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의 역사 p.3
Ⅱ.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의 전통과 유래 p.3~4
Ⅲ.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생산지역 p.4~6
ⅰ) 보르독Bordeaux
ⅱ) 부르고뉴Bourgogne
ⅲ) 론느Rhone
ⅳ) 루와르Loire
ⅴ) 알자스Alsace
ⅵ) 상파뉴Champagne
Ⅳ. 대표적인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산지인 보르독과 부르고뉴 와인
p.6~7
∑ 보르독 와인(Bordeaux)
∑ 부르고뉴 (Bourgogne)
Ⅴ.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품계 p.7~8
1) A.O.C.
2) VDQS
3) VdP
4) VdT
Ⅵ. A.O.C법 라벨읽기 p.8~9
Ⅶ.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이 세계적으로 잘 팔리는 이유 p.9
Ⅰ.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의 역사 p.3
Ⅱ.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의 전통과 유래 p.3~4
Ⅲ.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생산지역 p.4~6
ⅰ) 보르독Bordeaux
ⅱ) 부르고뉴Bourgogne
ⅲ) 론느Rhone
ⅳ) 루와르Loire
ⅴ) 알자스Alsace
ⅵ) 상파뉴Champagne
Ⅳ. 대표적인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산지인 보르독과 부르고뉴 와인
p.6~7
∑ 보르독 와인(Bordeaux)
∑ 부르고뉴 (Bourgogne)
Ⅴ.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품계 p.7~8
1) A.O.C.
2) VDQS
3) VdP
4) VdT
Ⅵ. A.O.C법 라벨읽기 p.8~9
Ⅶ.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이 세계적으로 잘 팔리는 이유 p.9
본문내용
도품종, 포도재배방법과 양조, 숙성까지 법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경작지의 경우 토양에 따라 아주 작은 단위로 구분해 놓는데 어떤 경우는 바로 길건너 포도원인데도 분류가 다를 만큼 아주 자세하게 나뉘어져있다.
이는 타지방보다 전통적으로 개인 경작지로 잘게 나뉘어진 부르고뉴의 경우에 더욱 심하다. 또한 정해진 토지에서는 정해진 포도품종만을 재배하도를 규정하고, 다양한 품종을 사용할 경우 섞는 비율까지 법으로 제재하고 있다. 그 뿐아니라 생산된 후에는 포도주 화학분석과 국립 원산지명 연구소(INAO)가 주도하는 시음회를 통과해야만 라벨이 주어진다.
이 제도는 와인의 품질도 보증하지만 각 지방에 따른 와인의 전통을 지켜주는 역할도 한다. 전체 생산량의 약 35%를 차지한다. 프랑스의 모든 와인이 이 AOC의 통제를 받고 있는데, 이중 보르도 지방과 부르고뉴 지방의 경우에는 AOC등급 내에서도 자체내의 등급이 세분화되어 정해져 있다.
2) VDQS (Vin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 우수품질 제한 와인)
1945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 역시 생산지역, 포도품종, 알콜함양도수, 헥타르당 생산량, 포도재배방법, 양조법을 정해놓고 AOC에 못지않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한다. AOC로 올라가기위한 대기단계로 볼 수 있으며, 프랑스 와인 전 생산량의 2%정도를 차지한다.
3) VdP (VIn de Pays : 지방 와인)
이 단계까지는 원산지명이 정해져 있는데, 그 지역이 위의 두 단계 와인보다 넓게 정해져 있다. 포도품종과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정해져 있으며 간단한 성분분석과 시음위원회의 심사를 거친다.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와인에 지역명을 붙이는데, 최근에는 프랑스에서도 미국, 호주와인 등과 같이 한가지 포도품종만으로 생산하여 그 품종의 이름을 붙이는 뱅드페이가 증가하고 있다. 전체 생산량의 15%를 차지한다.
4) VdT (Vin de Table : 테이블 와인)
생산지역이나 생산연도의 표시가 없고, 프랑스에서 사용된 와인이면 모두 이 표시를 달수가 있다. 그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가 아니더라도 여기저기서 사와서 섞어서 만들어 출하해도 상관이 없다. 품질은 원료로 사용되는 포도에 따라 결정된다. 가격이 저렴해서 일상적인 식사 때 항상 테이블에 놓이는 와인이다. 전체 생산량의 38% 를 차지한다.
