리조상 제사의 역사적 연구
제1절 조상제사 의례의 형성과정
1. 농경생활
2. 혈연사회
3. 조상숭배사상
4. 조상 혼의 불멸사상
제2절 조상제사가 지니고 있는 의미
1. 우주적 개념
2. 조상제사 의례
3. 조상 제사의 목적
4. 조상 제사의 문화적 의미
1) 역사적으로 본 조상제사
2) 계급주의적으로 본 조상제사

제5장 가정의례준칙

제6장 뿌리 깊은 민족 종교의 장,단점

제7장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절사
설날의 년시제
(b) 제례의 범위
2대까지로 재한하여 년 6회로 한정한다.
(c) 종가의 범위
8촌 이내로 친족단위별, 장손으로 규정
(d) 제례의 절차
제방을 사진으로 대치한다.
혼령 모으기
고인의 사진을 제상에 모심
향을 피우고
모사에 술을 붓고
참가자가 전원 절을 한다.
잔을 올리고
축문을 읽고
축문을 읽은 다음 수저를 꽂고
일제히 묵념하고 묵념을 올린 후 2번 절한다.
이같은 간소화된 제례의식은 복잡하고 난해한 종전의 예식보다 많은 호응을 얻고 준식에 의해 지금도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제6장 뿌리 깊은 민족 종교의 장, 단점
조상 제사는 어제 오늘에 시작된 것이 아니다. 조상 제사는 대대로 내려오면서 물려받은 하나의 무형 문화제이며 동시에 가풍을 이어가는 문화적 유산으로 여겨져 왔다. 즉 선조를 공양하고 정성껏 제사를 올리는 것은 곧 가문을 말 하는 것이고 규모 있는 가풍으로 여겨져 왔다.
그런데 이와 같이 순수한 조상 숭배적 제사들은 다양한 문화와 접하게되었고 또 다른 복잡한 의미들이 주어지게 되었다. 그것은 조상을 하나의 가호의 대상으로 여겼다는 것과 죽은 조상의 효에 대한 안위적 성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오늘날 조상에게 드려지는 제사의 의미는 효의 개념을 넘어서서 제사를 자신의 삶에 하나의 보이지 않은 이익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가 앞에서 언급했듯이 부모에게 효하는 것과 부모를 위하여 제사를 지내는 것은 하늘에 맞는 일이며 정성껏 효를 지내고 제사하면 하늘의 복을 받게되며 조상의 사령으로부터 자손을 위한 가호가 있는 것으로 의식이 들어있다. 일반적으로 제사를 지내는 사람의 마음에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잘 못 모시면 재앙을 받는다는 강박관념을 가지고있다. 이런 강박 관념을 죽은 조상을 가정의 보호자로 모시는 종교적 심리까지도 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볼 때에 무교(無敎)에서 비롯된 조상 숭배의식은 마침내 조상신에 대한 종교적 속성까지도 지내게되어 그들을 섬기고 제사를 드리므로 복을 받는다는 강한 관념을 낳게 하였다. 이렇게 볼 때에 조상 제사 제도는 조상에 대한 효심의 표현이면서 자신의 삶을 위하여서는 중요한 인식이 되기 때문에 수세기를 거쳐오지만 약화되지 않고 있는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간소화 내지 제사의 뜻과 의미와 상징성을 부여하기를 꺼려하는 기독교 복음과 늘 항상 갈등과 충돌이 빚어 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죽은 자에 대한 공포 의식 내지는 안위사상 불필요한 부장 혹은 과다 지출을 요구하는 후한 장례 풍속을 가져오게 하였다. 오늘날 웅장한 무덤이나 화려한 장례 그리고 힘에 겨운 가분한 제사를 지내야되는 요구를 낳게 하였으며 이런 것들은 곧 혹시라도 주어 질 수 있는 재앙들을 피해 보려는 데서 비롯된 안위 사상과 반면에 기복적인 종교 사상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제7장 결 론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관혼상제(冠婚喪祭) 가운데 민족의 제례(祭禮) 의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관혼상제의 제사 의식은 처음 시작은 정확하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아주 오랜 시대에서 비롯되었으며 13세기 이후 왕가에서 비롯된 제사는 유가의 영향을 받아서 일반 평민에게 구체화된 일종의 제도적인 형식을 계승하게 되었다.
그러나 제례(제사) 의식 속에 여러 가지 복잡한 절차와 지나치게 사치스러운 형식 등은 조상에 대한 기복 적인 사상에서 비롯되었으며 최근에 이르러 가정 의례 준칙에 의하여 많이 간소화하게 이르렀다. 다만 우리 민족의 제사 형태는 부모님에 대한 사후에 대한 예절로 중국의 유가 입장인 공자(孔子)의 가르킴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본다.
그러나 이것은 기독교의 성경에서 의미한 제사 의미와는 정 반대의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성경은 조상에 대한 사후에 섬김과 제사는 절대로 금하고 있으나 유가의 제사 입장은 조상에 대해서 적극성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이런 것들이 오늘 우리 현실 가운데 기독교 입장과 유가의 제사 입장에서 충돌과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다.
본인의 입장은 성경적 입장에서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은 살아 생전에 자식된 도리를 다 해야 된다고 보지만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부모에게 자식된 도리를 생전에 실천하는가가 문제라고 본다. 단지 사후에 어떤 형식적이고 의식적인 절차에 대한 것은 그다지 중요하다고 보지는 않는다.
끝으로 한가지 이 번 논문을 기술하면서 아쉽게 생각한 것은 우리 민족의 관혼상제의 제례 의식 속에서 불교의 입장과 그리고 천주교의 입장과 일반 무속에 대한 입장을 기술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아쉬움을 남기며 앞으로 기회가 주어진다면 세계 여러 나라의 비교 종교학적인 입장과 더불어서 우리나라의 제사(제례)를 비교 고찰하여 보고 싶다.
참 고 문 헌
1. 국내 문서
금장태,「유교 상례」, 서울:전망사, 1984
김능금,「유교사상 개론」, 서울:서울 기독교 사상사, 1972
김두환,「한국제도 연구」, 서울:서울대 출판부, 1969
남상민,「예절학의 이론과 실제」, 지영사, 1996
맹용길,「효도와 제사」, 서울:엠마오, 1986
박근원,「기독교와 관혼상제」, 서울:전망사, 1984
손봉호,「제사와 현대문화」, 서울:엠마오, 1985
유동식,「한국 무교의 역사구조」,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1967
윤기석,「조상 숭배에 대한 윤리적 고찰」, 서울:연세대학교 출판부, 1967
유명종,「공자의 인간애」, 현대미학사, 2001
윤성범,「기독교 사상사」, 서울기독교서회, 1954
이종윤,「한국교회와 제사 문제」, 서울:엠마오, 1985
임택진,「기독교 가정 의례 준칙」, 한국 문서 선교회, 1985
정세근,「도가철학이란 무엇인가」, 충북대학교 철학과 학습교재
정세근,「중국철학의 문제들」, 충북대학교 철학과 학습교재
최길성,「민중 신앙의 토성과 외래성」, 월간 조성, 1982
최진권,「실전 묘지풍수」, 좋은글, 1999
한용득,「관혼상제」, 서울:홍신 문화사, 1982
2. 번 역 본
“前文” 「中庸」, 이민수역, 서울:평범사, 1982
“學而” 「論語」, 장기권역, 서울:평범사, 1982
“難婁” 「孟子」, 장기권역, 서울:평범사, 1982
  • 가격1,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6.04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