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과 조선 양반사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리학과 조선 양반사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리학 이란?
1) 성리학의 개념
2) 성리학의 전래
2. 조선성리학의 모습
1) 통치이념의 성리학
2) 성리학의 특징
3. 조선시대의 양반
1) 양반의 개념
2) 양반 지배체제 성립
4. 성리학적 사회모습
1) 성리학과 조선의 양반사회
2) 성리학적 가부장 사회
5. 성리학의 영향
1) 긍적적인 측면
2) 부정적인 측면

Ⅶ.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런 점에서 성리학은 조선시대에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2) 부정적인 측면
성리학에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는 반면에 부정적인 부분도 있다. 우선 성리학은 가부장적 질서를 확립시켰다. 그래서 장자가 재산을 모두 상속한다는 점이나, 남존여비사상 등의 문제들이 있었다. 여자를 상당히 천시하고 남자를 특히 장남을 우대했었다. 이런 것들이 결국 지금의 호주제도를 만들어 낸 것이 아닌가 싶다. 지금 생각하면 양성차별이다 뭐다 해서 난리가 났을법한 일이다. 그리고 지나친 도덕주의로 인한 신분 차별, 이 신분 차별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킨 것도 바로 성리학이다. 앞의 책, p303.
그리고 또 다른 성리학의 부정적인 부분은 성리학적 관점에 중요하지 않는 것에는 배타적 이였다는 점이다. 그 예로 기술직에 대한 천대가 심했다. 그래서 지금은 상당히 높은 명예와 많은 돈을 버는 직업들인 의사나 천문, 기타 기술직에 대해서는 완전히 멸시를 했었다. 성리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성리학 하나만 공부하면 모든 것도 다 따라서 발전하게 된다는 식 이였기 때문에 나머지 기술직이나 그런 것들을 천시했던 것이다. 또 이 성리학을 연구하는 성리학자들은 국방력에 관심이 없었다. 그래서 결국 국방력에도 소홀히 하게 되고, 말기에 임진왜란을 당해서도 그렇게 속수무책 이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성리학은 이기적인 학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Ⅲ. 결론
조선시대에 있어서 성리학은 정치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친 사상이다. 당시 모든 판단의 기준은 성리학이었고, 지배층과 양반들에 의해 성리학에 맞는 것만이 통하는 사회였다. 오늘날에 있어서 조선시대의 정치철학 내지는 사회철학으로서의 성리학에 대한 이해는 부정적인 평가와 긍정적 평가가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성리학은 우리의 역사 500년을 받쳐온 우리의 사상이었고 당시 양반사회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것은 분명하다. 물론 성리학이 만들어진 곳은 중국이지만 우리나라만큼 현실에서 적극 이용하지는 못했다. 조선은 성리학 사상을 새롭게 바라보고, 새롭게 해석하고, 새롭게 창조하고자 했다. 다양한 학문이 교류하며, 기존의 사고를 뛰어넘는 새로운 영감의 사상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 사상들은 지금도 아름다운 보배로 남아있다.
역사란 과거의 사실과 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단순한 과거의 사실과 사건만으로는 역사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없다. 역사란 과거의 사실을 오늘의 시각으로 해석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거는 오늘을 비춰주는 거울이기에 우리가 역사를 올바르게 배우려 하는 것이고 의미가 있는 것이다. 성리학은 조선조 500년 동안 부동의 학문적 중심에 자리 잡았던 사상이었다. 이런 사상적 체계를 우리는 오늘의 사상적 거울로 삼아 다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그리고 그 속에서 나름의 교훈과 새로운 안목을 얻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단행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조선 양반의 일생』, 글항아리, 2009.
기세춘, 『성리학 개론』, 바이북스, 2007.
미야지마 히로시 저 (노영구 역),『양반』, 강, 2006.
박홍갑,『양반나라 조선나라』, 가람기획, 2001.
윤사순,『한국 성리학의 특징』, 삼인, 1998.
이성무,『조선양반사회연구』, 일조각, 1995.
한국사상연구회,『도설로 보는 한국 유학』, 예문서원, 2000.
홍원식 외 3명,『성리학의 개념들』, 몽배원, 2008.
<인터넷 사이트>
세계속의 트렌드를 찾아서, http://trendworld.tistory.com/1733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109241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22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1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