Ⅵ. A.O.C법 라벨읽기
( 1 ) 포도수확년도(Vintage : 빈티지)
와인의 품질은 그 해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포도수확 연도는 그 해에 생산된 와인의 개성을 나타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수확년도(Vintage)는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오늘날에서 포도재배기술이 발달하여 중요성이 많이 약화되었다. 특히, 고가
의 와인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의미가 없다.
( 2 ) Appellation MEDOC Controlee
보르도의 메독지구에서 양조된 와인으로 프랑스 A.O.C에 따라 일정한 기준에 달하지 않은 와인은 비록 이 지구에서 생산되더라도 메독이름을 붙이지 못함.
( 3 ) 회사로고
고유의 회사로고를 사용함
( 4 ) 설립년도
( 5 ) 와인명
이 와인이 제도된 지역이며 동시에 제품명 임. 원료 포도는 이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에 한정됨.
Ⅶ.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이 세계적으로 잘 팔리는 이유
포도밭 총면적 94만ha, 생산량 655만kl, 1인당 소비량 73l/년의 세계 최대의 와인국가, 프랑스.
와인을 공부할 때 구 세계 와인은 병에 품종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품종을 알기가 어렵다. 반면 신세계 와인은 품종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보다 접근하기가 수월하며 대부분의 경우 시라즈,까베르네 소비뇽, 샤르도네 등과 같이 이미 언급한 포도 품종을 주로 사용한다. 신세계의 포도 품종에서도 유럽인에 의해 와인 문화가 도입된 이유와 18세기를 넘어가면서 보르도(Bordeaux) 와인은 모든 와인의 교본이 되기에 보르도를 주축으로 프랑스의 주요 산지의 포도 품종을 신세계 산지에서 많이 도입해 심게 된다. 보르도 산지에서 유래된 품종-까베르네 소비뇽.메를로, 소비뇽등 부르고뉴 산지에서 유래된 품종-삐노 느와, 샤르도네 알자스 산지에서 유래된 품종-리슬링 론 지역에서 유래된 품종-시라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품종을 가진 나라는 이태리이고 세계에서는 무수한 포도 품종이 있고 그에 따라 엄청나게 다양한 와인이 생산된다.
와인의 전통 기술유통 식문화에 대해서도 최대의 선진국으로 세계와인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보르드, 부르고뉴, 샹파뉴를 시작으로 로스, 로와르, 역사와 최대의 생산량을 자랑하는 랑독, 루숀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와인 산지가 갖가지 타입과 개성을 가진 와인을 만들고 있어, 타국가들의 추월을 허락치 않고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관련자료]
[출처]
「와인 상식사전」 이기태 저, 길벗, 2009
http://www.wines-france.com/
http://www.terroir-france.com/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20506&docId=29464038&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7&sort=0&spq=1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20506&docId=106219474&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1&sort=0&spq=1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9&dirId=9020302&docId=962095&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22&sort=0&spq=1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4&dirId=4&docId=366063&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38&sort=0&spq=1
이는 타지방보다 전통적으로 개인 경작지로 잘게 나뉘어진 부르고뉴의 경우에 더욱 심하다. 또한 정해진 토지에서는 정해진 포도품종만을 재배하도를 규정하고, 다양한 품종을 사용할 경우 섞는 비율까지 법으로 제재하고 있다. 그 뿐아니라 생산된 후에는 포도주 화학분석과 국립 원산지명 연구소(INAO)가 주도하는 시음회를 통과해야만 라벨이 주어진다.
이 제도는 와인의 품질도 보증하지만 각 지방에 따른 와인의 전통을 지켜주는 역할도 한다. 전체 생산량의 약 35%를 차지한다. 프랑스의 모든 와인이 이 AOC의 통제를 받고 있는데, 이중 보르도 지방과 부르고뉴 지방의 경우에는 AOC등급 내에서도 자체내의 등급이 세분화되어 정해져 있다.
2) VDQS (Vin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 우수품질 제한 와인)
1945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 역시 생산지역, 포도품종, 알콜함양도수, 헥타르당 생산량, 포도재배방법, 양조법을 정해놓고 AOC에 못지않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한다. AOC로 올라가기위한 대기단계로 볼 수 있으며, 프랑스 와인 전 생산량의 2%정도를 차지한다.
3) VdP (VIn de Pays : 지방 와인)
이 단계까지는 원산지명이 정해져 있는데, 그 지역이 위의 두 단계 와인보다 넓게 정해져 있다. 포도품종과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정해져 있으며 간단한 성분분석과 시음위원회의 심사를 거친다. 프랑스는 전통적으로 와인에 지역명을 붙이는데, 최근에는 프랑스에서도 미국, 호주와인 등과 같이 한가지 포도품종만으로 생산하여 그 품종의 이름을 붙이는 뱅드페이가 증가하고 있다. 전체 생산량의 15%를 차지한다.
4) VdT (Vin de Table : 테이블 와인)
생산지역이나 생산연도의 표시가 없고, 프랑스에서 사용된 와인이면 모두 이 표시를 달수가 있다. 그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가 아니더라도 여기저기서 사와서 섞어서 만들어 출하해도 상관이 없다. 품질은 원료로 사용되는 포도에 따라 결정된다. 가격이 저렴해서 일상적인 식사 때 항상 테이블에 놓이는 와인이다. 전체 생산량의 38% 를 차지한다.
Ⅵ. A.O.C법 라벨읽기
( 1 ) 포도수확년도(Vintage : 빈티지)
와인의 품질은 그 해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포도수확 연도는 그 해에 생산된 와인의 개성을 나타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수확년도(Vintage)는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오늘날에서 포도재배기술이 발달하여 중요성이 많이 약화되었다. 특히, 고가
의 와인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의미가 없다.
( 2 ) Appellation MEDOC Controlee
보르도의 메독지구에서 양조된 와인으로 프랑스 A.O.C에 따라 일정한 기준에 달하지 않은 와인은 비록 이 지구에서 생산되더라도 메독이름을 붙이지 못함.
( 3 ) 회사로고
고유의 회사로고를 사용함
( 4 ) 설립년도
( 5 ) 와인명
이 와인이 제도된 지역이며 동시에 제품명 임. 원료 포도는 이 지역에서 생산된 포도에 한정됨.
Ⅶ. 프랑스 와인 [French wine] 이 세계적으로 잘 팔리는 이유
포도밭 총면적 94만ha, 생산량 655만kl, 1인당 소비량 73l/년의 세계 최대의 와인국가, 프랑스.
와인을 공부할 때 구 세계 와인은 병에 품종이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품종을 알기가 어렵다. 반면 신세계 와인은 품종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보다 접근하기가 수월하며 대부분의 경우 시라즈,까베르네 소비뇽, 샤르도네 등과 같이 이미 언급한 포도 품종을 주로 사용한다. 신세계의 포도 품종에서도 유럽인에 의해 와인 문화가 도입된 이유와 18세기를 넘어가면서 보르도(Bordeaux) 와인은 모든 와인의 교본이 되기에 보르도를 주축으로 프랑스의 주요 산지의 포도 품종을 신세계 산지에서 많이 도입해 심게 된다. 보르도 산지에서 유래된 품종-까베르네 소비뇽.메를로, 소비뇽등 부르고뉴 산지에서 유래된 품종-삐노 느와, 샤르도네 알자스 산지에서 유래된 품종-리슬링 론 지역에서 유래된 품종-시라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품종을 가진 나라는 이태리이고 세계에서는 무수한 포도 품종이 있고 그에 따라 엄청나게 다양한 와인이 생산된다.
와인의 전통 기술유통 식문화에 대해서도 최대의 선진국으로 세계와인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보르드, 부르고뉴, 샹파뉴를 시작으로 로스, 로와르, 역사와 최대의 생산량을 자랑하는 랑독, 루숀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와인 산지가 갖가지 타입과 개성을 가진 와인을 만들고 있어, 타국가들의 추월을 허락치 않고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관련자료]
[출처]
「와인 상식사전」 이기태 저, 길벗, 2009
http://www.wines-france.com/
http://www.terroir-france.com/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20506&docId=29464038&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7&sort=0&spq=1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20506&docId=106219474&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1&sort=0&spq=1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9&dirId=9020302&docId=962095&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22&sort=0&spq=1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4&dirId=4&docId=366063&qb=7ZSE656R7IqkIOyZgOyduA==&enc=utf8§ion=kin&rank=38&sort=0&spq=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